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62 Download: 0

이압요법이 외래 간호사의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Title
이압요법이 외래 간호사의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on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of Outpatient Nurses
Authors
이세나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효정
Abstract
간호사는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직업 중의 하나로 스트레스가 지속되면 간호업무의 생산성과 효율성이 저하되어 환자에게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없다. 이를 조기에 예방하고 최소화할 수 있는 중재법으로 보완대체요법의 하나인 이압요법을 외래 간호사에게 적용하여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압요법을 적용하여 외래 간호사의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무작위 배정, 단일맹검, 플라시보 대조군 전·후 설계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만 20세 이상, 60세 미만인 교대근무를 하지 않는 외래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6월부터 8월까지이다. 실험군은 28명, 플라시보 대조군은 26명으로 실험군은 4개의 이개혈(심, 신문, 수전, 뒷머리), 대조군은 4개의 이개혈(고관절, 손목, 팔꿈치, 어깨)에 왕불류행 씨앗을 1주일에 1회씩 첩압하고, 첩압 부위를 1일에 4회, 5주 동안 압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tata 14.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및 independent t test로 분석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 내 종속변수의 변화는 paired t test, Wilcoxon signed ranks test로 검정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종속변수의 변화 차이는 independent t test, Mann-Whitney U test로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압요법을 적용한 실험군과 플라시보 대조군은 스트레스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압요법을 적용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스트레스점수, 코르티솔 수치 및 심박변이도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이압요법의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는 입증하지 못했다. 둘째. ‘이압요법을 적용한 실험군과 플라시보 대조군은 불안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압요법을 적용한 후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불안점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이압요법은 불안 감소에 효과를입증하지 못했다. 셋째, ‘이압요법을 적용한 실험군과 플라시보 대조군은 우울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이압요법을 적용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우울점수 변화(Z=3.111, p=.002)와 세로토닌 수치(Z=6.304, p<.001)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우울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이압요법은 우울점수에 감소를 보였고 우울관련 생리적 지표인 세로토닌 또한 유의하게 변화하여 이압요법이 우울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압요법은 간호사의 우울감소를 위해 효과가 검증된 간호중재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was a randomized, sing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to test the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on the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of outpatient nurses. Data were collected before and 5 weeks after the experiment. Subjective variables such as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score as well as heart rate variability, blood cortisol, and serotonin levels were measured.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nurses who were not working shifts aged between 20 and 60 years ol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to August 2018, and the dependent variables of stress, anxiety, depression, heart rate variability, cortisol, and serotonin were measured before and 5 weeks after the experiment. there were 28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6 in the placebo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4 (shenmen, heart, anterior lobe, occiput) and 4 (hips, wrist, elbow, shoulder) areas and the adhesion site were pressed 4 times a day for 5 week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a 14.2.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as analyzed by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and independent t-test. the changes in the dependent variables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verified by paired t-test and Wilcoxon signed ranks test. The differences in the dependent variabl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verified by independent t-test and Mann Whitney U-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ypothesis that “stres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in the placebo control group will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was rejecte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ess score, cortisol levels and heart rate vari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fter applying the pressure regimen. Therefore, it seems that pressure therapy has no effect on stress reduction. Second, the hypothesi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anxie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placebo control group” was reject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nxiety scor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fter applying pressure therapy. Therefore, it seems that auricular acupressure has no effect on anxiety reduction. Third, the hypothesis that “there will be difference in depress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placebo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on scores (Z = 3.111, p = .002) and serotonin levels (Z = 6.304, p < .001)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us, it was shown that auricular acupressure was effective in decreasing de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depressive therapy decreased depression scores, and the depression-related physiological index, serotonin, also significantly changed. We conclude that it can be used as a nursing intervention method proven to reduce depression in nur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