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20 Download: 0

한국 현대미술에서 나타나는 문화 정체성 탐구 양상과 그 변화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 현대미술에서 나타나는 문화 정체성 탐구 양상과 그 변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spect and its variation of cultural identity exploration in Korean modern art
Authors
서혜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일호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 현대미술에서 문화 정체성을 고찰한 시도들의 양상과 변화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글로벌리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으로 인한 탈경계 및 다원화 양상은 한편에서 해체주의와 결부되며 문화 정체성 논의의 필요성을 간과하였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글로컬리즘(Glocalism)현상이 부상하면서 다변화된 세계 속 문화 정체성의 의미를 고찰해보게 했고, 기존의 한국미술계에서 행해진 문화 정체성 탐구 시도들을 되돌아볼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문화 정체성은 외부문화와의 만남을 계기로 모색되며, 외부문화와의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 그러므로 문화 정체성을 모색하는 일은 세계와 자신의 관계를 파악하려는 탐구의 과정이라 할 수 있으며, 이에는 외부문화를 이해하는 방식과 태도가 중요하게 작동한다. 외부문화를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서 추구하는 문화 정체성의 내용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현대미술에 나타나는 문화 정체성에 대한 탐구 양상과 변화를 그것을 모색하고자 하는 동기와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한다. 한국 현대미술은 한국전쟁 이후의 한국미술을 의미하며 한국의 국가적 범주는 민족 개념과 거의 일치한다는 점에서 한국 현대미술의 문화 정체성은 민족정체성과 국가정체성을 포함하는 의미이기도 하다. 식민 경험과 한국전쟁이라는 역사적 혼란기를 벗어나면서 전개되는 한국 현대미술은 비로소 내부적 관점에 따라 문화 정체성을 자각하고 탐구할 수 있게 된 시기라 평할 수 있다. 한국 현대미술에서 외부문화와의 새로운 관계가 모색되는 시기는 크게 두 시기로 나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식민지배와 한국전쟁의 혼란을 안정화하면서 서구 중심의 외부문화가 유입되는 시기와 글로벌리즘의 탈경계로 인해 문화교류가 증대되는 시기로 구분하여 한국 미술의 문화 정체성이 모색되는 양상을 검토한다. 한국전쟁 이후의 현대미술은 식민지배로 단절된 시간을 메우기 위한 목표에 따라 문화 정체성 탐구를 진행한다. 기존의 아카데믹한 일본 화풍의 대안으로서 서구 미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식민지배의 경험에 의해 한국 미술은 외부문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한국 현대미술은 식민지배 이전의 전통을 이어가야 한다는 목표와 서구미술을 수용해야 하는 목표라는 이중의 과제 속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현대화가 추구된다. 서구 미술의 선택적 수용, 외부 문화의 한국적 변용, 식민사관 탈피를 위한 수묵 사용, 민중에 의해 태동한 전통미술 추구 등 한국 미술을 현대화하기 위한 방식은 집단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지만, 모두 식민 경험으로 단절된 외부문화와의 관계를 모색하면서 한국 미술의 문화 정체성을 고찰한 과정이라 평가할 수 있다. 국가 간의 경계가 낮아지고 상호교류가 증대되는 글로벌리즘 시대에서 한국 현대미술은 다양한 외부문화와 접촉하게 된다. 이 속에서 문화 정체성은 첫째, 국가적 차원에서 진행되는 베니스 비엔날레 참여를 통한 세계문화와의 집약적 만남 속에서 그리고 둘째, 글로벌리즘 시대의 자유로워진 개별적 차원의 이동과 이주에 의한 외부문화와의 교류 속에서 모색된다. 우선, 베니스 비엔날레는 전 세계의 다양한 미술을 공유하고 이해하고자 하는 교육의 장으로 인식되면서 세계 미술계서 지역적 특성이 새로운 가능성으로 떠올랐다. 또한 집약적인 문화교류 속에서 대두된 문화 정체성 문제는 한국 현대 미술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글로컬리즘이라는 혼성성으로 드러난다. 다변화된 시대 속 문화 정체성을 탐구하는 한국 현대미술가들은 문화권의 교차에 따른 혼란을 작품에 그대로 표출하는 경향을 보이며, 세계인과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공감을 얻는다. 또한 노마디즘(Nomadism)/디아스포라(Diaspora) 현상에 해당하는 작가들도 문화권을 횡단하며 겪은 문화 정체성 문제를 고민하고 이를 작품에 드러낸다. 호미 바바가 ‘제3의 공간’을 생성의 장으로 인식한 바와 같이, 이들의 작품에 나타나는 혼성성은 상이한 문화와의 만남을 통해 기존에 인식하지 못했던 문화적 구조와 특이점을 드러낸다. 문화권을 교차하며 경험한 정체성에 대한 혼란은 오히려 상이한 문화권에서 새로운 문법으로 적용되면서 한국 미술의 외변을 넓히는 결과를 가져왔다. 혼성성은 식민 공간에서 지배자의 지위를 위협하는 전략이었다면, 이제 혼성성은 미술가의 독창성•개성과 결부되며 이질적인 이방인의 시각에서 문화의 새로운 측면을 드러내 보여준다는 가능성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이를 통해 세계인과 공감대를 형성한다. 혼성성이 드러나는 한국 현대미술 작품은 시대변화에 따른 세계적 관심사를 한국의 관점에서 포착하고 그들의 언어로 표현하면서 세계인의 이해와 공유를 이끌어 냈다는 점에서 한국 미술의 보편성을 이루었다고 평할 수 있다. 두 가지로 구분하여 살펴본 시대변화 속에 나타난 한국 현대미술은 한국 미술의 현대화와 세계화라는 목표를 상정하고, 그를 위해 외부문화와의 적절한 관계를 지속해서 고찰한다. 그 과정에서 한국의 현대미술은 외부문화와의 관계를 형성하면서도 그것에 흡수되지 않는 독자성을 드러내면서 세계 속 한국 미술의 적절한 위치를 모색하고자 했다. 따라서 시대가 변화해도 문화 정체성을 탐구하는 노력은 지속하고 있으며, 문화 정체성을 탐구하는 노력은 시대적 변화 속에서 중심을 잡는 행위이기 때문에 앞으로 전개되는 한국의 현대미술도 세계와의 관계를 모색하는 노력을 끊임없이 진행한다면, 자신만의 언어와 시각을 통해 주체적인 태도를 견지하면서 세계미술과 교류할 수 있으리라 전망한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aspect and its variation of seeking cultural identity in Korean modern art. Trans-boundaries and diversification caused by globalism and postmodernism were once associated with deconstruction, overlooking the necessity of discussion on cultural identity. However, as glocalism emerged worldwide, it offered an opportunity to consider the meaning of cultural identity in such diversified world, so that it became necessary to review the attempts of cultural identity studies in Korean art scene. Cultural identity is sought and formed in relation with other cultures. Searching for cultural identity can be sai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ld and self, and it is important how to understand external cultures in this respect because perspective on the cultures determines the content of one’s cultural identity. Therefore, this thesis looks through the aspect and its variation of cultural identity studies in Korean modern art by mainly focusing on motive and process of seeking cultural