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혜선-
dc.contributor.author윤지현-
dc.creator윤지현-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1:02Z-
dc.date.available2019-02-18T16:31:02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43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432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677-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사회의 급변하는 흐름 속에서 사회적 안정에 대한 욕구가 확대됨에 따라 범죄 예방의 정책 연구 및 사업도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가 처음으로 실시한 셉테드(CPTED) 사업지역 중 두 개의 대상지를 선정하여, 집합효율성의 핵심인 비공식적 사회통제의 2가지 요인과 3세대 셉테드(CPTED)의 핵심인 공동체 의식과 대응되는 소그룹의 5가지 요인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이론적 논의에 근거하면, 범죄학 이론에서 집단 구성원의 적극적 개입과 비공식적 통제를 강조하는 집합효율성을 통해 문제적 상황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이는 3세대 셉테드(CPTED) 디자인의 방향과도 일치한다. 또한 3세대 셉테드(CPTED) 디자인의 공동체 강화를 위한 세부 전략을 사회·심리학의 소그룹 이론과 대응하여 셉테드(CPTED)을 위한 디자인 원칙으로 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립한 셉테드(CPTED)디자인 원칙을 분석틀로 사용하여 대상 지역의 효과성의 유무와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대상 지역에 적용된 요인을 디자인적 관점에서 분류하여, 동일한 요인이 지역에 따라 적용의 차이가 있음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 지역을 셉테드(CPTED)디자인 원칙에 따라 분석하기 위하여 비공식적 통제 2가지 요인(지역주민의 개입의지, 지역사회의 유대)과 소그룹 5가지 요인(소속감, 응집력, 공동의 목표, 사회적 상호작용, 유대감)을 조작화 하였다. 조작화 된 정의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구성하고 연구문제를 설정 후 대상 지역 주민에 무작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마포구 염리동과 금천구 가산동의 공동체 의식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3세대 셉테드(CPTED)의 첫 시행지였던 마포구 염리동과 약 2년여 후에 시행된 금천구 가산동은 세부적 요인의 분석에 따라 공동체 의식에 차이를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포구 염리동과 금천구 가산동 사이에 비공식적 사회통제 요인인 지역주민의 개입의지와 지역사회의 유대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3세대 셉테드(CPTED) 전략의 시행은 두 지역의 집합적 효율성을 유사하게 형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두 지역의 소그룹 요인인 소속감과 응집력, 공동의 목표, 사회적 상호작용, 유대감 모두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두 지역이 셉테드(CPTED) 시행으로 인하여 소그룹 활동의 형태를 유지하며 그룹의 응집과 상호작용이 확대되면서 공동체 의식이 유사하게 형성되고 유지되고 있음을 추론해볼 수 있다. 셉테드(CPTED)의 시행은 마포구 염리동의 비공식적 사회통제와 소그룹의 형성에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셉테드(CPTED) 시행 후에는 환경적 개선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지는 않았다. 따라서 마포구 염리동은 셉테드(CPTED)의 시행 이후 집합의 응집과 효율성과 함께 공동체 의식이 강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금천구 가산동도 마포구 염리동과 마찬가지로 비공식적 사회통제와 소그룹의 형성에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금천구 가산동은 셉테드(CPTED) 시행 이후에도 여전히 환경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금천구 가산동은 셉테드(CPTED)의 시행으로 공동체의 유대와 응집을 통한 공동체 의식이 강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속적인 환경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셉테드(CPTED)의 시행에 따른 마포구 염리동과 금천구 가산동의 비공식적 사회통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지역주민의 개입의지는 두 지역 간 차이가 있었으며, 지역사회의 유대감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통해 두 지역 사회의 유대감이 형성된 정도는 유사하나, 구체적 통계 결과를 확인해보았을 때 마포구 염리동의 지역주민들의 자발적 참여의지가 강화되었음을 추론해볼 수 있다. 소그룹의 경우에는 소속감과 유대감, 공동의 목표에 대한 몰입은 두 지역이 유사하게 형성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으나, 사회적 상호작용과 응집력은 유의미한 차이를 드러냈다. 구체적 통계 결과를 확인해보면 사회적 상호작용은 염리동이 높으나 응집력은 가산동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두 지역 공동체 의식의 형성 양상이 다소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환경적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 두 지역 모두 유사한 경향을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분석의 결과를 통해 3세대 셉테드(CPTED) 전략의 시행은 대상 지역에 디자인적인 접근을 통해 집합적 효율성과 공동체 의식 함양 및 강화에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3세대 셉테드(CPTED) 디자인의 공동체 강화를 사회·심리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실증적 검증하였으며, 실제 셉테드(CPTED) 디자인 시행지역을 대상으로 검증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비공식적 사회통제 요인과 소그룹 요인의 검증을 통해 요인의 상위 개념인 공동체 의식과 집합효율성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두 대상지역 간 공동체 의식과 집합효율성 정도의 차이를 확인하여 이론적 고찰을 통해 수립한 셉테드(CPTED) 디자인 원칙의 적합성을 재확인하고, 다시 디자인의 관점을 통해 어떻게 공동체 의식이 구현되었는지 디자인의 연관성으로 연결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셉테드(CPTED) 디자인의 공동체 의식 강화를 위한 디자인 적용을 위해 구체적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desire for social stability grows in the rapidly changing trend of modern society, various researches and projects of crime prevention are being carried out. In this study, two of the crime prevention design projects conduc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ere selected, and the two factors of informal social control, which is the core of collective efficiency, and the small group based on the five factors.