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92 Download: 0

노인요양시설 간호사 및 간호보조 인력의 인권감수성 및 노인학대인식이 인간중심케어에 미치는 영향

Title
노인요양시설 간호사 및 간호보조 인력의 인권감수성 및 노인학대인식이 인간중심케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mpact of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elder abuse perception on person-directed care for nursing staff in nursing homes
Authors
김은미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주현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간호사 및 간호보조 인력의 인권감수성, 노인학대인식, 인간중심케어를 파악하고, 다층 모형을 활용하여 인간중심케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수준과 조직수준의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8년 10월 19일부터 11월 9일까지 시행하였으며, A시·B시·C도·D도에 위치하고, 지리적 접근성이 용이한 28개의 노인요양시설을 편의추출하여 연구 참여에 동의를 한 14개의 노인요양시설에서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18년 6월 기준 노인요양시설 근무 경력이 6개월 이상인 간호사 및 간호보조 인력 135명이 참여하였다. 연구도구는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인권감수성 도구는 국가인권위원회(2002)가 개발한 성인용 인권감수성 척도를 사용하였고, 노인학대인식은 Moon과 Williams (1993)이 개발 및 방희명(2009)이 번역·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인간중심케어 측정을 위해 White 등(2008)이 개발하고 Choi와 Lee (2014)가 수정 및 번안한 Korean Measure of Person-Directed Care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HLM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변수의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 기술통계로 분석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권감수성, 노인학대인식, 인간중심케어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고 유의미한 경우 Scheffé 사후검증을 시행하였다. 인간중심케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수준과 조직수준의 요인을 파악하고, 분산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위계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ing)을 적용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는 간호사 42.2%(57명), 요양보호사 37.8%(51명), 간호조무사 20.0%(27명)으로 총 135명이 참여하였으며, 여성이 97.8%(132명)로 대부분이었다. 평균 연령은 53.03±8.34세이며, 최종학력은 대학교졸업이 43%(58명)으로 가장 많았고, 종교를 가진 사람이 82.2%(111명)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기혼자가 95.6%(129명)이었고, 정규직이 77.8%(105명)으로 더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현재 근무하는 노인요양시설에서의 재직기간은 간호사 평균 14.08±4.71년, 간호조무사 평균 10.00±3.77년, 요양보호사 평균 14.25±3.85년이었다. 해당 직업의 총 경력은 평균 34.00±14.63년으로 가장 높았다. 총 14개의 시설이 참여하였으며 모두 대도시에 소재하였고, 해당 노인요양시설의 간호사 비율은 평균 7.63±4.53%였다. 정원규모는 평균 106.89±75.58명, 정원 충원율은 평균 94.29±12.49%이었다. 2. 노인요양시설 간호사 및 간호보조 인력의 인간중심케어는 약 2.1% 개인 수준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인간중심케어와 관련한 개인적 특성의 요인은 종교로, 종교가 없는 경우에 인간중심케어 수준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인권감수성과 노인학대인식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 조직수준의 설명 변수는 인간중심케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노인요양시설 간호사 및 간호보조 인력의 인간중심케어에 개인 수준의 요인에서 종교가 영향을 미치며, 조직수준의 변수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종합되었다. 이에 추후 인간중심케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간중심케어와 관련한 지식수준, 직무만족도, 업무 능력 등의 개인 수준의 요인 및 이직률, 인간중심케어 관련 교육 제공 및 시설의 지원, 시설 내 팀워크 등의 조직 수준의 요인 등 다양한 변인을 고려한 연구를 제안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참여시설 간 특성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제한점이 따르므로 이를 보완한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gree of human rights sensitivity, elder abuse perception, and person-directed care of nursing staff in nursing homes, and to determine the factors of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which have an influence on person-directed care using a hierarchical-linear model(HLM).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135 nursing staffs from 14 nursing homes. Data were collected from Oct. 19 to Nov. 9, 2018. This study us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including human rights sensitivity, elder abuse perception, person-directed care. This study analyzed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3.0/HLM 7.0. To analyzed the differences in human rights sensitivity, elder abuse perception and person-directed care consequent on general characteristics using t-test and ANOVA. HLM 7 program was used to analyze effects of the factors of individual level and organizational level on person-directed care.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A total of 135 participants included, 42.2% were registered-nurse (RN), 20% were Certified Nurse Aides (CNA), and 37.8% were care worker. Their average age was 53.03±8.34, a university graduation accounted for 43%, and accounting for 82.2% of subjects who had a religion. The married subjects accounted for 95.6%, and 77.8% of the subjects were found to full time employees.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 total of 14 nursing homes, and the average of nurse proportion was 7.63±4.53%. The number of the fixed number size of the facilities was found to be 106.79±75.58, and the filling rate of the fixed number was confirmed to be 94.29±12.49% on an average. 2. Person-directed care was explained with 2.1% explanation power at an individual level, and the explanatory variable of an organizational level was confirmed not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This study also confirmed that the ‘no-religion’ variabl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had a nega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person-directed care through the significance test (Coef.=-7.384, p=.035). Accordingly, it means that in case of no religion, the level of person-directed care is low. This study confirmed that human rights sensitivity, elder abuse perception,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nursing hom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erson-directed care. And, this study confirmed that in general characteristics at an individual level, a religion had an influence on person-directed care. In previous studies, person-directed care at a nursing home was under the influence of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nconsistent with prevalent researh, this study has a limit of the failure to consider a difference between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variables of a nursing home due to data collection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ccordingly, it need to repetitively implement the extension research in the light of diverse variables in the follow-up research with the aim to determin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having an influence on person-directed care.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efforts to improve the level of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elder abuse perception of nursing staff for the prevention of human rights violations, and elder abuse, which could arise at a nursing home. To enhance the nursing staff’s human rights perception, there is a need for phased education which takes their education and knowledge level into account, and can induce them to internalize a human-rights-friendly inclination. Further, this study thinks that it’s necessary to develop a manual at a level of a care facility, which can present substantial examples related to an infringement on elder human rights, and elder abuse, and afford to prevent and mediate such an adverse situ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