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42 Download: 0

수술 후 노인 회복 환자에 대한 주요 간호진단-간호중재-간호결과 연계체계에 관한 연구

Title
수술 후 노인 회복 환자에 대한 주요 간호진단-간호중재-간호결과 연계체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Nursing Diagnosis–Nursing interventions–Nursing outcomes (NNN) Linkage System for Elderly Patients of Post Anesthetic Care Unit
Authors
박현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주현
Abstract
본 연구는 수술 후 노인 회복 환자에게 적용되는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를 확인하고, 간호진단-간호중재-간호결과의 연계체계를 확인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일개의 종합병원에서 3월 24일부터 5월 23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연구자가 회복실에 입실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환자 중 홀수 순번으로 입실하는 대상자를 편의추출하는 방식으로 220명을 선정하여 직접 회복 간호를 담당하였다. 연구도구는 1982년 북미간호협회에서 개발하고 2012년에 수정․보완된 간호진단을 차영남 등(2013)이 한글로 번역한 221개 중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수술 회복 노인 환자 특성을 반영한 총 23개로 도출하였다. 간호중재는 1987년 아이오와 대학에서 개발하고 2008년에 수정․보완된 간호중재를 최순희 등(2015)이 한국 간호 실정에 맞게 채택하여 번역한 211개 중 수술 회복 노인 환자 특성을 반영한 45개로 도출하였다. 간호결과는 1991년에 아이오와 대학에서 개발하고 2008년에 수정․보완한 간호결과를 최순희 등(2012)이 한글로 번역한 385개 중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수술 회복 노인 환자 특성을 반영한 총 27개로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총 220명으로 평균 연령은 73±6.0세였으며 여성이 50.9%(112명)이었다. 보유질환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는 90.5%(199명)이었고 수술명은 인공관절 수술 22.3%(49명)로 가장 많았다. 2. 수술 후 노인 회복 환자의 주요 간호진단과 간호진단별 관련요인, 간호진단별 특성정의 중 간호진단은 저체온이 29.0%(122건)로 가장 많았고, 간호진단별 관련요인은 추운환경 노출 47.0%(108건), 노화 53.0%(122건), 간호진단별 특성정의는 정상범위 이하로 체온저하 41.9%(122건), 차가운 피부37.1%(108건), 오한 30.0%(61건)로 나타났다. 3. 수술 후 노인 회복 환자의 주요 간호중재는 활력징후감시 10.0%(152건), 정맥주사요법 9.3%(142건), 체온조절 8.0%(122건), 호흡감시 7.8%(118건), 단순이완요법 7.2%(110건)순으로 나타났다. 4. 수술 후 노인 회복 환자의 주요 간호결과는 활력징후 상태가 19.0%(135건)로 가장 많았고, 체온조절 17.2%(122건), 통증수준 15.3%(109건), 안위수준 12.2%(87건), 호흡기 상태: 환기 11.5%(82건)순 으로 나타났다. 5. 수술 후 노인 회복 환자의 주요 간호진단-간호중재-간호결과 연계체계 6개는 저체온-체온조절-체온조절, 급성통증-통증관리-통증수준, 심박출량 감소-활력징후 감시-활력징후 상태, 비효율적 호흡양상-호흡감시-호흡기 상태: 환기, 구강점막 손상-구강간호 유지-구강위생, 오심-오심 관리-오심, 구토관리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수술 후 노인 회복 환자의 주요 간호진단-간호중재-간호결과 연계체계 6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수술 후 노인 회복 환자의 주요 간호진단-간호중재-간호결과 연계체계를 확인함으로써 수술 후 회복 중인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이고 개별적인 간호제공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dentify the nursing diagnosis–nursing interventions–nursing outcomes (NNN) system to provide a standardized language for elderly patients of post anesthetic care unit. The patients chosen as participants were those recovering in a convalescent ward who had an operation in a hospital between March 24, and May 23, 2016 in Seoul. Measurements for this study came from three sources: the standardized language of the nursing diagnoses developed by NANDA, the intervention of the NIC, and the outcomes of NOC for elderly patients. Also included is precedence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patients. This study defined 23 nursing diagnosis characteristics and related/risk factors, 47 nursing interventions, and 27 nursing outcomes, linking NANDA, NIC, and NOC.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2.0. The average age of patients was 73 ± 6.0 years. Of NNN linkage codes, 6 emerged as most frequently used: • Risk for Imbalanced Body Temperature–Temperature-Thermoregulation • Acute Pain–Pain Management–Pain Level • Decreased Cardiac Output-Vital Signs Monitoring–Vital Signs Status • Ineffective Breathing Pattern–Respiratory–Respiratory: Ventilation • Impaired Oral Mucous Membrane–Oral Health Maintenance–Oral Hygiene • Nausea–Nausea Management–Nausea & Vomiting Control The characteristic result of NNN for elderly patients with surgery were Temperature–Temperature-Thermoregulation and Impaired Oral Mucous membrane–Oral Health Maintenance–Oral Hygiene. Using the standardized codes in nursing language not only confirms the linked system of NNN for elderly patients who are recovering from an operation, but also makes use of fundamental data for the process of patient recove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