View : 9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연희-
dc.contributor.author이하은-
dc.creator이하은-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1:53Z-
dc.date.available2019-02-18T16:31:53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40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404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94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다른 영역에 비해 쓰기가 거의 교육되고 있지 않은 우리나라 교육적 현실 속에서 교육과정을 반영하기 위하여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쓰기 지도를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입력량이 적은 EFL 환경에서 교사는 학습자가 교사 문자 피드백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정활동을 개발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여러 유형의 수정 활동 중 본 연구는 자가점검일지를 활용한 수정 활동이 교사의 피드백 효과를 최대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자가점검일지 작성유무와 쓰기능력에 따른 자가점검일지 작성활동이 학습자들의 쓰기능력과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인천시 소재 중학교 2학년 학습자 52명이며, 자가점검일지 작성 여부에 따라 자가점검일지 집단을 실험집단으로, 자가편집 집단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고, 실험 이전 쓰기능력 평가 점수를 기준으로 상위와 하위집단으로 나누었다. 연구절차는 실험 이전 절차로서 사전 쓰기평가와 사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집단 간 사전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쓰기평가과 설문조사 모두에서 일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연구결과 분석시 쓰기평가와 설문조사 점수는 사후에서 사전을 뺀 차이를 바탕으로 하였다. 실험 주요 활동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수정활동 훈련 두 차시와 작문 및 수정활동 여섯 차시를 수행했으며, 작문차시와 수정활동 차시 사이에 교사 문자 피드백이 제공되었다. 실험 이후 절차로서 사후 쓰기평가와 사후 설문조사 및 심화 설문조사가 진행되었다. 먼저 자가점검일지 작성유무가 학습자의 영어 쓰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집단 내 영어 쓰기능력 향상도 비교를 통하여 알아본 결과 집단 내 향상도의 비교 결과 총점과 평가영역별 점수의 모든 영역에서 실험 하위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집단 간 향상도의 비교 결과 총점에서는 자가점검일지 작성 여부와 쓰기능력에 따른 집단 간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평가 영역별 점수에서는 자가점검일지 작성 여부와 쓰기능력에 따른 집단 간 차이 모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자가점검일지 작성유무가 수정 활동에서 교사 문자 피드백의 반영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집단 간 총 피드백 반영률의 경우 수정차시, 수정차시와 실험집단 여부 간의 상호작용, 수정차시와 쓰기능력 간 상호작용, 수정차시와 실험집단 여부와 쓰기능력 간의 상호작용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 간 평가 영역별 피드백 반영률의 경우 과업 완성 영역에서 부분적으로 수정차시와 자가점검일지 작성 여부 간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내용과 구성 영역에서는 수정차시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언어 사용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자가점검일지 작성유무가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집단 내에서는 영어 및 쓰기 학습의 필요성, 흥미, 자신감, 태도 영역에서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는데 특히 영어 쓰기의 필요성 영역은 모든 집단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수정 활동에 대한 인식 영역은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 간에서는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 영역에서, 쓰기 학습에 대한 흥미, 자신감, 태도 영역에서 자가점검일지 작성 여부와 쓰기능력 간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수정 활동 유용성 인식에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사 문자 피드백에 대한 자가점검일지는 학습자들이 교사 문자 피드백을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쓰기능력 향상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효과적인 도구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고려하여 학습자들이 자가점검일지를 작성해보는 활동에서 그치지 않고 자가점검일지의 내용을 바탕으로 교사와의 면담을 통하여 피드백에 대한 논의를 한다면 자가점검일지를 활용한 수정활동이 학습자들의 쓰기능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영어 학습 및 쓰기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It is necessary to develop a writing instruction that can be used in the school setting to reflect the national curriculum in the educational reality in Korea where the writing is hardly educated compared to other language skills. In the EFL environment with low input amount, the maximum utilization of teacher feedback is needed and the development of revising activities is crucial to make the most of teacher written feedback. Among the various types of revising activiti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at the revising activity using the self-check logs can help maximize the effect of using the teacher written feedback. The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utilizing self-check logs for the teacher written feedback on learners' writing competence and their affective attitud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2 middle school students in Incheon, Korea. The self-check log group was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self-editing group was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Each group was divided into subgroups according to the score of the pre-test. As pre-experimental procedures, the pre-test and the pre-survey was conducted, and based on these, the group homogeneity in terms of writing proficiency and affective attitudes were verified. There were partial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both the writing evaluation and the survey. Thus, the analysis of learners’ improvement of writing proficiency and affective attitude were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t-test scores and the pre-test scores. As the main activities of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each performed two revising training, three writing-revising activities. Teacher written feedback