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나영-
dc.contributor.author김정민-
dc.creator김정민-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1:29Z-
dc.date.available2019-02-18T16:31:29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34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346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811-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looks into how military uniforms and gear of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were introduced and developed, shedding a new light on its apparels that have not been given due attention as themes for research despite their prestige. In this research, the materials, colors, forms and wearing practices of the army’s military uniforms and gear are explored through multifaceted analysis and documented through illustrations for the purpose of laying the foundation for chronological appraisal of relics and photography and creation of replicas. From the formation of the army on September 17, 1940 until its return to the home country through declaration to disband on May 16, 1946,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used to wear the military uniforms prescribed by the Nationalist Army, the U.S. Army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Military uniforms and gear of different nationalities and times were arbitrarily us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The military uniforms and gear of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which engaged in military activities in China, were mostly aided by the Chinese Nationalist government under the particular diplomatic and economic circumstances, and some were purchased and self-produced. The Nationalist Army’s military uniforms were of the style of the Chinese Mao suit and were modeled after the school uniforms of Whampoa Military Academy. The Nationalist Government established the military uniform system by issuing ordinances three times from 1929 to 1936.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thus, wore the military uniforms with cylindrical military caps, upper and lower garments, the Sam Browne belt and leathery belt, inner wear, gloves, leggings and military boots in accordance with the 〈Ordinance on Military Uniforms of the Army(陸軍服制條例)〉 promulgated in 1936. For the military gear, German and British-style helmets and field packs were used. It is assumed that the military uniforms were in bluish deep gray which have been worn by the Nationalist Army from the past, instead of greenish yellow influenced by Germany. In 1919,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declared the Provisional Military System of the Republic of Korea Army, which contained four provisions on the official uniform, but it was never enforced. Accordingly,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worn military uniforms and gear without a specific official code, but, in February 1945, promulgation and implementation of 〈Yukgun Jebok Doan (Protocol of the Army Uniforms)〉 and 〈Yukgun Hwijang Doan (Protocol of the Army Insignia)〉 led to the establishment of its own military uniform system. Although the system was short-lived, it was an expression of willpower to nullify ‘The 9-Point Agreement’ imposed on by the Nationalist Government to regulate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and a clear statement that it is an independent army of the Republic of Korea, not a subordinate of the Nationalist Government. 