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8 Download: 0

중년남성의 공감적 대화 경험에 관한 연구

Title
중년남성의 공감적 대화 경험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mpathetic conversation experience of middle-aged men
Authors
임미화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곽삼근
Abstract
이 논문은 중년남성들의 공감적 대화 경험에 관한 연구로, 공감적 대화 경험의 과정과 그로 인해 나타나는 삶의 변화를 탐색함으로써 공감적 대화 경험이 중년남성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중년남성들의 공감적 대화 경험을 연구하기 위해 그들의 일상에서의 소그룹 대화모임에 주목하였다. 이는 중년남성들의 평생학습적 연구가 일터에서의 학습연구에 치우쳐 일상에서의 학습연구가 간과된 측면을 고려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소그룹 대화모임은 10명 내외의 중년남성들이 1~2주에 1~2회 이상 정기적으로 만나 대화하며 자기 자신과 삶을 나누는 모임으로 정의하였다. 중년남성은 만 40세에서 60세의 남성으로 설정하고 소그룹 대화모임에 참여하는 9명의 중년남성을 의도적 표집 및 눈덩이 표집 방법을 통하여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중년남성들이 소그룹 대화모임에서 경험한 공감적 대화와 그 의미를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심층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질적 연구방법들 중 현상학적 연구방법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학자들에 따라 의미와 본질을 도출해내고 분석하는 방법이 다양한 현상학적 연구방법 중 본 연구는 Giorgi가 제시한 4단계의 현상학적 질적 분석의 절차를 따랐다. 자료의 수집은 2018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8개월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심층 인터뷰를 주로 사용하였고 참여관찰을 보조적 수단으로 활용하였다. Giorgi가 제시한 4단계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따라 자료를 분석한 결과 9명의 연구 참여자의 진술을 여러 번 읽어 총체적으로 파악한 후 411개의 의미 단위를 구분하였다. 다음으로 현상학적 연구의 자유변경법(imaginative variation)을 사용하여 적절한 용어로 변형하면서 411개의 의미단위들 중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는 것들을 묶어 92개의 의미단위로 요약하였다. 마지막으로 학문적 표현으로 변형된 의미단위들에서 16개의 하위구성요소와 5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도출된 5개의 구성요소와 그 하위구성요소를 살펴보면 ①대화에 대한 중년남성들의 평소 생각들: 대화와 관계는 불가분, 편안한 대화 vs 불편한 대화, ②대화모임에 대한 중년남성들의 이중적인 생각: 남성 대화모임의 필요성에 대한 긍정적 심리, 남성 대화모임의 참여에 대한 부정적 심리, ③‘나 드러내기’로 대화모임에 적극적 참여 시작: 대화모임 초기 두려움과 불신, 대화모임에서 ‘나 드러내기’가 시작됨, ‘나 드러내기’로 대화모임에서의 신뢰 형성, ④대화모임에서 공감적 대화 경험: 신뢰와 믿음 위의 진솔한 대화, 남성들만의 공감대, 위로를 주는 수용과 존중의 개방적 태도, 상대방을 배려한 어설픈 피드백 자제, 수평적 구조 안에서의 편안한 대화, ⑤공감적 대화 경험 이후 삶의 변화: 자신을 향한 성찰의 삶, 타인을 향한 배려의 삶, 우리를 통한 배움의 삶, 관계맺음을 통한 의미추구의 삶으로 요약된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밝혀진 중년남성들의 공감적 대화 경험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남성들은 과거에 남성들과의 대화에서 경험했던 피상적 대화, 배려 없는 대화, 위계적인 대화, 무미건조한 대화, 문제해결 위주의 대화 등 불편한 대화의 경험들을 ‘나 드러내기’경험을 시작으로 성찰한다. 둘째, 중년남성들은 진솔한 대화, 다양한 공감대 위의 대화, 개방적 태도의 대화, 배려의 대화, 수평적 대화 등의 소그룹 대화모임에서 경험하는 대화의 특징들을 통하여 새로운 형태의 대화를 추상적으로 개념화한다. 이러한 대화를 본 논문은 공감적 대화로 정의한다. 셋째, 중년남성들이 경험한 공감적 대화는 ‘앎’에서 머무르지 않고 대화모임 안에서 지속적인 실천의 과정을 통해 삶의 변화로 나타나며 대화모임과 각자의 삶의 다양한 사회적·관계적 맥락 속에서 상호작용으로 경험되어지고 실천되어진다. 이러한 내용으로 볼 때 공감적 대화 경험의 과정은 경험학습의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공감적 대화를 통한 중년남성들의 삶의 변화는 자신을 향한 성찰의 삶, 타인을 향한 배려의 삶, 우리를 통한 배움의 삶, 관계 맺음을 통한 의미추구의 삶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삶의 변화를 통해 살펴 본 공감적 대화 경험의 의미는 다음과 같은 학습의 의미로 나타난다. 첫째, 중년남성들의 공감적 대화 경험은 성찰을 통해 자아정체성을 재구성하게 해주는 성찰학습의 의미를 지닌다. 둘째, 중년남성들의 공감적 대화 경험은 성인발달의 측면에서 ‘배려’를 통한 도덕성 함양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셋째, 중년남성들의 공감적 대화 경험은 상호교섭적 학습의 의미를 지닌다. 넷째, 중년남성들의 공감적 대화 경험은 관계 맺기 학습의 의미를 지닌다. 이상의 공감적 대화 경험에 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존재를 위한 학습이라는 평생교육 본연의 이념을 일상 학습의 장에서 실현함으로써 중년남성 평생교육의 영역을 일상으로 확장하였다. 둘째, 공감적 대화 경험이 중년의 시기에 중년남성들이 위기를 극복하고 전환기적 시기를 보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학습경험임을 보여주었다. 셋째, 중년남성의 공감적 대화 경험이 중년남성들의 도덕성 발달과 성숙을 가져와 관계 맺기 학습을 평생학습의 장에서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넷째, 평생교육의 장에서 공감적 대화를 경험하는 소그룹 대화모임이 실천공동체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의 중요한 매개체인 의사소통으로서의 대화에 주목하여 소그룹 대화모임에서 중년남성들의 공감적 대화 경험을 연구함으로써 성인학습과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연결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데 가치를 지니기에 중년남성에 대한 공감적 대화 연구가 다각적인 측면에서 지속되길 기대한다. 또한 평생교육 현장에서도 공감적 대화 경험이 중년남성들의 평생학습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평생교육 기관들이 활용할 수 있는 공감적 대화를 적용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일상의 소그룹 대화모임을 장려하기 위한 지원책을 마련할 것을 제언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empathetic conversation among middle-aged me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empathetic conversation experiences mean for middle-aged men by exploring the process of empathetic conversation experience and the changes of life resulting from it. The researcher looked at small group conversations in their everyday lives to study the empathetic conversation experiences of middle-aged men. This is because lifelong learning studies of middle-aged men tend to focus on learning research in the workplace, thus neglecting learning in everyday life. Therefore, in this study, a small group conversation meeting was defined as a group where about 10 middle-aged men meet regularly 1 to 2 times a week or 2 weeks and talk and share their lives. Middle-aged men were selected as men from 40 to 60 years of age, and 9 middle-aged men participating in a small conversation group were selected through intentional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The research method was carried out by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is is because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mong the vario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s desirable in order for the middle-aged men to deeply study the empathetic conversation experienced in the small group conversation meeting and their meaning through their voices. In addition, among the variou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that derive meaning and essence according to scholars, this study followed Giorgi 's 4-stag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analysis procedure. The data collection took place over a total of 8 months from March to October 2018. In-depth interviews were mainly