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영민-
dc.contributor.author장유정-
dc.creator장유정-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1:14Z-
dc.date.available2019-02-18T16:31:14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42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423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73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이주자 밀집지역으로 재구성되고 있는 국내 도시의 구체적인 현실을 파악하고, 급변하는 다문화 현상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상호문화도시 정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두 번째로 많은 외국인이주자가 거주하는 지역이자, 원도심을 중심으로 이주자 유입이 가속화되고 있는 수원시를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수원시는 이들의 정착을 돕기 위한 다양한 유형의 도시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는 대내적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본 연구의 세부목적은 첫째, 수원시 대표 원도심인 팔달구의 선주민 배출요인과 이주자 흡인요인을 분석하여 이곳이 이주자 밀집지역으로 재구성되는 양상과 그 과정에서 형성된 이주자공간의 특성을 파악한다. 둘째, 수원시 이주자와 이주자공간에 대한 선주민의 인식과 태도를 분석하고, 이주자공간이 주류사회와의 상호작용을 매개하고 있는지를 알아본다. 셋째, 수원시 다문화도시 정책의 현황과 특징을 알아보고, 궁극적으로 이 정책이 이주자의 일상과 이주자공간의 사회공간적 의미를 충분히 반영하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넷째, 유럽의 상호 문화도시 정책의 내용과 의의를 밝히고, 이 정책이 기존의 다문화도시 정책을 어떻게 보완하는지를 논의한다. 다섯째, 상호문화도시 정책의 사례를 참고하여 지방 정부가 이주자와 선주민의 일상적인 교류와 상호이해를 촉진하는 방식을 살펴본다. 그리고 각 사례가 수원시에 시사하는 바를 토대로 수원시에 상호문화도시 정책을 제안하며,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상에 대한 이해를 위해 논문과 보고서 등 문헌자료와 통계자료를 활용하되, 연구지역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위하여 현장답사, 참여관찰, 심층인터뷰를 병행하였다. 특히 이주자공간이 주말 혹은 휴일에 이주자의 집중도가 높다는 점을 고려하여 일시를 달리하여 2018년 8월부터 12월까지 총 10회의 현장답사를 진행하였다. 더불어 총 22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고, 팔달구에서 나고 자란 선주민, 수원시 다문화도시 정책 담당 공무원, 이주자 지원기관 관계자, 이주자 등 가능한 수원시 구성원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연구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원시 팔달구는 원도심의 쇠퇴에 따른 선주민의 인구유출과 저렴한 거주지와 편리한 교통망을 찾아 들어온 이주자의 유입이 맞물려 이주자 밀집지역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주자의 정체성과 실천행위가 공간상에 표출됨에 따라 팔달구에는 중국동포거리와 소위‘다문화푸드랜드’라 불리는 곳이 형성되었으며, 이주자들은 이러한 공간을 기반으로 지역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다. 한편 중국동포거리가 수원시에 거주하는 한국계 중국인들에 의해 자생적으로 형성된 반면, 다문화푸드랜드는 관(官) 주도로 만들어졌고 수원시를 방문하는 외국인근로자가 주요 이용집단이라는 점에서 차이를 갖는다. 둘째, 수원시 이주자공간은 주류사회와 교류의 지점을 찾지 못한 채 사회공간 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중국동포거리는 한국계 중국인 유입에 따른 지역쇠퇴담론이 확산되고 대중매체에 의해 이곳이 부정적으로 재현되면서 공포와 혐오의 장소로 낙인찍히게 되었다. 다문화푸드랜드는 선주민이 가지 않는 전통시장 부근의 지하 공간에 만들어져 그 경관이 드러나지 않아 존재 여부조차 알려지지 않은 채 방치되어 있다. 이렇게 이주자공간에 대한 선주민의 물리적‧사회적 거리감이 더욱 커지는 상황에서 선주민과 이주자는 병존이라는 차원을 넘어선 상호작용을 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수원시 다문화도시 정책은 방법론적 국가주의의 전형적인 한계를 보이며 현실과 괴리되어 있다. 즉, 해당 정책은 정책을 만들고 시행하는 데 있어서 지방 정부의 역량이 부족하고, 이주자를 타자화함에 따라 한국인 선주민과의 경계를 강화하며, 이주자공간을 중심으로 이주자가 지역사회에서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가에 대해 심층적으로 논의하지 못하고 있다. 이주자에 대한 포용성과 이들이 일상에 대한 구체성이 결여된 정책은 결국 선주민과 이주자의 상호작용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수원시는 현재 다문화도시 정책의 대안으로 유럽의 상호문화도시 정책을 도입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수원시는 먼저 이주자의 유입으로 급변하는 지역사회의 현실을 파악하고, 특히 이주자공간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를 통해 이들의 일상이 지역사회에서 전개되는 양상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후, 국가 와 민족을 구분 짓는 기존의 정책적 접근에서 탈피하여, 이주자와 선주민이 공동체적 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집단 간 상호이해와 교류를 장려하는 정책을 고안해야 한다. 국내 다문화도시 정책이 선주민과 이주자의 갈등을 심화시킨다는 비판이 커지며, 이에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정책적 패러다임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상당히 시기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주자의 공간적 분포와 밀집현황에 대한 현상기술에서 그치는 기존 연구의 한계에서 벗어나 궁극 적으로 이것이 가지는 도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내 다문화 도시 정책을 상호문화적인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특정 도시를 대상으로 상호문화도시 정책의 도입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더욱 많은 이주자가 국내로 유입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들과 선주민의 관계를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물음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상호문화도시 정책 은 두 