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제영-
dc.contributor.author이진영-
dc.creator이진영-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1:10Z-
dc.date.available2019-02-18T16:31:10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37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379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712-
dc.description.abstractAs it is natural to ment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wave of educational innovation in the future society has already begun. Attempts have been made to change education at various level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policies, the improvement of curriculum, and the reform of educational methods. At this point, it is important to discuss the goal of education in the future, and the students who are the subject of matter. The results of PISA and TIMSS, which are the comparative studies of international academic achievement, show that Korea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lf-confidence, and preference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ir high academic achievement. This suggests that the level of education in Korea has reached a high level, but the development of attitudes, spontaneity, and self–understanding that students have about learning should be developed and could be a starting point for the change of education. In addition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the education of future society,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transition of fundamental paradigm and direction. A number of scholars have studied the students' abilities and attitudes required for future socie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bilities among them. Future society is the society in which platforms and types of education become enriched, and the ability to search, organize and reproduce necessary knowledge by oneself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ables affect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refers to the ability of learners to identify their learning needs, set goals, and use appropriate strategies to perform learning. Students are encouraged to lead the learning voluntarily and actively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s learners. The research about how to make efforts at the school level and ultimately how to support the policy in order to promote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hich can be one of the significant directing points of future education, is significant and meaningful for the change and innovation of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e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differ according to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variables? Second, what variables affect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the data from the 5th year student survey of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was used for th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F-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the analysis method.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subfactor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hich are proactive initiative and self-understanding as a learner. Independent variables were put hierarchically as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variabl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analysis of proactive initiative, the difference of voluntary initiative was significant according to all variables except the gender variable. Especially among school variabl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variables related to class leader experience, teacher, teaching methods, satisfaction, friendship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student autonomy. Second,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analysis of self-understanding as a learner, the difference of self-understanding as a learner was significant according to all variables except the after-school participation variable. Especially among school variabl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variables related to class leader experience, teacher, teaching methods, satisfaction, friendship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student autonom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ariables affecting proactive initiative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as follows. Among individual variables, gender(boys), self-study time, leisure and hobby time, and extracurricular volunteering activities variabl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roactive initiative. Among family variables, supervisory parenting behaviors, rational parenting behaviors, and private educ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Among school variables, class leader experience, teachers' morale and passion,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and friendship affected proactive initiative significantly. Especially among school variables, friendship, teachers' morale and passion had a relatively large influence.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ariables affecting self-understanding as a learner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as follows. Among individual variables, gender(girls), self-study time, leisure and hobby time, and extracurricular volunteering activities variabl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understanding as a learner. Among family variables, supervisory parenting behaviors, rational parenting behaviors, and private educ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Among school variables, class leader experience, teachers' morale and passion, teachers' teaching ability, and friendship affected self-understanding as a learner significantly. Especially among school variables, friendship, teachers' morale and passion had a relatively large influence.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friendship variable i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n both subfactor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cooperation relationship i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plays an important rol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teaching methods and programs that can encourage the communication with peer friends, such as debate or cooperative learning.