〈Yukgun Jebok Doan〉 covered military caps, upper and lower garments, the belt, the overcoat and military boots in the costume designs. It is assumed from photos that the apparels worn by some military officials prior to the prescription of the design were incorporated into the system in 1945. The military uniforms were close to reddish yellow and the military caps came in two forms: service caps and forage caps. The former seems to have been impacted by those of the U.S., while the latter were made to embrace garrison caps of the U.S. Army. Military uniforms were of the Nationalist Army’s reflecting a combination of the Chinese Mao suit and the service coat of the U.S. and British Armies. An inverted vent was applied to the center of the back piece for the upper garment where the cloth belt, epaulettes and the braid above the cuffs were added. The overcoat was similar to that of the Nationalist Army, and the military boots are presumably impacted by those of the U.S. Army based on the costume design. The military uniforms of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prescribed in 〈Yukgun Jebok Doan〉, as such, are assumed to have been impacted by those of the U.S Army, or those of the Nationalist Army with some U.S. and British influences.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being active in China, must have made diplomatic and strategic choices for the uniforms to be similar to those of the Nationalist Army, and is assumed to have incorporated the uniforms of the United Nations force for having jointly engaged in the anti-Japanese war.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planned joint operations with the Office of Strategic Service (OSS) of the U.S., and the engagement of the Second and Third Detachments led to incorporation of numerous U.S. Army uniforms and military gear. The Korea Independence Army – just like the U.S. Army – wore garrison caps along with convertible color shirts and pants in khaki and olive drab for their uniforms. The M1941 field jacket was mostly worn on top, and the M1943 field jacket was also introduced. The M1943 combat boots were worn along with the first-aid kit, the holster, etc. attached to the pistol belt as military gear.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reflected its identity and self-reliance on to the insignia. In particular, 〈Yukgun Hwijang Doan〉 was formulated to prescribe badges on the cap, the insignia of arm and service, shoulder chevrons, sleeve chevrons and buttons. While some insignias were not implemented, the Korean insignia system was stark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Nationalist Army as it partially referred to the system and design of the insignia for the U.S. Army. Moreover, there were also insignias utilizing the English acronyms of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and those for each military base. The taegeuk (supreme ultimate) pattern and the national flower of mugunghwa (rose of Sharon) pattern were included in these insignias, expressing the identity of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as the Republic of Korea Army and boosting a sense of belonging and duty for wearers.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continued to conduct military activities for the goal of national independence despite poor diplomatic and economic conditions. The military uniforms and gear reflect the diplomatic relations and historical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manifesting its identity as an independent army and its commitment and desire for the liberation of Korea. ;이 연구는 그동안 그 위상에 비해 연구 주제로 주목받지 못한 한국광복군의 군복(軍服)과 군용장구(軍用裝具)의 도입 및 전개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한국광복군의 군복과 군용장구의 형태, 색상과 소재, 착장 방식 등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일러스트로 고증함으로써 유물 및 사진의 연대 감정과 재현품 제작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한국광복군은 1940년 9월 17일에 성립된 이후부터 1946년 5월 16일의 복원선언(復員宣言)으로 환국(還國)할 때까지, 중국 국민정부군(國民政府軍)과 미군, 그리고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제정한 군복을 착용하였다. 짧은 기간 동안 다양한 국적의 군복과 군용장구가 정확한 시기 구분 없이 혼재되어 사용되었다. 중국에서 군사 활동을 전개한 한국광복군은 외교 및 경제적 상황으로 인해 중국 국민정부로부터 군복과 군용장구를 지원받았으며, 부분적으로 구입 또는 제작하였다. 국민정부군의 군복은 중산복(中山服) 양식이었으며, 황포군관학교(黃埔軍官學校) 교복이 근간이 되었다. 