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인수-
dc.contributor.author정선아-
dc.creator정선아-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1:07Z-
dc.date.available2019-02-18T16:31:07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42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428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708-
dc.description.abstract최근 한국사회는 다양한 외국인들이 유입되면서 본격적으로 다문화 사회에 접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외국인 인구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체류하는 외국인의 인종 또한 외국인 근로자를 비롯하여 다문화 가정 자녀, 외국인 유학생들, 해외동포들과 같이 세계 각국의 다양한 문화를 기반으로 한 인구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다문화 사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다문화 사회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통계상으로 봤을 때 한국은 지난 20년 동안 다인종, 다민족, 다문화 사회로 급격히 변화해 왔다(법무부, 2016). 이는 한국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글로벌 시대가 열렸음을 의미하는 것이고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따라 다문화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현명하게 대처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화적 양상을 고려했을 때, 개인의 다문화적 역량을 증진시키는 노력은 피할 수 없는 현실적인 요구가 되었다. 특히, 다문화적 사회는 끊임없이 상호작용을 해야 하고 공생해야 하는 상황인데, 문화적 공감능력은 다문화 역량을 극대화 시키고 대인관계에서 효율적으로 작용하며 직무능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국내 대학생의 문화적 공감수준이 어떠한 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다문화적 경험이 다문화 역량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며 대학생의 다문화적 역량을 높이기 위해 갖춰야할 다문화적 인식과 태도를 점검하고 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적 공감이 높은 대학생과 문화적 공감이 낮은 대학생의 다문화 경험이 다문화 역량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고 다문화 역량의 관련변인들인 다문화 지식, 다문화 인식, 다문화 태도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다문화 경험과, 다문화 지식, 다문화 인식을 선행연구를 통해 선정하였고 이러한 요인이 다문화 태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문화적 공감의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특히 순차적 매개모형을 가정하여 다문화적 경험이 다문화적 지식을 증가시키고, 증가된 지식은 인식을 변화시키며 그로 인해 다문화적 태도가 형성될 것이라는 변인들의 순차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각 다문화 역량에 대한 이론적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고, 각 다문화 역량과 관련된 변인들의 구성요인을 설정하였다. 둘째, 다문화 역량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들의 측정도구를 선택하여 전국의 대학생 남녀 300명에게 온라인 형태의 설문을 실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경험이 증가할수록 다문화 태도가 증가하였다. 이는, 다문화 경험이 많을수록 다문화에 대한 개인의 태도에 변화가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다문화에 대한 긍정적 태도 형성을 위해서는 다양한 다문화적 경험을 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둘째, 다문화 경험과 다문화 태도의 관계에서 다문화 지식과 다문화 인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다문화 경험이 증가할수록 다문화 지식이 높아졌으며 높아진 다문화 지식은 다문화 인식을 높였고 높아진 인식이 다문화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다문화 경험이 많은 것 자체가 태도의 변화를 보장해 주는 것이 아니라 경험이 지식으로, 지식이 인식으로 연결되어 다문화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문화적 공감수준에 따라 문화적 공감수준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였고, 문화적 공감이 평균보다 높은 집단에서는 다문화 경험이 다문화 태도로 이어졌지만, 다문화 지식과 다문화 인식의 순차적인 매개는 존재하지 않았다. 이는 문화적 공감이 높은 집단이 다양한 다문화적 경험을 하는 경우 지식이나 인식을 거치지 않고도 다문화 경험만으로도 다문화 태도에 충분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 문화적 공감이 평균보다 낮은 집단에서는 다문화 경험이 다문화 태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다. 다시 말해,다문화 지식을 통한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경험과 다문화 태도와의 사이에서 완전 매개하였다. 이는 문화적 공감이 낮은 집단은 다문화 경험이 증가할수록 다문화 지식이 증가하고, 다문화 지식이 증가할수록 다문화 인식이 높아져 다문화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함을 의미한다. 문화적 공감이 높은 집단과는 달리, 문화적 공감이 낮은 집단은 다문화 경험자체만으로는 다문화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교육적 의미를 가진다. 첫째, 다문화 경험과 다문화 역량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다문화 역량의 하위요인인 다문화 지식, 인식, 태도 사이의 관계를 파악한 점이다. 둘째, 문화적 공감능력이 낮은 집단에서는 다문화 경험이 다문화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경험 그 자체에만 초점을 두기보다 경험을 지식과 연결 짓고 이를 인식의 변화로 이끌었을 때에 비로소 태도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한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셋째, 문화적 공감의 수준에 따른 다문화 경험과 역량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개인의 성향을 고려한 문화적 공감훈련을 실시하여 문화적 공감수준을 높일 경우 다문화 경험만으로도 다문화 태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이는 문화적 공감이라는 비교적 새로운 개념이 다문화 역량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조절요인임을 확인함으로써 문화적 공감 증진 전략 개발을 위한 다양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고 다문화 역량증진 연구를 위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본다.;Korean society has recently entered into a full-fledged multicultural society with the influx of foreigners, foreign worker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reign