집단이 일상적인 만남과 상호작용을 통해 공통의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이에 걸맞은 도시의 물리적·사회적·경제적·문화적 여건을 조성할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외국인이주자와 한국인 모두를 위한 도시정책의 지향점과 그 내용을 설정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This study identifies the realities of Korean cities that are being reconstructed as ethnic places and proposes the Council of Europe’s Intercultural city policy that allows for effective response to the rapidly changing multicultural phenomenon. For this purpose, Suwon City, the second most populated city by migrants in Korea and where a large number of migrants are concentrated around the old downtown, was selected as the study area. Suwon City has implemented various types of urban policies which are highly regarded nationally to help migrants settle dow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analyzes the push factors of Korean residents and the pull factors of migrants of Paldal-gu, the old downtown of Suwon in order to see how Paldal-gu is being reconstructed as an ethnic place. In addition, it also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grant spaces that are created in the process of reconstruction. Second, it analyzes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Korean residents towards migrants and migrant spaces in Suwon and investigates whether those places mediate the interaction with mainstream society. Third, the pres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Multicultural city policies of Suwon will be examined, and this policy will be critically considered to find out if it fully reflects the daily lives of migrants and socio-spatial meaning of migrant spaces. Fourth, it discusses the contents and significance of European intercultural city policy and examines how this policy can complement existing multicultural city policies. Fifth, it refers to examples of intercultural city policies to see how local governments promote daily interaction and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migrants and Korean residents. Based on the implication of each case, this study proposes intercultural city policy for Suwon and presents concrete directions. This study began by conducting literature review including academic journals dealing with the theory of ‘Multiculturalism and Interculturalism’, ‘Intercultural city policy’ and ‘Relational concept of place’. Formal statistics from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in Korea and Suwon City were also used.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study area, field works,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s were conducted at the same time. Considering that the concentration of migrants is high on weekends or holidays, field works were conducted 10 times from August 2018 to December 2018 at various times and days. Moreover,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20 people including Korean residents born and raised in Paldal-gu, foreign residents, Suwon’s multicultural city policy officers and the officers of the migrant support agency in Suwon. This was to include the stories of various people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ldal-gu of Suwon is being reconstructed as an ethnic place due to the decline of Korean residents followed by the decline of the old downtown and the influx of migrants who came to find cheap housing and a convenient transportation network. As the identity and practices of migrants are expressed in the space, Korean-Chinese streets and so called ‘Multicultural foodland’ are being created in Paldal-gu. The migrants are living in the local community based on these migrant spaces. Besides, the Korean-Chinese’s street was formed spontaneously by Korean-Chinese living in Suwon city while Multicultural foodland was created by local government and is now used by foreign laborers who visit Suwon. Second, Suwon’s migrant spaces are socio-spatially divided without the interactions with the mainstream society. The Korean-Chinese street has been stigmatized