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1 Download: 0

미술 연계 진로탐색 수업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미술 연계 진로탐색 수업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Art-related Career Exploration Program on Career Maturity : Focused on 1st Grade of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김수빈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은경
Abstract
Career Education is a term that has emerged since the 1970s, until which the concept of vocational education was generally used. At the time, vocational education referred to meaning of education to provide functional training for employment in a specific job at the high school level. Today, on the other hand, the profession has more significance as a means of serving the society and further realizing the one's self, rather than the means of livelihood. Career education in Korea have begun to spread and disseminate into the entrance examination-oriented instruction system with the advent of organ research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funded by UNICEF in the early 1980s. However, through the learning of the world, it transformed into a system to guide advancement and employment and to develop various qualities, aptitudes, and interests.On the basis of these studies,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gradually developed career education from the 6th curriculum to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by reflecting career education. Nonetheless, the world of jobs is changing rapidly due to the development of industry and the change of the population environment. In order to adapt to these face-paced societies, new talents have been demanded, and career education to promote new career development capacity has begun as well. However, as the environment related to career education has been continuously changing, one-time or one-off career education is not likely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Therefore, the Ministry of Education actively facilitates career educatio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links between sub-areas and activities of career education or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related to general subjects. Curriculum-linked career education involves the curriculum that is operated independently in the of the current school curriculum and it emphasizes the career education elements that are included in the curriculum more explicitly and clearly, so that it can achieve both curriculum and career education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art-related career education plan that can develop the career maturity of the learners as the necessity of new career education has emerged. Art-related career search classes consist of activities that students explore their own career and build a career plan based on thei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msel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areer education linked with art curriculum by conducting experiments on the fir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and verifying their effectiveness, The research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tudy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on career theory and career maturity, and it examined the career education of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looked for the critical aspects of contact between art curriculum and career education. Second, it analyzed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program on arts education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the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and an art-linked career search class was designed reflecting the needs of learners through pre-survey. Third, a total of 9 classes were conducted for 33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B high school in Busan. In order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this class on the students' career maturity, the career maturity test was applied for pre- and post-test. Fourth, the data collected through pre-and post-test of career maturity are SPSS Ver. 21.0 The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sed to examine changes in career maturity, analyzing its meaning quantitatively. The performance results of the class and the results of the class satisfaction survey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o discuss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otal scores of career maturity scores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rt-related career search cla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 and post-test, and the results of the t-test of responding sample also showed a significant effect.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 and post-test scores in attitude, ability, and behavior, which are sub-areas of career maturity was found. Third,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f career outcomes, learners formed a positive self-identity through self-understanding activities and they searched and designed their career based on thi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tual results, the learner understood the new art genre and cultivated the ability to reflect the features of the expression medium. In addition, the analysis of class satisfaction survey and interview showed that the learners have a high interest in this study class, and the effectiveness and necessity of this study class was confirmed since the class helped to search and set up the care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both career maturity and sub-areas as a whole i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activities logs and actual performanc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learners' self-understanding, career search, self-identity formation have all improved. Therefore, the study confirmed that there was a positive influence of art related career search class in the fir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The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has expanded the possibility of career education linked with art curriculum toward high school students.;진로교육(Career Education)이란 개념은 1970년대 이후 새롭게 등장한 용어로, 그 이전까지만 해도 직업교육 개념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당시 직업교육은 고등학교 수준에서 특정한 직업에 취업할 수 있도록 기능 훈련을 제공하는 교육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으나, 오늘날 직업은 생계의 수단보다는 사회에 봉사하며 나아가 자아를 실현하는 수단으로서 더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진로교육은 1980년대 초부터 한국교육개발원이 대규모의 유니세프 자금을 지원받아 장기 연구 개발을 시작함으로써 입시 위주의 진학지도 체제로 확산·보급되기 시작하였지만, 다양한 일과 직업 세계를 포함한 생생한 현실적 삶의 세계의 학습을 통하여 다양한 소질과 적성 및 흥미를 계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학과 취업을 지도하는 체제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연구에 기초하여 교육부는 6차 교육과정에서부터 진로교육을 반영하면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진로교육이 점차 발달 되는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그려나 전 세계적으로 산업의 발달과 인구환경의 변화로 인해 직업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에 적응하고 살아가기 위해 새로운 인재상이 요구되기 시작하였고 새로운 진로개발역량을 증진하기 위한 진로교육이 진행되고 있지만 진로교육과 관련된 환경 또한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일회성 또는 단발성으로 이루어지는 진로교육은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교육부는 일반교과와 연계한 진로교육이나 창의적 체험활동의 하위영역 및 활동 간 연계를 고려한 진로교육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다. 교과 연계 진로교육이란 현재 학교 교육과정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교과와 진로교육을 연계하여 운영하는 것으로, 교과 내용 속에 포함되어있는 진로교육적 요소를 보다 선명하게 부각하여 교과의 목표와 진로교육의 목표가 함께 달성될 수 있도록 하는 교육방법이다. 본 연구는 새로운 진로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학습자의 진로성숙도를 함양할 수 있는 미술 연계 진로교육 방안을 마련해보고자 한다. 미술 연계 진로탐색 수업은 학생이 자신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스스로 진로를 탐색하고 진로계획을 수립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등학교 1학년 학생에게 실험수업을 진행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함으로써 미술 교과를 연계한 진로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이론과 진로성숙에 관한 문헌연구를 통해 진로선택과 발달의 중요성을 고찰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진로교육에 대해 살펴보며, 미술 교과와 진로교육의 접점을 찾아보았다. 둘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미술 교과 연계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사전 설문조사를 통해 학습자의 요구를 분석한 뒤 이를 반영한 미술 연계 진로탐색 수업을 설계하였다. 셋째, 부산광역시 소재의 B고등학교 1학년 3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총 9차시의 실험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이 수업이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개발한 진로성숙도 검사를 이용하여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넷째, 진로성숙도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진로성숙의 변화를 확인하고 그 의미를 양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수업의 결과물과 수업만족도 조사 결과물은 질적으로 분석하여 수업의 효과성을 논의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 연계 진로탐색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진로성숙도 전체 점수는 사전·사후검사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대응표본 t-test 검증 결과 또한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진로성숙도의 하위영역인 태도, 능력, 행동 영역에서 사전·사후검사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셋째, 진로 활동지 결과물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학습자는 자아 이해 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정체감을 형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진로를 탐색하고 계획하였다. 실기결과물을 분석한 결과 학습자는 새로운 미술장르를 이해하였고 표현 매체의 특징을 반영하여 융합하는 능력을 함양하였다. 또한 수업만족도 설문 및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는 본 연구 수업에 높은 흥미를 지니고 있으며, 수업이 진로탐색과 설정에 도움을 주었으므로 본 연구 수업의 효과성과 필요성을 검증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검사결과는 전로성숙도 전체와 하위영역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고, 활동지 결과물과 실기결과물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학습자의 자아 이해, 진로 탐색, 자아정체감 형성, 표현 매체 융합 능력의 향상 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미술 연계 진로탐색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미술 교과와 연계한 진로교육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데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