identity. Korean modern art started after Korean War(1950-1953) and its cultural identity involves both ethnic and national identity in that the concept of nation seems almost the same as that of ethnicity in Korea. It seems that Korean modern art could finally explore and recognize cultural identity from its own perspective after overcoming two historic turmoil, colonial experience and Korean War. There are two main periods when Korean modern art sought new relationship with other cultures; one is inflow of external cultures, mainly Western culture, with stabilization of historic turmoil and the other is increasing cultural exchanges caused by trans-boundaries of globalism. This thesis investigates how cultural identity of Korean art was explored in each period. After the Korean War, Korean modern art aimed to overcome the stagnancy which is caused of Japanese colonial rule. Although Korean art actively accepted Western art as an alternative of academic Japanese style, it was still defensive to external cultures due to previous colonial experience. Thus, Korean art focused on both maintaining its own tradition before the colonial period and adopting Western art. At the same time, Korean art pursuing its modernization in various ways. Ways to modernize Korean art were all different from each group: selective adoption of Western art, transformation of other cultures in Korean style, use of ink painting to escape from the colonial historiography, pursuit of traditional art by the public(Minjung), etc. However, all of these effort seem to examine cultural identity of Korean art by exploring relationship with other cultures which was not allowed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Korean modern art has communicated with diverse cultures in the era of globalism when boundaries between countries become vague and interaction among them increases. In this era, cultural identity is explored in two ways; one is an integrated way through Venice Biennale where one can experience various cultures at once in one place. And the other is an individual way in which one can interact with other cultures by moving around places freely on his/her own. As the integrated way of exploring cultural identity, Venice Biennale has been regarded as an educational field for sharing and understanding various cultures worldwide, which allows local characteristics to have new possibility in the world art scene. The rise of cultural identity issue from the integrated cultural exchange influenced Korean modern artists a lot, which is expressed as hybridity, so called glocalism. Korean modern artists tend to express confusion caused by cultural intersection directly on their works and share this issue with people around the world. Another way of seeking cultural identity is through individual migration of artists. Artists of nomadism and diaspora have thought over cultural identity issue while visiting diverse cultures and expressed their agony on their works. As Homi K. Bhabha perceived “The Third Space”(1990) as the place of creation, hybridity in their works represents new cultur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 which were not recognized before through meeting with different culture. Artists got confused about their cultural identity due to cross cultural experience but this confusion was rather applied to different cultures as new regulation, resulting in the expansion of Korean art. Hybridity was once a strategy to threaten a dominator in colonial space but now, being engaged with artist’s originality, it is understood as new possibility to show unknown aspect of culture from stranger’s perspective, further reaching consensus among people around the world. Korean Modern Art seems to attain universality in that it gained shared understanding from the world by capturing global interests in different times from its own viewpoint and expressing them in its own way. Korean Modern Art in two distinct periods focused on modernization and globalization of Korean art and continuously gave careful consideration on relationship with other cultures to achieve these two goals. While building relationship with external cultures, it still maintained its originality, trying to have particular position in the world art scene. Even though the time changes, exploration of cultural identity is an ever-going process. An effort to establish cultural identity is to keep balance with other cultures in the changing times. If Korean modern art constantly perseveres in seeking relationship with the world, it can surely communicate with World art and maintain an independence at the same time through sustaining its own style and perspectiv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