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4 Download: 0

한국 대안공간의 실태와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 대안공간의 실태와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alternative space and its course of evolution in Korea
Authors
백송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일호
Abstract
본 논문은 1998년 IMF 경제위기 이후 등장한 국내 대안공간과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출현한 이른바 신생공간의 사회적•시대적 배경과 여건, 그 전개과정에서 나타난 주요 활동과 성향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미술관 및 상업 갤러리 등 기존의 제도권 예술계와 전시공간 시스템 하에서 발생한 여러 가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출현한 대안공간의 역할과 기능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바탕으로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국내보다 약 30년 정도 앞서 1960년대 말에 등장한 미국 대안공간의 태동과 번성, 그리고 1980년대에 들어와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된 사정 등 미국의 사례와 경험을 보면, 비록 시대적 배경이나 사회문화적•정치경제적 여건을 달리할지라도 한국 대안공간의 운영 및 활동, 발전방향과 관련하여 하나의 모델 내지 선례로서 참고할 만한 사항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1960년대에 주로 서구 사회에서 사회적•사상적으로 획기적이고 폭발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미술계에서는 개념미술과 행위예술, 제도비판미술이 일반화되면서 모더니즘에 기초한 전시의 기능과 의미를 비판함과 아울러 대안적 전시의 형태를 제시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런 분위기 속에서 1960년대 말경부터 1970년대에 미국 뉴욕을 중심으로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이 기존 예술계의 제도적•상업적 압력으로부터 예술을 해방시키기 위하여 자발적으로 대안공간의 창설을 주도하게 되었다. 대안공간은, ‘화이트 큐브’로 대표되는 모더니즘 시대의 미술관 및 상업 갤러리의 권위적•상업적 시스템에 반발함과 아울러 아방가르드 예술을 지원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등장하였기 때문에, 예술 작품의 창작•전시•전달 및 보존에 이르는 전과정은 물론 그 전시공간의 주체•운영•기능 및 방법에 관하여 종전과 다른 특성을 보여 왔다. 그 일반적 성향으로는, ①예술가 조직의 비영리적 운영(반권위적, 비상업성), ②반제도적 성격의 공간(기존의 주류와 다른 소수집단의 활동), ③예술과 공동체의 결합(사회적•역사적 맥락에서의 예술), ④전시 방법이나 매체의 다양성과 복합성을 들 수 있다. 국내의 경우 1990년대 말경 미술시장은 유명작가들에 의해 더욱 독점화되는 한편, 폐쇄적인 제도권 조직은 외형의 변화를 쫓아가지 못하게 되었다. 그런 가운데 미술계 일선 현장에서 새롭게 분출하는 젊은 미술가들의 형식과 미학적 성과를 제대로 담아내지 못한다는 비판의식이 싹트게 되었고, 나아가 제도권 미술관이나 상업 갤러리와는 다른 대안공간에 대한 필요성이 두드러지게 되었다. 여기서 1999년 대안공간 루프를 시작으로 대안공간 풀, 사루비아다방 등 비영리 대안공간이 자생적으로 생겨나기 시작하였고, 뒤이어 전국적으로 수십 개의 대안공간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새로운 성격의 전시공간이 출현하기 시작하다가 2012년부터 2014년까지의 사이에 신생공간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공간들이 급격히 늘어나기 시작하였다. 2015년 10월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전시판매 행사《굿-즈》와 2016년 1월부터 4월까지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열린 계층별 작가/작품 기획전《서울바벨》을 계기로 신생공간 현상은 국내 미술계에 새로운 이슈로 떠올랐다. 신생공간의 특성/성격을 하나로 묶어 이야기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아직 그에 대한 의견 역시 다양하기는 하나, ‘젊은 작가들’에 의해 ‘자생적’으로 운영되는 공간을 일컫는다고 할 수 있다. 예술가로서의 직업이나 미래가 불안정하고 불투명한 상태에 처한 신생공간세대는 대안공간의 비영리적 운영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작가들의 현실적 생존과 자립을 우선시하는 성향을 나타냈다. 《굿-즈》이후 작가직거래 장터를 지향하는 그 후예들이 세분화되어 나타나기 시작했다. 다수의 신생공간은 기존 제도권에 쉽게 들어갈 수 없는 청년(예비) 예술가들이 처음으로 스스로 조직한 공간으로서 자기조직화의 초기 형태라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신생공간이 기획자나 작가 등을 중심으로 다수의 예술가들이 팀을 꾸려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운영형태를 갖추고 있다. 대안공간과 신생공간은 정부나 기업으로부터 상이한 형태의 지원을 받았다. 전자의 경우 외부 지원이 ‘전시공간 확대’에 주력했다면, 후자의 경우 ‘작품판매’를 지원하는 기조를 보였다. 대안공간은 여전히 본질적으로 그 정체성이 파괴되기도 쉽고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에 지배당하기도 쉬운 현장이다. 그들이 비영리 전시공간이나 미술 갤러리로서 점차 예술계에 통합되는 것은 피하기 어렵다. 그러기에 그들의 정체성은 각자가 가지고 있는 독자적 특성과 별도로 설립 당시의 예술적•정치적•사회적 맥락과 관련하여 연구의 대상이 되어왔다. 국내의 경우 대안공간이 수행해야 할 활동으로는 ①전시(기획전, 공모전, 해외전), ②지역프로젝트, ③아카이브 기능, ④ 각종 프로그램(대중, 입주, 교육, 학술)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렇게 다양한 활동을 비영리적 방식으로 운영한다는 것은 거의 대부분 재정적 곤란을 피할 수 없는 위험에 빠뜨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대안공간이나 신생공간 등 비제도권 조직이 당면하고 있는 주요 문제로는 ‘정체성의 확립’과 ‘안정적 재정 확보’라는 2가지 사항을 들 수 있다. 대안공간이나 신생공간은 먼저 각자의 여건 및 특성을 감안하여 추구해야 할 가치와 방향, 즉 정체성을 분명히 한 다음, 자신들의 실천 활동이 사회전반에 유익한 유•무형의 가치를 창출한다는 존재 이유를 보여줄 필요가 있다. 