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large influence of family variables, especially the parenting behaviors, which contribute highly to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at is, parent education is required to enhance parenting behaviors, and schools and teachers need to actively support each student considering their family background. Third,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can experience various activiti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variables such as class leader or volunteering exper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o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activities for more students in the school. Finally, the influence of teacher and class on th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hould be consid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eachers' morale and passion, teachers' teaching ability, and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are highly influential. Previous studies also pointed out that teachers can play an active role as effective supporters to help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the existing data of GEPS were used for the analysi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it was difficult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various regions and ages. Also, since this study analyzed only the data from one single year rather than several years, the result is relatively limited compared to the longitudinal analysi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ver the years. If such limitations are complemented in the follow-up studies, it is expected to draw more meaningful conclusions about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students.;교육 분야에서 4차 산업혁명을 이야기하는 것이 낯설지 않을 정도로 미래사회의 교육에 대한 논의와 변화의 물결은 시작되고 있다. 교육정책의 수립과 교육과정의 개선, 교육방법의 혁신 등 다양한 차원에서 교육을 변화시키기 위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교 현장에서도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다양하게 고민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장차 교육이 추구해야 할 지향점과 그 주체가 되는 학생에 대한 논의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국제학업성취도 비교연구인 PISA와 TIMSS 등의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한국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다른 국가의 학생들에 비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자신감, 흥미도 등 정의적인 역량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다. 이를 통해 한국의 교육 수준은 높은 정도에 이르렀으나, 학생 개인이 학습에 대해 가지는 태도나 자발성, 자기이해 등의 발달이 앞으로 더욱 필요하며 교육의 변화를 위한 출발점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미래사회의 교육에 있어서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는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본질적인 패러다임과 방향의 전환이 필요한 것이다. 많은 학자들이 이를 위해 미래사회에 필요한 학생의 능력과 태도를 연구하였으며, 그 가운데 중요하게 제시된 것이 바로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는 능력이다. 앞으로의 사회는 정보의 플랫폼과 종류가 더욱 풍성해지는 사회로, 스스로 필요한 지식을 찾아 구성하고 재생산하는 역량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학습자 스스로 학습수요를 파악하고 학습목표를 설정한 뒤 적절한 전략을 활용하여 학습을 수행하는 능력으로, 학생이 학습자로서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발적이고 주도적으로 학습을 이끌어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변화하는 교육의 시대에 의미 있는 지향점이 될 수 있는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증진을 위해 학교 차원에서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고 정책적으로도 어떻게 지원할 수 있을지에 대한 연구는 교육의 변화와 혁신에 있어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개인, 가정, 학교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분석을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5차년도 학생용 설문조사 결과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의 처리와 통계 분석에 있어서는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 요인분석, 상관분석, 차이분석인 t 검정과 F 검정, 그리고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하위 요인인 자발적 주도성, 학습자로서의 자기이해를 각각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고, 독립변인은 개인, 가정, 학교 변인을 위계적으로 투입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발적 주도성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 성별 변인을 제외한 모든 변인들에 있어서 자발적 주도성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학교 변인 중에서 특히 임원, 교사, 수업 방법, 만족도, 교우 및 교사-학생 관계, 학생자치와 관련된 변인에 따른 차이가 높은 통계적 유의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학습자로서의 자기이해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 방과후학교 참여 변인을 제외한 모든 변인들에 있어서 학습자로서의 자기이해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학교 변인 중 특히 임원, 교사, 수업 방법, 만족도, 교우 및 교사-학생 관계, 학생자치와 관련된 변인에 따른 차이가 높은 통계적 유의성을 보여주었다. 셋째, 중학생의 자발적 주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하여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종속변인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으로 개인 변인 중에서는 성별(남),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 여가 및 취미활동 시간, 교외 봉사활동 여부, 가정 변인 중에서는 감독적 양육행동, 합리적 양육행동, 사교육 참여, 학교 변인 중에서는 학급내 임원 활동 여부, 교사의 사기 및 열의 인식, 학습자 중심 수업 방법, 교우관계가 있었다. 학교 변인 중에서도 특히 교우관계, 교사의 사기 및 열의 인식은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의 학습자로서의 자기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하여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종속변인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으로 개인 변인 중에서는 성별(여),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 교외 봉사활동 여부, 가정 변인 중에서는 감독적 양육행동, 합리적 양육행동, 사교육 참여, 학교 변인 중에서는 학급내 임원 활동 여부, 교사의 사기 및 열의 인식, 교사의 수업능력 인식, 교우관계가 있었다. 학교 변인 중에서도 특히 교우관계, 교사의 사기 및 열의 인식은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결론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두 하위요인에서 모두 교우관계 변인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학생의 자기주도학습에 있어서 협력의 관계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토론 수업, 협동 학습 등 또래 친구들과 협력할 수 있는 수업 방법과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가정 변인, 특히 양육행동의 영향력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즉, 학부모교육 등을 통해 부모의 양육행동을 긍정적으로 이끌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고, 학교나 교사는 각 학생의 가정 배경을 고려하여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증진을 위해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다양한 활동과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분석 결과 임원 경험, 봉사활동 경험과 같은 변인이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듯이, 이러한 활동을 더 많은 학생들이 경험할 수 있도록 학교에서 충분히 지원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있어서 교사와 수업의 영향을 중요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연구 결과에서 교사의 사기 및 열의 인식, 교사의 수업능력 인식, 학습자 중심 수업 방법 변인은 높은 영향력을 보이며, 여러 선행연구에서도 교사는 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을 도울 수 있는 효과적인 조력자로서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본 연구는 경기종단연구에서 조사한 기존의 데이터를 활용하였기 때문에 문항이 제한적이며, 데이터의 특성상 경기도 지역의 중학교 2학년 학생만을 대상으로 하여서 다양한 지역과 연령대의 학생 특성을 고려하기 어려웠다. 또한 여러 해에 걸친 종단적인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변화가 아닌 단년도의 데이터만을 분석하였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여 후속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해 더욱 의미 있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자기주도학습 능력 6 1.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개념 6 2.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구성 요인 11 B.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18 1. 개인 변인 18 2. 가정 변인 19 3. 학교 변인 22 Ⅲ. 연구방법 29 A. 연구대상 29 B. 변수설정 31 C. 분석방법 41 Ⅳ. 연구결과 44 A. 개인, 가정, 학교 변인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차이 분석 44 1. 개인, 가정, 학교 변인에 따른 자발적 주도성의 차이 분석 44 2. 개인, 가정, 학교 변인에 따른 학습자로서의 자기이해의 차이 분석 51 B.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58 1. 자발적 주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58 2. 학습자로서의 자기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63 Ⅴ. 요약 및 결론 67 A. 요약 67 B. 결론 71 참고문헌 76 ABSTRACT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536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Variables Affect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Lee, Jin-Young-
dc.format.pagevii,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