on each writing was provided between the writing and the revising activities. As post-experimental procedures, a post-test, a post-survey and an in-depth survey were conducted. The effect of utilizing self-check logs for teacher written feedback on students' English writing competence was examined by comparing the improvement of analytic scores within each group as well as between the groups. For within each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ower-level experimental group across all domains of the analytic assessment criteria. For between the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whether self-check logs was utilized or not, and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writing ability was also significa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some domain of the analytic score criteria according to whether self-check journals were created or not as well as the students’ writing ability. As the effect of the self-check logs for teacher written feedback on the application rate of the teacher written feedback in revi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pplication rate of teacher written feedback according to the revision session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revision sessions and the treatment,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revision sessions and the treatment and the writing proficiency. For the task completion domain of the analytic score criteria,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evision sessions and the treatment. For the content and organization of the analytic score criteria,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the revision sessions. For the content and organization of the analytic score criteri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e influence of the self-check logs writing for teacher written feedback on the learners’ affective attitude was analyzed by the comparison of the attitudes towards English learning and writing within each group as well as between the groups. For within each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results in the necessity domain and in the other areas of interest, confidence, and attitudes, there were partly significant results. The attitudes of the group to the revision did not show any meaningful results in any groups. For between the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as well as interest, confidence and attitude toward writing learning. The attitudes of the group to the revision did not show any meaningful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er’ perceptions of revision usefulness according to treatment and writing proficiency, and there wer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reatment and writing proficiency in terms of improvement in writing, improvement in writing skills, and reduced fear of writing. The self-check logs for applying teacher written feedback to revision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learners to improve their writing competence by maximizing the teacher written feedback in their revision. To apply self-check logs to the English classroom settings, the contents of the self-check logs could be discussed through the face-to-face classroom conferences. Considering such issues regarding the application, the self-check logs can help students to get opportunities to express their thoughts through writing texts as well as to improve their general writing compete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5 A. 교사 문자 피드백의 유형 및 특성 5 B. 피드백을 활용한 작문 수정 활동 7 1. 수정 활동의 정의 및 특징 7 2. 수정 활동에서 교사의 역할 8 C. 자가점검일지 10 D. 선행 연구 12 1. 교사 문자 피드백에 관한 연구 12 2. 교사 문자 피드백을 활용한 수정 활동에 대한 연구 21 3. 자가점검일지에 관한 연구 24 Ⅲ. 연구 방법 29 A. 연구 질문 29 B. 연구 대상 30 C. 연구 자료 31 1. 학습용 자료 31 2. 사전사후 쓰기평가지 37 3. 쓰기평가 채점 기준표 38 4. 설문지 40 D. 연구 절차 42 1. 실험 이전 절차 42 2. 실험 주요 활동 52 3. 실험 이후 절차 54 E. 연구 자료 분석 55 1. 쓰기평가 채점 및 채점자 간 신뢰도 분석 55 2. 수정 활동에서의 교사 문자 피드백 반영률 분석 56 3. 설문 조사 결과 분석 57 4. 통계 분석 57 F. 연구의 제한점 58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60 A. 학습자의 영어 쓰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60 1. 집단 내 영어 쓰기능력 향상도 비교 60 2. 집단 간 영어 쓰기능력 향상도 비교 64 B. 수정 차시별 교사 문자 피드백의 반영률에 미치는 영향 68 1. 집단 간 총 교사 문자 피드백 반영률 비교 68 2. 집단 간 평가 영역별 교사 문자 피드백 반영률 비교 70 C. 작문 및 수정 활동의 분석 80 D.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95 1. 집단 내 영어 학습 및 쓰기 학습 태도 비교 95 2. 집단 간 영어 학습 및 쓰기 학습 태도 비교 100 3. 집단 간 수정 활동 유용성에 대한 인식 비교 107 4. 상위하위집단별 사후 심화 설문 개방형 문항 응답 분석 113 Ⅴ. 결론 및 제언 116 참고문헌 121 부록 133 부록 1. 자가점검일지 133 부록 2. 자가편집 활동지 135 부록 3. 사전 쓰기능력 평가지 136 부록 4. 사후 쓰기능력 평가지 137 부록 5. 자가점검일지 훈련 활동지 138 부록 6. 자가편집 훈련 활동지 142 부록 7. 실험 중 쓰기 활동지 144 부록 8. 사전사후 기본 설문지 147 부록 9. 실험 후 심화 설문지 149 ABSTRACT 1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727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교사 문자 피드백에 대한 자가점검일지 활용 여부가 한국 중학생의 영어 쓰기능력 향상과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Self-Check Logs for Utilizing Teacher Written Feedback in Revising Drafts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Competence and Attitudes-
dc.creator.othernameHaeun Lee-
dc.format.pagex, 15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