한편 정부나 공공단체는 이들의 재정적 안정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체계적 지원을 하고, 기업이나 단체, 개인 등도 여기에 동참할 수 있도록 법정기부금 제도와 세제 혜택 등의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국내의 대안공간이나 신생공간은 현재 절정을 지나 변화하는 단계에 들어섰다. 더 많은 실험과 사업이 생성 추진되고 있음에도 그에 관한 비전과 담론이 공론화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향후 대안공간 및 신생공간의 의미와 역할, 성과, 새롭게 변화하는 국내외 환경에 더욱 선제적으로 역할해야 할 모델에 관한 논의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This thesis seeks to address the rise of alternative spaces following the 1998 IMF financial crisis of Republic of Korea, and the emergence of new independent art space in the aftermath of the 2008 global economic crisis. It will endeavor to analyze the phenomenon through identifying its key activities, tendencies, and sociological background of its development. Based on these analysis it will further attempt to examine how the newly formed new independent art spaces have sought to mitigate the pre-existing difficulties of commercial galleries and art museums, and will also provide insight into furthering the potential for advancement. In the example of emergence, and flourishing of alternative spaces in the late 1960s in the United States, one can be provided with numerous reference points that would assist in furthering the activities and operations of South Korean alternative spaces. The features learnt from the US model would transcend the thirty years time gap in its conception between the US and the RO, and the apparent differences in its socio-cultural and economical-political criteria between the two nations. When a radical and explosive sociological/ideological transformation took place in the western hemisphere during the 1960s, the art world strived to offer a more alternative form of art. This movement was born out of the criticism regarding the prevalent modernist exhibitions, based on the criticisms regarding conceptual, performance, and institutional critique arts. It was in the environment of the late 1960s to the 1970s that alternative spaces were created based upon the liberation efforts of the avant-garde artists revolting against the institutional/commercial pressures of the established art world. Owing to the fact alternative spaces were created in opposition to the embodiment of commercial/ authoritarian system in commercial galleries and art museums of modernist era best represented in “White Cube”, it sports a very differentiated approach to art piece’s creation, exhibition, conveyance, and preservation as well as in the administrative differences of its predecessor. The common characteristics it demonstrates are: 1) not-for profit administration by the artists (anti-establishment, anti-commercialism), 2) anti-institutional space (activities by the nonmainstream factions), 3) consolidation of art and community (art in the context of sociology and history), and 4) variety and complexity of the exhibition method and medium. During the late 1990s of Republic of Korea, renowned artists were monopolizing the art market, while the exclusive institutionalism restricted its metamorphosis. In the midst of these limitations, criticisms started to blossom. It called forth for a more relevant depiction of the newly emerging art forms and artists, as well as the need for a new alternative space that distanced itself from the establishment. From 1999 on alternative spaces started to spontaneously generate all over the nation, best represented by spaces such as “Art Space Pool”, “Project Space Sarubia”. In the aftermath of the 2008 global economic crisis, new form of art exhibition space started to emerge. From 2012 to 2014, these spaces named new independent art spaces started to exponentially grow. Interest in this phenomenon