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9 Download: 0

코라(chora)로의 회귀

Title
코라(chora)로의 회귀
Other Titles
Return to Chora
Authors
이소영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지혜
Abstract
본 연구는 원초적인 자신의 모습을 찾아가는 과정에 대한 여성주의적 관점의 고찰이다. 다양한 이름과 역할들을 오고가는 현대인들은 불확실한 자아정체감으로 인해 불안과 소외를 경험하며 살아가고 있다. 우리의 정체성과 타자에 대한 인식이 획일화 되고 있는 현실 속에서, 연구자는 사회적으로 구성된 자신의 모습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며 진정한 자신으로서의 존재감각을 잃어버리고 있다고 느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시작으로 연구자는 불완전한 정체성이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포착하기 위해 예술을 통하여 주체가 자신의 원초성과 마주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프랑스 여성주의 철학자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의 주체이론 중에서‘의미화(signification)’의 초기과정이 일어나는 모성적 공간인 기호적 코라(the semiotic chora)개념을 연구의 배경으로 삼았다. 그리고 ‘여성성’과 ‘공간’에 대한 철학적 논의를 통해 이 요소들이 어떻게 주체의 의미를 구성하는지 살펴보았다. 코라라는 근원적 공간에서 주체는 있는 그대로 존재 하는 동시에, 분명하다고 여겨왔던 자신의 의미가 분열되는 것이 반복되어 끝없이 생성되는 과정 중에 놓인다. 따라서 주체는 무엇이든 될 수 있는 가변적 모습으로 언제든지 물질로 회귀하여 잠재하는 무한한 가능성을 만난다. 연구자는 코라를 보이지 않는 것을 재현하는 곳, 안팎의 경계를 흐리는 장소, 타자와 만나는 접면이라는 세 가지 특징으로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니 사빌(Jenny Saville), 윤석남, 양혜규, 이불, 김수자의 작품을 살펴보며 예술을 통한 의미생성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예술은 사물과 세계를 대하는 작가의 관점과 통찰을 빌려서 우리의 시야를 넓히고 유연한 사고를 할 수 있게 한다. 연구자는 흙을 주 매체로 이용한 연구 작업을 진행하면서 존재의 의미를 찾고자 하는 주체의 욕망을 코라의 공간적, 가변적, 모성적 이미지를 통해 표현하였다. 이를 통해 단일한 존재의미로부터 벗어나려는 주체의 역동적인 움직임과 자신의 한계를 마주하는 무상함으로부터 역설적으로 생성의 단초를 발견하려는 시도를 담고자 하였다. 따라서 완성될 수 없고, 정의 내릴 수 없는 나 자신의 불완전함을 직면하고 그로부터 원초적 가능성을 되찾는 과정을 기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는 여성적/모성적 성질을 갖는 코라가 주체를 규정하는 질서들을 해체하고 전복하며‘의미’를 끊임없이 다시 만들어 냄을 살펴보았다. 또한 주체가 타자와 관계 맺으면서도 고유한 정체성을 확보하게 하는 힘이자 이러한 작용이 일어나는 공간임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완성된 의미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으며 지금 이 순간이 바로 무한한 생성의 공간임을 깨달았다. 이로써 연구자를 옭아맸던 정체성에 대한 불안감을 끌어안고 앞으로 다가올 낯설고 이질적인 세계를 담담하게 관조하고자 한다. 이제 연구자는 도래할 내일이 그 어떤 모습일지라도 기대하는 마음으로 맞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is study from feministic point of view o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a original self. In modern days people are living with different titles and roles, so they are experiencing anxiety and isolation due to uncertain self-identity. In a reality that our identity and perception about other people are uniformed, the researcher felt accepting one’s own socially-made image without critical thinking about it, so ending up losing the sense of existence as true self. With this awareness of problem as beginning point, the researcher tried to make a chance for a subject to face one’s own original element through the arts to be able to spot the possibility for incomplete identity to change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is research purpose, I made the concept of semiotic chora as the background of research, which is maternal place where the initial process of ‘signification’ happens in French feminism philosopher Julia Kristeva’s subject theory. And I examined how these factors make up the meaning of the subject through philosophical discussion about ‘feminity’ and ‘place’. In a fundamental place called chora, the subject exist as it is, and at the same time it lies in the process of endless creation as repeating the division of the meaning of self which was considered clear. Therefore, the subject meets the latent limitless possibility returning to the materials anytime in changeable image that can be anything. Researcher divided chora in its three characteristics as a place to realize what is unseen, a place blurring the boundary of inside and the outside, tangent meeting the others, and then based on this, I examined the pieces of Jenny Saville, Yoon Seok-nam, Yang Hye-gyu, Lee Bul, Kim Su-ja and tried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creation of meaning through the arts. Arts enables us to broaden our perspective and think more flexible borrowing the author’s perspective and insights on the things and the world. Researcher expressed the desire of the subject trying to find the meaning of the existence through the spatial, changeable, maternal image chora, as processing the research work using soil as main materials. And I tried to contain the dynamic movement of the subject trying to get out of single meaning of existence and the trials to find the clue of creation ironically meaninglessness of facing one’s own limit. So facing my own incompleteness that can be neither completed nor defined, I tried to record the process regaining the original possibility. The researcher examined through this study that chora having feminine/maternal characteristic take apart the orders defining the subject and overthrow them, and re-creating the ‘meaning’ endlessly. And also I got to know that it is the power for the subject make relationship with the others and make to have unique identity and place for this to happen. Therefore, I realized that the complete meaning doesn’t exist and the right moment is very place for limitless creation. So I am trying to contemplate with calm heart the unfamiliar and different world coming, embracing the anxiety about the identity that caught up myself. Now I feel more ready to welcome the future to come in whatever it is in expecting hea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