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숙자-
dc.contributor.author차효성-
dc.creator차효성-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1:27Z-
dc.date.available2019-02-18T16:31:27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38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388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79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이행이론에 근거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 되기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환경적 조건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베트남, 중국 한족 출신의 출산 후 1년 이내 초산모 결혼이주여성 15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다문화 출생 비중이 높은 서울, 부산, 경기, 경북 지역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이민자통합센터에서 구조화된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 되기 지표 확인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 되기 지표로 모성역할 수행 자신감, 어머니로서의 자기정체감, 아기와의 동일시감 3요인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3요인이 어머니 되기를 측정하는데 타당한지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모형의 적합도 지수가 모두 양호한 수준이었고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 되기 지표로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 되기 관련요인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 되기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에는 연령(r = .34, p < .001), 한국 거주기간(r = .20, p = .014), 결혼기간(r = .17, p = .036), 결혼 후 출산까지 기간(r = .19, p = .021), 주관적 건강상태(r = .28, p = .001), 결혼 만족도(r = .30, p < .001)로 확인되었다.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 되기와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개인적 조건에는 산후우울(r = -.40, p < .001), 문화적응(r = .26, p = .001)이었고, 환경적 조건에는 배우자 및 가족의 정서적 지지(r = .34, p < .001), 지역사회자원 접근용이성(r = .27, p = .001)으로 확인되었다. 3.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 되기 영향요인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을 투입한 Model 1의 설명력은 19.6%였고, 연령이 증가할수록(β = .25, p = .004),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β = .18, p = .034), 결혼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β = .20, p = .014) 어머니 되기 정도가 높았다. 개인 및 환경적 조건을 추가로 투입한 Model 2의 설명력은 33.8%였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연령이 증가할수록(β = .19, p = .027), 개인적 조건의 산후우울 정도가 낮을수록(β = -.30, p = <.001), 그리고 문화적응 정도가 높아질수록(β = .20, p = .011) 어머니 되기 정도가 높아졌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 되기에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연령, 개인적 조건의 산후우울 및 문화적응이 영향을 미치며, 환경적 조건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 어머니의 연령을 고려하고, 문화적응을 높이고 산후우울을 낮추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결혼이주여성이 우리나라에서 어머니가 되는 안정적인 삶의 단계로 건강하게 이행할 수 있도록 돕고, 이를 통해 개인의 삶의 질 증진뿐만 아니라 가족 안녕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erson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that affect married immigrant women is Becoming a Mother based on Transition Theory. Study participants were 151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of Vietnamese (n = 109) or Chinese Han (n = 42) origins and whose first childbirth was within the previous year. Data were collected a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Immigrant Integration Centers in four major regions across Korea, Seoul, Busan, Gyeonggi-do, and Gyeongsangbuk-d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dicators of becoming a mother in married immigrant women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as indicators of becoming a mother including self-confidence in maternity-role performance, self-identity as a mother, and identification with the ba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becoming a mother as measured by the three factors. As a result, the fit index of the model was fair.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three factors were sub-factors and were valid as an index of becoming a mother for married immigrant women. 2. Factors affecting becoming a mother in married immigrant women The explanatory power of Model 1, which includ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19.6%. As age increased (β = .25, p = .004), subjective health status improved (β = .18, p = .034), and the women had greater marital satisfaction (β = .20, p = .014), they became more motherly. The explanatory power of Model 2, which added personal condition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was 33.8%; higher age (β = .19, p = .027), lower degree of postpartum depression (β = -.30, p <.001), and higher degree of cultural adaptation (β = .20, p = .011), led them to become more mother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becoming a mother for married immigrant women was influenced by age, personal conditions such as postpartum depression, and cultural adaptation, but environmental condition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Therefore, based on this study, national institutional programs and service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within 1 year of childbirth are needed. Such programs and services may reduce postpartum depression, raise cultural adjustment, and be a healthy transition for immigrant women to be come mothers in Korea, contributing not only to improving individuals’ quality of life, but also to family well-be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5 C. 용어 정의 6 Ⅱ. 문헌고찰 11 A. 어머니 되기 11 B.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 되기 13 C.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 되기 지표 15 D.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 되기 영향요인 17 Ⅲ. 개념적 기틀 31 Ⅳ. 연구방법 35 A. 연구설계 35 B. 연구대상 35 C. 연구도구 38 D.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56 E. 연구대상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58 F. 자료분석방법 59 G. 연구의 제한점 60 Ⅴ. 연구결과 61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61 B.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 되기 지표 확인 67 C.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 되기 영향요인 76 Ⅵ. 논의 83 A. 결혼이주여성의 출신국가별 인구사회학적 특성, 개인 및 환경적 조건 83 B.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 되기 지표 87 C.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 되기 영향요인 88 D. 간호학적 의의 97 Ⅶ. 결론 및 제언 99 참고문헌 101 부록 118 ABSTRACT 1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359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 되기 영향요인-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Factors Influencing Becoming a Mother for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dc.creator.othernameCha, Hyo Sung-
dc.format.pagevii, 165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