as a place of fear and disgust because of the discourse that blame regional decline for Korean-Chinese influx and the media’s negative representation. The multicultural foodland was built in an underground space near traditional local markets where Korean residents don’t go anymore, therefore the landscape is invisible, leaving multicultural foodland unknown. In such situations where the social distance towards the migrants is increasing, the migrants are not able to interact beyond the level of coexistence with Korean residents. Third, Suwon’s multicultural city policy shows the typical limits of methodological nationalism and is alienated from reality. That is, the local government lacks the ability to create and enforce the policy and it reveals the otherness of foreign residents, strengthening the boundaries between migrant and Korean resident. Moreover, Suwon’s multicultural city policy fails to discuss in-depth how migrants live in local community around the migrant space. Ultimately, the policy that lacks tolerance for migrants and specificity of migrants’ daily life seems to make interaction between Korean residents and migrants more difficult. Fourth, Suwon should consider adopting European intercultural city policy as an alternative to the current multicultural city policy. Ultimately, Suwon’s local government needs to understand the rapidly changing reality of the region and the way how foreign residents’ daily lives are structured in the local community through the in-depth discussions on migrant spaces. Next, the local government should come up with an intercultural policy to encourage mutual understanding and interactions between migrants and Korean residents so that they can foster a sense of community. This study is quite timely considering there is an increase in the demand for a new policy paradigm that can be an alternative to the nation’s multicultural city policy, which is deepening conflicts between Korean residents and foreign residen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drawing urban political implications out of foreign residents’spatial distribution and concentration, while the existing researches have merely described such a phenomenon.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intercultural city policy while critically examining the multicultural city policy from intercultural perspectives. As the number of migrants in Korea is expected to increase, questions are being raised on how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Korean residents. In response, the intercultural city policy proposes to create a physical,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urban environment where these two groups could form a common identity through daily encounters and interactions.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Korea’s urban policy for both migrants and Korea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 B. 연구지역 및 연구방법 5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14 A.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 14 B. 상호문화도시 정책 21 C. 장소의 관계적 구성 29 Ⅲ. 수원시 이주자공간의 관계적 재구성 34 A. 원도심 이주자공간의 형성 원인과 과정 36 1. 원도심의 기능 쇠락과 선주민 인구의 감소 36 2. 외국인이주자의 유입과 이주자공간의 확대 39 B. 이주자공간의 경관과 기능 46 1. 거주자 생활공간으로서의 중국동포거리 46 2. 방문자 여가공간으로서의 다문화푸드랜드 52 C. 이주자공간의 사회공간적 분리 58 1. 경계긋기와 단절의 공간, 중국동포거리 58 2. 무관심과 고립의 공간, 다문화푸드랜드 62 Ⅳ. 다문화도시 수원의 한계와 대안 70 A. 수원시 다문화도시 정책의 현황과 한계 70 1. 수원시 다문화도시 정책의 현황 70 2. 수원시 다문화도시 정책의 문제점 75 B. 해외 상호문화도시 정책의 사례 85 C. 상호문화도시 수원을 향한 정책적 제언 92 Ⅴ. 결론 및 제언 98 참고문헌 101 ABSTRACT 10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3366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도시 내 이주자공간의 특성과 상호문화도시 정책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수원시 팔달구를 사례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grant Spaces and the Necessity of Intercultural City Policy : Focusing on Paldal-gu, Suwon City-
dc.creator.othernameJang, You Jeong-
dc.format.pageviii, 11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과교육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