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6 Download: 0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 유아의 사회성 기술과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Title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 유아의 사회성 기술과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Social Skill and Activity Engagement of Young Children in Inclusive Class
Authors
허수연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소현
Abstract
유아기는 주변 환경과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하면서 공동체에서 지켜야 할 규칙을 학습하고 상대방과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시기이다. 이 과정에서 유아들은 성인이나 또래와의 갈등을 겪기도 하고, 사회적 맥락에서 수용되기 어려운 행동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유아기에 발생한 행동 문제를 적절하게 중재하지 못하면 이러한 행동은 학령기가 되어 더욱 심화되거나 만성화된다. 때문에 발달의 가소성이 큰 유아기에 행동 문제를 최대한 예방하려는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대체하는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은 모든 유아를 대상으로 행동 문제를 예방 및 감소시키고 사회정서 발달을 향상시키는데 주요 목적을 둔 보편적 지원으로 유아교육 현장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은 협력팀과의 문제해결과정을 통해 유아를 둘러싼 생태학적 환경을 점검 및 수정하여 예방적인 환경 조성, 바람직한 사회적 행동 교수, 행동에 대한 반응전략을 제공하는 중재이며 가정과 연계된 일관된 지원을 중시한다. 또한 이 접근은 유아가 속한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교육과정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행동지원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때문에 유아교육 현장에서는 학급 차원에서 유아의 행동 문제를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 보편적 수준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 5세 두 개 통합학급이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참여하여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 유아의 사회성 기술과 이야기나누기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험집단에 통합된 장애 유아를 대상으로는 이야기나누기와 자유선택활동 시간의 활동 참여에 나타난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학급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은 준비(협력팀 구성 및 교육, 학급 진단), 계획, 실행(예방적 실제, 행동 교수, 행동 반응전략, 가정연계), 평가(유아 및 교사 수행 평가)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중재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를 적용하였고,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 변화 추이는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실험절차는 사전검사, 중재, 사후검사 순서로 진행되었으며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 및 사후검사 때 각 1회, 중재 기간 6회, 총 8회의 자료수집을 위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종속변인인 유아의 사회성 기술을 측정하기 위하여 학급 전체 유아를 대상으로 한국 사회성 기술 검사(이하 K-SSRSP)(윤치연, 2008)를 일반교사가 평정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중재전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두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학급 전체 유아의 이야기나누기 활동 참여율을 측정하기 위해서 Engagement Check Ⅱ(McWilliam, 1999)의 관찰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사전검사 결과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공분산 분석(ANCOVA)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이야기나누기와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10초 부분간격기록법으로 활동 참여율, 활동 참여 유형별 발생률을 측정하여 변화추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학급 전체 유아의 사회성 기술,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및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 유아들을 대상으로 학급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행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사회성 기술의 사전 사후 검사의 변화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성 기술의 하위 영역인 문제해결, 정서표현, 질서의식, 자신감에서 모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검사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결과를 나타냈다. 둘째, 통합학급 유아들을 대상으로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행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이야기나누기 활동 참여의 사전 사후검사의 변화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이야기나누기와 자유선택활동의 활동 참여율과 활동 참여유형별 발생률은 장애 유아에 따라 부분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과 같이,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은 통합학급 전체 유아의 사회성 기술과 활동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보편적 수준의 지원이지만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에도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통합학급에서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체계를 제시하고, 보편적 지원 요소를 학급 일과 및 교육과정 활동과 최대한 연계하여 실행하여 유아교육 현장에서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지속적인 실행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Early childhood is a period to continuously interact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learn the rules that should be observed in the community and form social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this process, young children often experience conflicts with adults or peers and cause challenging behaviors that cannot be accepted in social context. Failure to properly intervene in the challenging behaviors in the early childhood results in more intensified or chronic behaviors in the school age. Therefore, in early childhood where development is highly plastic, the approach to prevent challenging behaviors as much as possible is necessary, and it is important to acquire social skills to replace it. In this context,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can be useful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 universal support aimed primarily at preventing and reducing challenging behaviors and improving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all young children.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focuses on consistent supports related to home with intervention that creates preventive environment, instructs desirable social behaviors and provides responsive strategies for behaviors by monitoring and arranging ecological environment surrounding young children through problem-solving process with collaborative team. In addition, this approach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effective and systematic behavioral supports without disrupting the flow of curriculum in the natural environment in which young children belo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the universal level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to effectively deal with challenging behaviors at the classroom level. In the study, two inclusive classes of five-year-olds engaged respectively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social skills and engagement of circle time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in inclusive classroom.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were includ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changes to engagement of circle time and free-choice activities were examined.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preparation and planning stage including composition and training of collaborative team, classroom assessment and implementation planning, implementation stage including preventive practices, teaching behaviors, behavior response system and family involvement, evaluation stage including performance evaluation of children and teacher. This study has applied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to examine the effect of intervention, and the trend of change in engage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examined through case studi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all young children of inclusive classroom, the general teacher measured social skills in natural environment by conducting K-SSRS. Independent t-tests were implemen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of each group. Also, The observation method of Engagement Check II(McWilliam, 1999) was used to measure the engagement rate of circle time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of the inclusive classroom.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verified with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the activity engagement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engagement rate and engagement occurrence rate of each type of activities were measured with the 10-second partial-interval recording method during circle time and free-choice activities and its development of changes was analyzed. In the study, social skills of young children in the inclusive classroom, the effects on activity engagement and the effects on activity engagement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s a result of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of young children in the inclusive classroom,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changes in pre- and post-tests of social skills. Sub-areas of social skills, including problem-solving, emotional expression, sense of public order and self-confidence, all resulted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econd, the results of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young children in inclusive classroo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changes in pre- and post-tests circle time engagement for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ird, the effects of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activity engagement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sulted in the partial increase in the engagement rate of circle time and free-choice activities and the occurrence rate by activity type depending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s above, it was verified that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at the class-wide had positive effects on social skills and engagement of activities of young children in the inclusive classroom. Moreover, despite its universal level of support,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made positive changes partially to the activity engagement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d the system to effectively implement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at the inclusive classroom and implemented universal support factors in conjunction with classroom routine and curriculum activities to the fullest extent possible, thereby demonstrating the continuous feasibility of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