of new independent spaces soon sky rocketed in the Korean art world through events such as the “Goods” held at the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in October ’15, and “SeoulBabel” held at Seoul City Museum through January to April ’16 at Seoul Museum of Art. Despite the numerous challenges in defining new independent spaces in terms of a specific characteristic as the diversified opinions on the subject suggest, the consensus seems to allude to a definition of a space that is spontaneously administrated by young artists. The generation of new independent art spaces tend to prioritize their survival and independence. This is derivative from the uncertainty they face as artists, which in turn has led them to question the not-for-profit administration of alternative spaces. Following the “Goods” exhibit, a more segmented generation of artists opting for direct transaction market by the artists started to emerge. Hence, numerous new independent art spaces can be seen as the initial state of self-institutionalization of youth artists that have limited access to the establishment. As most of the new independent art spaces managed through project based teams consisting of artists and creators, they have received differentiated forms of governmental or corporate aid from alternative space. In terms of alternative space, the external aids were focused on expanding the space available for exhibition, the new independent art spaces were in the form of assisting the sales of the art pieces. New independent art spaces still remains to be easily corruptible and dominated in its nature. It is inevitable that they will become more incorporated in to the art world through its acquisition by non-profit exhibition space or art galleries. Therefore research regarding the new independent art spaces have been conducted in terms of its artistic, political, sociological context in terms of its conception rather than its individualistic characteristic. In South Korea, the operation of alternative spaces as not-for-profit is being threatened as the space is required to carry on the following roles: 1) exhibition (exhibit, contest, and foreign exhibits), 2) local project, 3) archival role, and 4) other programs (public, education, academic). The diversified roles required of the space are aggravating their finances. Consequently, the crux of the problems facing non-institutional organizations such as alternative space and new independent art spaces are establishment of their identity, and secure finances. Alternative spaces and new independent art spaces alike must prove to the society that they are capable of contributing tangible, and intangible goods to the public through their unique works. In addition to providing the service to the general public, they should also seek concretely establish their identity and the ideals they pursue. This will become the basis for their raison d’etre. To assist in these endeavors, the government or public organizations should systematically aid in their finances, and pave the way for private, corporate, individual donations to be possible through specific bills and tax incentives. Alternative spaces, and new independent art spaces in Republic of Korea has reached its zenith, and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Despite increased experiments, and new businesses, the concepts and discourse regarding the art spaces are far from being publicized. Public discourse needs to be furthered in order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model that would become the future for alternative spaces, new independent art spaces by effectively adapting to the ever-changing domestic and foreign environm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