국민정부는 1929년부터 1936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조례(條例)를 반포(頒布)함으로써 군복 제도를 정립하였다. 한국광복군은 1936년의 중국 〈육군복제조례(陸軍服制條例)〉에 따라 군복으로 원통형 군모, 제복 상·하의, 무장대(武裝帶)와 가죽 허리띠, 내의, 장갑, 각반, 군화를 착용했고, 군용장구로 독일식·영국식 방탄헬멧과 배낭 등을 사용하였다. 단, 군복은 독일 군복의 영향을 받은 초황색(草黃色)이 아닌, 과거부터 국민정부군이 착용해오던 푸른빛이 도는 심회색(深灰色) 군복을 착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19년에 〈대한민국육군임시군제(大韓民國陸軍臨時軍制)〉를 발표하면서 4개 조항에 걸쳐 군인 복제(服制)를 규정한 바 있으나, 시행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한국광복군도 별도의 복제 없이 중국 국민정부군의 군복과 군용장구를 착용해오다가, 1945년 2월에 이르러 〈육군제복도안〉과 〈육군휘장도안〉이 공포·시행됨으로써 독자적인 군복 제도를 수립하게 된 것이다. 이 제도는 비록 시행된 기간은 짧지만, 국민정부가 한국광복군의 활동을 규제한 ‘한국광복군행동9개준승(韓國光復軍行動9個準繩)’을 취소하고자 하는 의지의 표명이었으며, 한국광복군이 국민정부에 예속(隸屬)되지 않은 대한민국 군대임을 공표한 것이다. 〈육군제복도안〉에는 군모, 제복 상·하의와 허리띠, 외투, 군화가 도안(圖案)으로 규정되어 있다. 사진 자료로 미루어 봤을 때, 도안 제정 전부터 일부 장교들이 착용하던 복식을 1945년에 제도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군복의 색상은 적황색(赤黃色)에 가깝고, 군모는 정모(正帽)와 약모(略帽) 두 가지가 규정되었다. 정모는 미군 정모의 영향을 받은 형태가, 약모는 미군의 개리슨 캡(garrison cap)이 수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제복은 중산복 양식에 미군과 영국군의 정복(正服)이 가미된 중국 국민정부군의 것이 착용되었다. 상의 뒷길의 중심에 인버티드 벤트(inverted vent)가 적용되었고, 상의 위에 착용하는 허리띠, 그리고 견장대(肩章帶)와 장교의 수장(袖章)이 추가된 형태였다. 외투는 국민정부군의 것과 유사했으며, 군화는 도안상으로 미군 군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즉 〈육군제복도안〉에 규정된 한국광복군의 군복은 미군과 영국군의 군복의 영향으로 변형된 국민정부군의 군복이었거나, 미군 군복으로부터 직접 영향 받은 것으로 보인다. 당시 중국에서 활동하던 한국광복군은 외교적·전략적으로 국민정부군과 유사한 군복을 선택했을 것이며, 연합군과의 합동 작전으로 대일항전(對日抗戰)에 참여했기에 연합군 군복을 수용하였을 것이다. 한국광복군은 미국 전략첩보기구인 OSS(Office of Strategic Service)와 공동 작전을 계획했고, 제2지대와 제3지대가 참여함으로써 다량의 미군 군복과 군용장구가 한국광복군에 수용되었다. 한국광복군은 미군과 마찬가지로 개리슨 캡을 쓰고, 카키색과 올리브 드래브색 컨버터블 칼라(convertible collar) 셔츠와 바지를 제복으로 착용했다. 이 위에 M1941 야전상의(夜戰上衣)를 주로 착용했으며, M1943 야전상의도 도입되었다. M1943 전투화를 착용하고, 군용장구로 개인장구요대(個人裝具腰帶)에 구급낭(救急囊), 권총집 등을 부착하여 사용했다. 한국광복군은 그 정체성과 독자성(獨自性)을 표지장(標識章)에 반영하였다. 특히 〈육군휘장도안〉을 제정하여 한국광복군만의 모표(帽標), 병과(兵科) 휘장(徽章), 견장(肩章), 수장(袖章), 단추를 정하였다. 일부 시행되지 않은 표지장도 있으나, 미군의 표지장 체계와 도안을 부분적으로 참고하여 중국 국민정부군의 것과는 확연한 차이를 두었다. 이 외에 한국광복군 영문 약자를 활용한 표지와 각 부대 표지가 패용되었으며, 이 표지장에 태극과 무궁화 문양을 넣어 한국광복군이 대한민국 군대라는 정체성을 표현하고, 착용자의 소속감과 사명감을 고취시켰다. 한국광복군은 열악한 외교·경제적 여건 속에서, 조국의 독립이라는 목표를 위해 끊임없는 군사 활동을 전개해 나갔다. 그들이 착용한 군복과 군용장구에는 한국광복군의 외교 관계를 비롯한 역사적 상황이 반영되어 있으며, 한민족의 자주(自主)적인 군대라는 정체성과 조국 광복을 향한 의지와 열망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B. 연구의 범위와 방법 4 1. 연구의 범위 4 2. 연구의 방법 6 3. 용어의 정의 8 Ⅱ. 한국광복군의 창설과 군사 활동 10 A. 한국광복군의 창설 10 1.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군사정책 10 2. 한국광복군의 창설 과정 11 3. 한국광복군과 중국 군사위원회와의 관계 12 B. 한국광복군의 조직과 활동 14 1. 한국광복군의 조직 14 2. 한국광복군의 활동 16 Ⅲ. 한국광복군이 착용한 중국 국민정부군 군복과 군용장구 19 A. 중국 국민정부군 군복 제도와 색상 19 1. 중국 국민정부군 군복의 시작 19 2. 중국 국민정부군 군복 제도의 변천 23 3. 중국 국민정부군과 한국광복군의 군복 색상 26 B. 중국 국민정부군 군복과 군용장구의 착용 30 1. 군모 30 2. 제복 38 3. 군화 56 4. 군용장구 61 Ⅳ. 한국광복군 군복 제도의 제정과 시행 67 A. 〈대한민국육군임시군제〉의 군복 제도 67 1. 〈대한민국육군임시군제〉 제정의 의의 67 2. 〈대한민국육군임시군제〉의 군모와 군복 69 B. 〈육군제복도안의 제정과 군복 및 군용장구의 착용 70 1. 〈육군제복도안〉과 〈육군휘장도안〉의 제정 및 의의 70 2. 〈육군제복도안〉의 시행 71 Ⅴ. 한국광복군이 착용한 미군 군복과 군용장구 94 A. 미군 군복 및 군용장구의 수용과 군복 색상 94 1. 한국광복군의 미군 군복 및 군용장구의 수용 94 2. 군복에 사용된 올리브 드래브색과 카키색 95 B. 미군 군복과 군용장구의 착용 97 1. 제복 97 2. 군화 107 3. 군용장구 108 Ⅵ. 한국광복군 표지장의 변천과 정체성 111 A. 한국광복군 표지장의 변천 111 1. 〈대한민국육군임시군제〉의 표지장 111 2. 중국 국민정부군 군복에 부착된 한국광복군 표지장 116 3. 〈육군휘장도안〉에 규정된 표지장 119 4. 미군 군복에 부착된 표지장 139 5. 〈육군휘장도안〉의 표지장 착용 시작 시기에 대한 논의 144 B. 한국광복군 표지장에 표현된 정체성 147 1. 한국광복군 표지장 제정의 의의와 기능 147 2. 한국광복군 표지장에 사용된 태극과 무궁화 문양 148 Ⅶ. 한국광복군 군복의 고증 154 A. 한국광복군이 착용한 중국 국민정부군 군복과 군용장구 고증 154 B. 〈육군제복도안〉의 군복 고증 159 C. 한국광복군이 착용한 미군 군복 고증 162 Ⅷ. 결론 165 참고문헌 169 ABSTRACT 1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7048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한국광복군의 군복과 군용장구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Military Uniforms and Gear of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dc.creator.othernameKim, Jeong Min-
dc.format.pagexvii, 17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