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성-
dc.contributor.author장현경-
dc.creator장현경-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1:38Z-
dc.date.available2019-02-18T16:31:38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43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433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86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미디어를 통한 자기주도 문법 학습 사례 연구를 통해 자기주도 문법 학습의 촉진 요인 및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중 인스타그램을 대상으로 하는 매체 연구이며,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사례 연구이다. 최근 매체가 급속도로 변함에 따라 매체 언어 또한 계속 변하고 있으며, 국어교육 내 매체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대두되었다. 매체가 의사소통을 위한 수단이자 언어라는 점에 매체 언어를 국어과 교과에 포함하게 되었으며, 매체에 대한 논의는 지금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소셜미디어는 쌍방향적 의사소통 방식과 즉각적 의사소통 방식을 특성으로 하며, 매체의 생산 및 소멸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많은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최근 소셜미디어를 자기주도 문법 학습에 자발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학습자들이 늘어남에 따라 해당 게시물의 양상을 살펴 학습 동기 및 학습 촉진 요인을 파악한다. 소셜미디어 중 ‘인스타그램’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여, 학습자들의 자기주도 학습 양상과 인식을 분석한다. 학습 양상 분석 대상은 고등학교 학습자 중 문법 학습의 양상이 나타난 게시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내용과 형식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그 기능을 제시하였다. 인스타그램 사용자 중 5인의 학습자 인터뷰 통해 학습자 인식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토대로 자기주도 문법 학습 촉진 요인을 매체 환경, 조력자, 학습자 요인으로 제시하였고, 교육적 지원 방안으로 문법 수업, 학교 시스템, 문법 학습자 연구의 측면을 제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소셜미디어를 통한 자기주도 문법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뤄지기를 바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ilitating factor for self-directed grammar learning and suggest supporting plans by having case study on self-direct grammar learning through social media. This study is a media study targeting Instagram among social medias and a case study targeting learners. In rapid change of media, media language is constantly changing and the need for media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continuously pointed out. Media language is includ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ince media is the mean and language for communication and there are active on-going discussions about media. Social media has a characteristic of two-way communication and immediate communication method. Social media is the place where production and extinction of media are most actively happening and it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people’s daily life. In response to increased number of learners using social media in self-directed grammar learning,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the posts and identified the factors for motivating and promoting learning. This study targeted ‘Instagram’ among social medias and analyzed the pattern and percep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by learners. To analyze the learning pattern, this study targeted posts about grammar learning uploaded by high school learners. Then, this study classified the contents and forms based on the standard and suggested functions. Among the Instagram users, this study had interview with 5 learners and analyzed the learner perception.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the media environment, assistant, and learner for factors promoting self-directed grammar learning. Also, for academic support plans, this study suggested aspects of grammar class, school system, and study of grammar learner. This study seeks to help effective self-directed grammar learning using social medi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연구 검토 5 1. 국어과 학습자 연구 5 2. 국어과 매체 교육 연구 13 C. 연구 방법 18 Ⅱ. 소셜미디어 시대의 문법학습자 특성과 국어 문법 교육의 변화 20 A. 소셜미디어 시대의 문법 학습자 20 1. 소셜미디어의 개념 및 일반적 특성 20 2. 소셜미디어 시대의 문법 학습자 특성 30 B. 소셜미디어 시대의 국어 문법 교육의 변화 32 1.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화 32 2. 2011 개정 국어과 선택교과서의 소셜미디어 양상 39 C.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자기주도 학습의 개념과 교육적 가치 52 1. 자기주도 학습의 개념 52 2.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자기주도 학습의 교육적 가치 56 Ⅲ. 문법학습자의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문법 학습 사례분석의 기준과 틀 59 A. 소셜미디어 사례 분석의 대상과 기준 설정 59 1. 소셜미디어 사례 분석의 대상 60 2. 소셜미디어 사례 분석 기준 설정 62 B.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문법 학습의 활용 양상과 기능 64 1.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문법 학습의 활용 양상 64 2.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문법 학습의 활용 기능 73 Ⅳ. 학습자 인식 분석을 통한 소셜미디어 활용 자기주도 문법 학습의 이해와 교육적 지원 77 A. 소셜미디어 활용 자기주도 문법 학습에 관한 학습자 인식 분석 77 1. 소셜미디어 활용 동기 78 2. 자기주도 문법 학습을 위한 소셜미디어 기능 활용 방식 79 3. 소셜미디어를 통한 자기주도 문법 학습 양상 82 4. 소셜미디어를 통한 자기주도 문법 학습에 관한 인식 86 B. 학습자 인식 분석을 기반으로 한 자기주도 문법 학습 촉진 요인 90 1. 매체 환경 요인 90 2. 조력자 요인 94 3. 학습자 요인 100 C. 소셜미디어 활용 자기주도 문법 학습의 교육적 지원 방안 104 1. 학교 문법 학습과의 연계 중심의 교육적 지원 104 2. 학습관리 능력 신장 중심의 비교과 활동 관리를 통한 교육적 지원 107 3. 문법 학습자 연구 자료 축적 및 활용을 통한 선순환 체계 구축 110 Ⅴ. 결론 114 참고문헌 119 부록1.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중 매체 관련 성취기준 126 부록2.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중 매체 관련 성취기준 129 부록3.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중 매체 관련 성취기준 130 부록4. 고등학교 학습자 인식 조사 질문지 및 답변 정리 133 ABSTRACT 14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770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소셜미디어를 활용한 고등학생 자기주도 국어 문법 학습 양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elf-Direct Grammar Learning Pattern Using Social Media Regarding High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Instagram-
dc.creator.othernameJang, Hyunkyung-
dc.format.pagev, 14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