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88 Download: 0

중환자실 간호사의 중환자실 증후군 지식, 직무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이 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중환자실 간호사의 중환자실 증후군 지식, 직무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이 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knowledge of intensive care unit syndrome,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n nursing activities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Authors
정윤정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수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knowledge of ICU syndrome,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n nursing activities, and to provide evidence for nursing education and promoting nursing activities in intensive care. This study compiled convenience sampling of nurses who currently work in all ICUs in five hospital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7. The participants were 225 nurse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ICU nurses’ knowledge of ICU syndrome was measured using the ICU Delirium Knowledge Measurement Tool, which was developed by Cho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Park. ICU nurses’ job stress was measured using the Expanded Nursing Stress Scale, which was developed by Gray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Robinson. Self-efficacy was measured using the Self-Efficacy Measurement Tool for clinical nursing activities, which was developed by Cheraghi. Finally, nursing activities among ICU nurses was measured using the Delirium Nursing Activity Measurement Tool, which was developed by Cho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Park.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2.0.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tili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ubjects had an average of 33.2 ± 5.20 points for ICU nurses’ ICU syndrome knowledge, 165.4 ± 33.03 points for job stress, 132.0 ± 19.02 points for self-efficacy, and 69.1 ± 11.53 points for ICU nursing activity. 2. ICU nurses’ knowledge of ICU syndrom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ICU experience, education related to nursing care for ICU syndrome, and considering the need for guidelines for ICU syndrome nursing. Job stress of th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total clinical experience, experience of difficulty in resolving ICU syndrome, and education related to ICU syndrome nursing. The subjects' self-efficac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education, total clinical experience, ICU career, and considering the need for guidelines for ICU syndrome nursing. 3. Nursing activities of th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general clinical experience, ICU experience, ICU syndrome nursing guidelines, and education related to nursing care for patients with ICU syndrome. 4. The subjects' nursing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CU nurses’ knowledge of ICU syndrome, job stress, and self-efficacy. The subjects' self-efficacies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CU nurses’ knowledge of ICU syndrome and job stress. 5. The variables affecting the nursing activities of the subjects were job stress, self-efficacy, and nursing practice guidelines related to ICU syndrom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bles was 22.1%.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rvention to improve the nursing activities of ICU syndrome among ICU nurses, to improve self-efficacy, and to develop nursing practice guideline related to ICU syndrome.;중환자실 증후군은 급성 뇌기능 장애로 80%의 빈도로 중환자실 입원 후, 급작스런 발병을 특징으로 하는 일시적인 증후군으로 중환자실 증후군이 발생하면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질병의 예후가 악화되어 중환자실 재원일이 증가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게 된다. 중환자실 간호사는 중환자실에서 환자 옆에 24시간 함께 하는 의료진으로서 중환자실 증후군이 발생했을 경우에 중환자실 증후군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적절한 간호활동으로 더 이상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간호사의 간호수행은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중환자실 지식, 직무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이 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종합병원에서 신생아 중환자실을 제외한 모든 중환자실에 현재 근무하는 간호사 2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11월 0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시행되었다. 중환자실 증후군 지식은 조귀래(2001)가 개발하고 박용숙(2011)이 수정 및 보완한 중환자실 섬망 지식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직무스트레스는 Gray 등(1981)이 개발한 Nursing Stress Scale(NSS)를 토대로 Robinson(2004)이 발전시킨 Expanded Nursing Stress Scale (ENSS) 도구를 번역과 역번역 후 연구자가 수정 및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기효능감은 Chersghi 등(2009)이 개발한 임상 간호활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측정 도구를 번역과 역번역 후, 연구자가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중환자실 증후군 간호활동은 조귀래(2001)가 개발하고 박용숙(2011)이 수정 및 보완 한 섬망 간호활동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2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각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e’s 사후검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중환자실 증후군 지식은 평균 33.2±5.20점, 직무스트레스는 평균 165.4±33.03점, 자기효능감은 평균 132.0±19.02점, 중환자실 증후군 간호활동은 평균 69.1±11.53점 이었다. 2. 대상자의 중환자실 증후군 지식은 연령, 중환자실 경력, 중환자실 증후군 환자 간호와 관련된 교육 이수 여부, 중환자실 증후군 간호를 위한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학력, 총 임상경력, 중환자실 증후군을 해결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은 경험, 중환자실 증후군 환자 간호와 관련된 교육 이수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자기효능감은 연령, 학력, 총 임상경력, 중환자실 경력, 중환자실 증후군 간호를 위한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간호활동은 연령, 총 임상경력, 중환자실 경력, 중환자실 증후군 간호지침 유무, 중환자실 증후군 환자 간호와 관련된 교육 이수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간호활동은 중환자실 증후군 지식,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자기효능감은 중환자실 증후군 지식,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대상자의 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중환자실 증후군과 관련된 간호지침 유무로 나타났고 변수의 설명력은 22.1%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의 중환자실 증후군에 대한 간호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직무스트레스를 조절하고,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 개발과 중환자실 증후군과 관련된 간호지침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