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규호-
dc.contributor.authorTIANYUANYUAN-
dc.creatorTIANYUANYUAN-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1:08Z-
dc.date.available2019-02-18T16:31:08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33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335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709-
dc.description.abstract중국은 예로부터 다민족 국가로서 한족을 포함한 총 56개의 민족이 함께 생활해왔으나 이들 민족 간의 교류는 활발하지 않았다. 그러나 2013년 중국 유동 인구조사에 의하면 최근 들어 많은 소수민족 구성원이 중국 동부 한족 지역으로 이주하고 있다. 소수민족 구성원들이 ‘소수민족자치구’ 내에서만 공부하고 생활하던 사회에서 벗어나 한족과 소수민족 간 교류가 활발히 일어나는 사회로 전환되고 있는 것이다. 민족 간 교류가 활성화되고 소수민족의 교육권에 대한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중국 정부에서는 소수민족의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시행해왔으며, 그 일환으로 소수민족을 위한 각종 민족학교들이 설립되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내 소수민족과 한족의 관계는 크게 개선되지 않았으며, 특히 소수민족에 대한 한족의 부정적인 인식이 사회통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국내 한족과 소수민족 간에 나타나는 문화적 갈등의 원인을 학교 교육으로부터 규명하기 위한 선행연구들이 진행되어왔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이 계획된(문서화된) 교육과정이나 실행된 교육과정만을 집중적으로 조명하고 있으며, 실현된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한족 학생들이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을 통해 실제 소수민족에 대해 무엇을 학습하였으며, 이러한 학습이 소수민족에 대한 한족 학생들의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이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를 활용하였다. 연구가 진행된 장쑤성(江蘇省)은 중국의 교육 선진 성으로서 최근 소수민족들의 이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곳이다. 연구 참여자는 장쑤성에서 K-12 단계 교육을 받은 한족 대학생 8명이었으며, 성별, 학년, 나이, 출신도시, 소수민족 접촉 여부 등에 있어서는 연구 참여자들이 상이한 배경 변인을 지니고 있었다. 자료는 연구 참여자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자료의 분석은 개방코딩을 시작으로 지속적 비교방법(constant comparison)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수민족에 대한 한족학생들의 인식에는 긍정적인 인식과 부정적인 인식이 공존하고 있었는데, 소수민족 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주로 이들의 표면문화에 대한 인식에 제한되어 있었다. 소수민족의 외모, 의상, 춤과 노래 등과 같은 표면문화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인식을 지니고 있었던 반면, 가치관, 관습, 종교 등과 같은 심층문화에 대해서는 ‘낙후된’, ‘게으른’ 등과 같은 부정적인 인식을 지니고 있다. 일부 연구 참여자들은 소수민족의 심층문화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한족과 소수민족이 상호간의 다름을 존중하고 평등한 관계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질적인 방법과 기술에 대한 이해는 매우 부족했다. 연구에 참여한 한족 학생들은 실제 소수민족을 만났을 때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기 어려웠던 경험, 그들과 문화적 갈등을 겪었던 경험 등을 떠올렸으며, 소수민족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소수민족을 ‘신비한’ 존재로 생각하는 동시에, 소수민족과 직접 교류하는 상황에 대해서는 ‘두려운’ 감정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수민족의 문화적·역사적 배경을 적극적으로 알아가려는 태도는 보이지 않았다. 셋째, 소수민족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준 경험적 요인으로서 연구 참여자들이 초·̇중·고등학교에서 학습한 소수민족 관련 내용을 살펴본 결과, 이들이 학교 교육을 통해 학습한 소수민족 관련 내용은 그 양이 매우 적었으며, 주로 소수민족의 표면문화에 대한 내용에 제한되어 있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소수민족 문화에 관한 내용이 다양한 교과에 걸쳐 전반적으로 제시되기보다는 역사, 정치와 같은 특정 과목에 편중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과목 내에서도 소수민족 관련 내용은 애국주의 교육에 집중되어 있었다. 또한 소수민족의 외모, 건축물, 의상 등과 같은 표면문화만 다루었을 뿐, 소수민족의 문화적·역사적 배경에 대한 심도 있는 내용은 다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소수민족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 수업에 있어서도 한족과 소수민족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학습활동은 수업에 포함되지 않았다. 다민족 학급에서 수학했던 연구 참여자들은 교사들이 학급 내 소수민족 학생들의 문화적 배경을 종종 무시하거나 간과했으며, 한족과 소수민족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수업활동에 참여했던 경험이 거의 없다고 진술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의 다문화교육 개선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민족 국가로서의 중국이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존중을 기반으로 사회통합을 추구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교육과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내에 소수민족의 심층문화에 관한 내용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둘째, 다양한 과목에 걸쳐 소수민족 관련 내용들을 통합함으로써 소수민족 문화에 대한 학습이 보다 지속적,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들은 소수민족 학생과 한족 학생 사이의 고정관념과 편견을 감소시키고, 상호작용을 촉진하며,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도록 돕기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한족 학생과 소수민족 학생들의 문화적 비판의식을 길러주기 위한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이들이 주류집단과 소수집단 간의 갈등을 극복하고 보다 평등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실현해나가는 주체로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China has been composed of a total of fifty-six distinct ethnic groups, including Han ethnic and other fifty-five minority ethnics nations. According to the China National Floating Population Survey, there is a large number of ethnic minorities immigrating from National Autonomous Region to the eastern area in China. As a result, China is no more a country where ethnic minorities are isolated in National Autonomous Region but where all the ethnic groups live together and influence each other. Since 1949, it has been more important to enact educational policies related to ethnic minorities and to revitalise schools for ethnic minorities. However, most of the Han Chinese keeps a negative image of ethnic minorit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an Chinese and ethnic minorities is unequal. There are many reasons for this kind of image and the unequal relationship. One of the most important reason is what has been taught from school. However, in China, there are little pieces of research focusing on students’ experience in school curriculum- after receiv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school how Han Chinese students think about the ethnic minorities.