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5 Download: 0

체육 및 무용전공 초임체육교사의 교수활동을 위한 실천적 지식

Title
체육 및 무용전공 초임체육교사의 교수활동을 위한 실천적 지식
Other Titles
The Practical Knowledge for Teaching Activities of the Newly Appointed Teachers who were major in Physical Education and Dance
Authors
김누리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함정혜
Abstract
본 연구는 체육 및 무용을 전공한 체육교사의 수업에서 나타나는 실천적 지식에 대한 내용체계와 형성배경을 분석함으로써 체육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보다 깊이 이해해 볼 수 있는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 따라서 초임체육교사의 교수 상황에 필요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예비 체육교사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좋은 안내지침서가 되고자 하며 체육교과의 역할과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체육교사들의 전문성을 보다 강화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 및 무용전공 체육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내용체계는 어떠한가? 둘째, 체육 및 무용전공 체육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형성배경은 어떠한가? 셋째, 체육 및 무용전공 체육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상호보완 될 수 있는가?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체육전공 체육교사 2명, 무용전공 체육교사 2명을 선정하였으며, 경력교사가 보다 다양한 실천적 지식을 표상할 것으로 판단하여 체육을 지도한 경험이 많은 교사를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수업관찰과 심층면담, 문서자료를 통한 질적연구가 이루어 졌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실천적 지식은 이미지-원리-규칙으로 위계적인 관계를 이루고 있으며 이는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여러 개의 실천의 규칙들이 모여 실천의 원리를 뒷받침하고, 실천의 원리들은 교사의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교사가 가지고 있는 실천적 지식의 내용체계는 전공과 상관없이 비슷한 부분도 있었으나 개인이 가지고 있는 개별성과 특수성을 통해 몇 가지 유의한 차이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실천적 지식의 형성배경은 교사의 전 생애 걸친 다양한 경험을 통해 형성되어져 개인의 삶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교사의 교직 이전, 이후의 삶 대부분이 매 순간 중요한 의미와 가치를 지니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즉 교사가 가지고 있는 가치관이나 신념, 환경들은 교사가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데 큰 작용을 하였으며 이는 실천의 규칙, 원리, 이미지 모든 부분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따라서 체육 및 무용전공 체육교사 모두 비슷한 경험을 통해 실천적 지식을 형성해 왔지만 각각 다른 삶을 살아 왔기 때문에 같은 경험을 했을지라도 교사에 따라 그 경험에 대한 가치나 의미가 다르므로 전혀 다른 실천적 지식을 갖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체육 및 무용전공 체육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상호보완하여 보다 질 높은 체육수업을 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먼저 전공과 상관없이 선입견을 갖지 않고 체육교사라는 신분을 기억해야 하며, 누군가에게 도움을 요청하는데 과감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인이 부족한 부분을 회피하지 않고 극복하려 노력하며 교사 간 끊임없는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어야할 뿐 아니라 상대방의 장점을 알아보고 이를 나에게 어떻게 적용해 볼 수 있는지 고민하며 서로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고 이해하며 배려하는 습관을 가져야 할 것이다. 교사는 교직생활을 하며 다양하고 많은 문제점에 부딪치고 어려움을 겪게 될 수 있으나 모든 체육교사들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자신만의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고 재구성해 나가 보다 효과적인 교수 활동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예비 체육교사들에게 교육실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보다 많이 제공해야 하며, 둘째, 교사들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배움에 끊임없는 관심을 갖고 지속적으로 배워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에서 체육 및 무용전공 체육교사 간 상호적인 관계형성을 통해 보다 질 높은 수업을 진행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환경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다음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다. 첫째, 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더욱 다양한 상황과 맥락을 고려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교사를 대상으로 한 내러티브 탐구를 통하여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형성배경과 발달과정에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The purposes of the research were to study the system of the contents and the background on the formation about practical knowledg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during the PE class, and to understand how the practical knowledge of PE teachers who were major in PE and dance was similar and different, and how it was able to be complementary in each other. The research was to analysis the system of the contents and the background on the formation about practical knowledge through the PE teachers who were major in PE or Dance. Through this, the research was useful to understand the practical knowledge of the PE teachers more deeply, and it will be helpful to build the necessary practical knowledge depending on the learning situation of the newly appointed PE teachers. Moreover, it will be the great guide to develop the ability of the trainee PE teachers. Also, it will be useful to reinforce PE teacher’s professionalism in the present when the status of the role of PE subject is raising. Here were three subjects for inquiry of the research. First: How was the content of the practical knowledge of the PE teachers who were major in PE and dance? Second: How was the background on the formation of the practical knowledge of the PE teachers who were major in PE and dance? Third: Could the practical knowledge of the PE teachers who were major in PE and dance be complementary? The target of the research was two PE teachers whose major was PE and other two teachers were major in Dance, and all four teachers had taught students in Seoul and Kyoung-ki Do. In particular, veteran teachers were chosen as the target because they might have more knowledge representation than unskilled teachers. The research methods were studied by the class observation, the depth interview, and the research materials. Here was the outcome through these studies. First of all, the practical knowledge was composed of the ierarchical relationship as image – fundamental – rule, and their relationship was very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In other words, several practical rules supported one fundamental, and many practical fundamentals were helpful to build the image. In some points, the system of the contents in the practical knowledge was similar regardless of major, bu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found between the individuality and the distinctiveness. Furthermore, the background on the formation in the practical knowledge was built by various experiences of the PE teachers, and it was very closely connected with their personal life. These processes were helpful to know that every single moment of the PE teachers’ life is very meaningful and valuable. In other words, belief, background, and values of the teachers have influenced on building their practical knowledge. Thus, although the PE teachers whose major was PE and dance had built similar experiences and practical knowledge, they had different practical knowledge which can be changed through experiences and values because their life style had not been the same. Finally, the method to do better quality PE class through the complementary practical knowledge of the PE teachers whose major in PE and dance was that the PE teachers have to remember their status regardless of their major and bias, and they have to be bold to request someone’s help. Moreover, they do not have to be afraid to reveal their weakness, and they also have to overcome the problem through continuous conversation. Furthermore, they have to acknowledge strengths in each other and think how to apply them. Also, if they found weakness in each other, they have to help being complementary and to take care of each other. Teachers might encounter lots of unexpected problems while teaching students, but all PE teachers have to do teaching activities more effectively through building their practical knowledge in various methods. Here are some suggestions through the research. First, trainee PE teachers have to be provided many chances of educational practices. Second, teachers have to be interested in learning and to study it continuously through various methods. Third, the environmental supports need to help leading the better quality classes through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among the PE teachers whose major was PE and dance. The last, continuous post-studies need to understand the practical knowledge of teachers more deeply through consideration of various situations, and depth studies need to fulfill the background in the formation and the development process about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through narrative research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