students, expatriates, overseas returnees and Koreans with foreign nationals. Under this rapidly changing social trend, interest in multicultural society has also been increasing resulting in the growing voice for positive multicultural attitude including acceptance and understanding among people in Korea. Statistics show that Korea has changed dramatically over the last 20 years into a multi-racial, multi-ethnic, multicultural society (Ministry of Justice, 2016). Such trend is not limited to within Korea, but it is rather a global phenomenon indicating the start of the new global era. Thus, It is necessary to accept this phenomenon of multiculturalism in a positive way and act wisely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Given these cultural aspects, efforts to promote individual cultural competence has become an inevitable and realistic demand.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constant interaction and symbiosis in a multicultural society, cultural empathy has the capacity to maximize multicultural competence, work efficiency, compete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rofessional job skills. Thus the current study firstly examines the level of cultural empathy in college students. Next, it examines how multicultural experience affects multicultural competence among college students. Lastly it examines the multicultural awareness and cultural empathy that college students should have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positively affect their level of multicultural attitud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oss-analyze the differences that multicultural experience has on multicultural competence among college students depending on the level of cultural empathy and to verif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multicultural knowledge and multicultural awareness in predicting multicultural attitude. For this, multicultural knowledge and multicultural awareness were selected as the factors influencing multicultural attitudes through previous empirical research followed by verification of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xperience, multicultural knowledge and multicultural awareness on multicultural attitude in groups of high and low cultural empathy. Especially, we tried to verify the hypotheses that multicultural experience increases multicultural knowledge, that increased multicultural knowledge changes multicultural awareness and that multicultural awareness changes multicultural attitude by studying the sequential relationship of these variables. First, we examined the level of multicultural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and see whether multicultural experience predicts multicultural attitudes. Second, we examined whether multicultural knowledge and multicultural awareness are sequentially media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multicultural attitude. Third, we tried to find out whether the influence of these variabl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multicultural empathy. The process to solve thes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previous literature review, the theoretical meaning of each related variables of multicultural competence were precisely grasped and the constituents of the multicultural competence were set. Second, we selected 300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cross the country by conducting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1.0, and SPSS Macr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multicultural experience increased, multicultural attitude increased. This means that the more an individual has multicultural experience, the more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ism changes positively. In other words, it suggests that it is effective to have diverse cultural experiences in order to build a positive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ism. Secon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knowledge and multicultural awaress between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multicultural attitude was confirmed. As multicultural experience increased, multicultural knowledge increased, Increased multicultural knowledge increased the multicultural awareness and increased awareness affected multicultural attitudes. In other words, It is confirmed that experience with multiculturalism alone does not guarantee changes in the attitude. However, experience leads