used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 was used as an auxiliary means. The analysis of the data along the 4-stage of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presented by Giorgi identified 411 meaningful units afte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statements of 9 study participants several times. Next, using the imaginative variation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they were transformed into appropriate terms and summarized into 92 meaningful units by grouping them with the same or similar meaning among 411 meaningful units. Finally, 16 sub-constituents and 5 constituents were derived from meaningful units modified by academic expression. The five components and their sub-constituents derived from this method are as follows: ① middle-aged men's thoughts about conversation: conversation and relationship are inseparable, comfortable conversation vs. inconvenient conversation, ② dual thinking of middle-aged men on the need for a conversation meeting: positive psychology about the necessity of male conversation meeting, negative psychology about participating in male conversation meeting, ③ start to participate in conversation meeting actively through ‘self-disclosure’: initial fear and distrust in the early stage of conversation meeting, start to ‘self-disclosure’ in conversation meeting, build trust in conversation meeting through ‘self-disclosure’ ④ empathetic conversation experience in the conversation meeting: the honest conversation on trust and faith, the consensus of men only, the open attitude of accepting and respecting comfort, restraint awkward feedback to take care of others, a comfortable conversation in a horizontal structure, ⑤ a change of life after experiencing empathetic conversation: a life of reflection toward oneself, a life of caring toward others, a life of learning through us, a life of meaning pursuit through the relationship building. The results revealed through this study for the process of experiencing empathetic conversation among middle-aged men are as follows. First, middle-aged men reflect on their uncomfortable conversation experiences such as superficial conversation, careless conversation, hierarchical conversation, dry conversation, and problem-solving conversation experienced in men 's conversation in the past by starting of ‘self-disclosure’ experience. Second, middle-aged men conceptualize a new type of conversation abstractly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sation in small group conversation meetings such as sincere conversation, conversation on various empathies, open-minded conversation, caring conversation, horizontal conversation. This conversation is defined as empathetic conversation. Third, empathetic conversation experienced by middle-aged men are not kept in ‘knowing’, but are represented by life changes through a process of continuous practice in a conversation gathering, and are experienced and practiced through interaction in various social and social contexts of each life. In this context, the process of empathetic conversation experience can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experiential learning. The changes in the lives of middle-aged men through empathetic conversation appear to be the life of introspection towards oneself, the life of consideration for others, the life of learning through us, and the life of meaningful pursuit through relationships. The meaning of learning through empathetic conversation through this life change is as follows. First, middle-aged men's empathetic conversation experiences have meaning of reflection learning that reconfirms self-identity through reflection. Second, the experience of empathetic conversation among middle-aged men suggests the possibility of cultivating morality through ‘consideration’ in terms of adult development. Third, the empathetic conversation experience of middle-aged men has a meaning of transactional learning. Fourth, middle-aged men's empathetic conversation experience has meaning of relationship learning. The study of the above empathetic conversation experience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scope of lifelong education for middle-aged men was expanded to daily life by realizing the original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for existence in the field of daily learning. Second, the empathetic conversation experience has shown that middle-aged men are important learning experiences that help them overcome crises and spend transition periods during their middle-aged years. Third, the experiences of middle-aged men's empathetic conversation led to the development and maturity of morality in middle-aged men, suggesting the possibility that related learning can be realized in the field of lifelong learning. Fourth, small groups that experience empathetic conversation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suggest that there is a possibility as a practical community.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communication as an important mediator of learning, and it shows the possibility of linking adult learning and communication research by studying empathetic conversation experience of middle-aged men in small group conversation meeting. We expect that empathetic conversation research will continue in a multifaceted manner.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o develop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at applies empathetic conversation that can be utilized by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so that the experiences of empathetic conversation can have a lasting impact on the life-long learning of middle-aged men and to come up with support measures to encourage small groups of daily conversa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