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case study is to exam how the Han students’ perceptions of ethnic minority groups and the reason to develop this kind of perceptions in school. The research setting was Jiangsu Province- an educationally advanced province in China where the migration of ethnic minorities is continuously increasing. Eight undergraduate students who had received K-12 education in Jiangsu Province and had different backgrounds such as gender, grade, age, city and connection with ethnic minoritie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mi-structured interviews. Data analysis included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Five major findings emerged from data. They were Han students had both positive thought and negative thought to ethnic minorities. While there were positive perceptions about the ethnic minorities’ surface culture such as their appearance, costumes, dances and songs, the Han Chinese also had the negative thought to ethnic minorities like ’they are lazy and backward’. What is more, some Han Chinese lacked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of ethnic minorities. Han students had the belief that Han Chinese and ethnic minorities should understand and respect each other. In fact, when they met the ethnic minorities, the Han students ha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cultural difference between ethnic minorities and themselves. Moreover, from the interview, some of the participants had difficulty in communicating with ethnic minorities when they met the people from ethnic minorities. The textbook at school is one of the reasons to affect Han students’ perception of ethnic minorities. Most of the participants only learned ethnic minorities’ surface culture from the textbook. Moreover, the participants only had the chance to know the knowledge about ethnic minorities in few types of textbooks such as History Textbook and Politics Textbook. The learning activities to promote interaction between Han students and ethnic minority students are not conducted in the class. Research participants in multi-ethnic classrooms stated that teachers often ignored or overlooked the cultural background of ethnic minority students in the classroom and they had littl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class activities to promote interaction between Chinese and ethnic minority students. After discussion and the interview with the participants about their perception of ethnic minorities in two months, some of the participants promoted the improvement plan to build positive relationship with ethnic minorities, which was the active attitude to learn the cultural of ethnic minorities, the chance to be educated more systematically about the cultural of ethnic minorities, more effective method of teacher to use to teach the knowledge about ethnic minor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in China. First, in order to implement a curriculum that helps China to pursue social integration on the basis of respect for cultural diversity, it is necessary to add the in-depth culture of ethnic minorities to the curriculum. Second, more continuous and systematic learning of ethnic minority cultures through various subjects will be necessary. Finally, teachers are expected to use diverse instructional strategies aiming to help reduce Han Chinese students’ stereotypes and prejudices to ethnic minorities students, promote interaction, and build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ethnic minority students and Han Chinese students. In addition, if developing cultural critical consciousness and  self-reflection of Han students and ethnic minority students are carried out, they can help to overcome the conflict between mainstream and minority groups and grow into a more equal and just socie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다문화 교육의 목적 5 1. 다문화 교육의 정의 5 2. 다문화 교육의 목적 7 3. 다문화 교육의 문화적 목적 10 B. 다민족 국가로서의 중국 16 1. 다민족 국가의 형성 16 2. 중국의 민족 복잡성 현황 17 3. 중국내 민족관계에 대한 핵심 이론: 중화민족다원일체격국 19 C. 선행연구 분석 20 1. 중국 내 소수민족에 대한 한족 학생의 인식 및 관계에 관한 연구 20 2. 중국 내 소수민족에 대한 교육 현황 관련 연구 분석 22 3. 선행연구의 한계 및 본 연구의 의의 27 Ⅲ. 연구방법 29 A. 연구 맥락 및 설계 29 B. 연구 참여자 31 C. 자료수집 및 분석 방법 34 1. 자료수집 방법 34 2. 자료분석 방법 36 Ⅳ. 연구결과 38 A. 소수민족에 대한 한족 학생의 인식의 특징 38 1. 소수민족 문화에 대한 생각 38 2. 한족과 소수민족의 관계에 대한 인식의 특징 43 3. 한족과 소수민족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의 특징 45 B. 소수민족에 관한 한족 학생들의 인식 형성의 주요 요인 49 1. 교과서 49 2. 수업 활동 53 3. 소수민족에 대한 교육의 개선 방안에 대한 인식 56 Ⅴ. 요약 및 논의 59 A. 요약 59 B. 논의 60 1. 한족학생의 소수민족에 대한 인식 형성에 영향을 준 교과서 요인 60 2. 한족학생의 소수민족에 대한 인식 형성에 영향을 준 수업활동 요인 61 3. 자기성찰의 중요성 62 C. 제언 63 1. 교과서 속 소수민족 관련 지식 강화 63 2. 수업활동 개선 65 3. 한족 학생들의 문화적 비판의식 강화 67 참고문헌 70 부록1. 2010년 6차 중화인민공화국 인구조사: 소수민족 인구 74 부록2. 연구 참여자가 준비한 인터뷰 질문 77 ABSTRACT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254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중국내 소수민족에 대한 한족 학생들의 인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장쑤성 한족 학생들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Research on Han Chinese Students’ Perception of Ethnic Minorities in China : Focusing on Han Chinese Student in Jiangsu Province-
dc.format.pageviii, 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