to an increase in multicultural knowledge, knowledge provides an opportunity for changes in multicultural awareness and changes in awareness results in the formation of positive multicultural attitude. Third, in the group with higher level of cultural empathy, higher multicultural experience resulted in higher multicultural knowledge but multicultural awareness did not mediate in the relationship. It was confirmed that the multicultural experience directly affected the multicultural attitude without the mediation of multicultural knowledge and multicultural awareness. This indicates that multicultural experience alone is sufficient to lead to change in multicultural attitude without the mediation of multicultural knowledge and multicultural experience for the group of high multicultural empathy. On the other hand, in the group with lower level of cultural empathy, there was no direct effect of multicultural experience on multicultural attitude. In other words, multicultural knowledge and multicultural awareness fu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multicultural attitude. This indicates that in the group with low cultural empathy, individuals gain more knowledge through multicultural experiences and the increase in knowledge affects individual's perceptions of multiculturalism which in turn affects multicultural attitudes. Unlike in the group with high cultural empathy, the group with low cultural empathy shows that multicultural experience alone does not affect the multicultural attitude. In conclusion, the study demonstrated the underlying formation of multicultural attitude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moderation effects of multicultural knowledge and multicultural awar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multicultural attitude. It also serves as the verification of cultural empathy as the mediating role among the relationship of these variables which greatly predict the positive multicultural attitude in college students in Korea. By analyzing in depth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multicultural competence, we have grasped the relationship among knowledge, awareness and attitude which are all sub-factors of multicultural competence. Second, in the group with low cultural empathy, attitudes may be changed by linking experience to knowledge and knowledge to awareness which leads to change in perception to effectively maximize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xperience on multicultural competence. Third, by confirming how the level of cultural empathy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capacity, it became meaningful that training in cultural empathy is an essencial part for reconstructing the process of multicultural competence acquisition. This has provided a variety of theoretical grounds for cultural empathy enhancing strategies by identifying the relatively new concept of cultural empathy as an important controlling factor affecting multicultural competence and serve as an important scientific basis for further study of training in multicultural compete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8 C. 용어의 정의 9 Ⅱ. 이론적 배경 13 A. 다문화 역량 13 1. 다문화 역량의 개념 13 2. 다문화 역량의 구성요소 15 3. 다문화 지식 19 4. 다문화 인식 21 5. 다문화 태도 23 6. 다문화 지식, 인식, 태도의 관계 25 B. 다문화 경험 27 1. 다문화 경험의 개념 27 2. 다문화 경험과 다문화 역량의 관계 29 C. 문화적 공감 31 1. 문화적 공감의 개념 31 2. 문화적 공감과 다문화 역량의 관계 32 Ⅲ. 연구방법 36 A. 연구대상 36 B. 연구도구 37 1. 다문화 경험 척도 37 2. 다문화 지식 척도 38 3. 다문화 인식 척도 39 4. 다문화 태도 척도 39 5. 문화적 공감 척도 41 C. 분석방법 42 Ⅳ. 연구결과 43 A. 주요변인의 상관관계 및 기술통계 43 B. 대학생의 다문화 경험의 실태 45 C. 다문화 경험과 다문화 태도의 관계에서 다문화 지식과 다문화 인식의 순차적 매개효과 46 D. 문화적 공감의 평균보다 높은 집단에서의 다문화 경험과 다문화 태도의 관계에서 다문화 지식과 다문화 인식의 순차적 매개효과 48 E. 문화적 공감이 평균보다 낮은 집단에서의 다문화 경험과 다문화 태도의 관계에서 다문화 지식과 다문화 인식이 순차적 매개효과 49 Ⅴ. 논의 및 결론 52 A. 요약 및 논의 52 1. 다문화 경험의 실태 53 2. 다문화 경험과 다문화 태도의 관계에서 다문화 지식과 다문화 인식의 순차적 매개효과 53 3. 다문화 경험과 다문화 태도의 관계에서 문화적 공감의 조절효과 57 B.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62 참고문헌 65 부록 77 ABSTRACT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05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다문화 경험과 다문화 태도의 관계에서 다문화 지식과 다문화 인식의 매개효과 및 문화적 공감의 조절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Mediating Effect of Cultural Empathy and Moder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Knowledge and Multicultural Awar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Multicultural Attitude-
dc.creator.othernameCheoung Sun Ah-
dc.format.pagevii,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