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the problematic situation can be solved through the collective efficiency which emphasizes active intervention of group members and informal social control in criminology theory,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direction of 3rd generation CPTED. In addition, the detailed strategy for strengthening community of 3rd generation CPTED was defined as the design principle for CPTED in response to small group theory of social psych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and effectiveness of the CPTED principles as an analytical framework. In addition, the factors applied to the target area were classified from the viewpoint of design,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same factors were applied to different reg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PTED principles on the target area in terms of two factors of informal social control (will of the local residents to intervene, community's ties) and 5 factors of small group (sense of belonging, cohesion, common goal, social interaction, bond). Questionnaires wer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operational definitions, and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randomly in the target a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could confirm the degree of community consciousness between Yeomni-dong in Mapo-gu and Gasan-dong in Geumcheon-gu.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munity consciousnes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detailed factors in Yeomni-dong, Mapo-gu, which was the first trial of 3rd generation CPTED, and Gasan-dong, Geumcheon-gu about 2 years later. It was revealed that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will of the local residents to intervene and the community ties between informal social control factors between Yeomni-dong in Mapo-gu and Gaesan-dong in Geumcheon-gu. Thus, the implementation of the 3rd generation CPTED strategy can be considered to have formed a collective efficiency similarity between the two region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ense of belonging, cohesion, common goal, social interaction, and bonding between the two group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two communities maintain the form of small group activities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CPTED, and the community consciousness is formed and maintained similarly by expanding the group 's cohesion and interaction. The implementation of CPTED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informal social control and the formation of small groups of Yeomni-dong in Mapo-gu and did not feel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 improvement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PTED. Therefore, after the implementation of CPTED, Mapo-gu Yeomni-dong can confirm that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has been strengthened with the aggregation and efficiency of gathering. As Yeomni-dong in Mapo-gu and Gasan-dong in Geumcheon-gu showed meaningful results in informal social control and small group formation. However, we can confirm that there is still environmental improvement in Gasan-dong in Geumcheon-gu after the implementation of CPTED. Therefore, we can confirm that the community consciousness through the bond and cohesion of the community has been strengthened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CPTED, and it was found that the goal of continuous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 was found. The informal social control of Yeomni-dong in Mapo-gu and Gasan-dong in Geumcheon-gu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ocus of involvement between the two region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mmunity's ties. Although the degree of bond formation between the two communities is similar, it can be deduced that the voluntary participation intentions of the local residents of Yeomni-dong in Mapo-gu have been strengthened. In the case of the small group, the sense of belonging and bond and the commitment to the common goal can be confirmed that the two regions are formed similarly, but the social interaction and cohesivenes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of the specific statistics showed that social interaction was high in Yeomni-dong, but cohesive power was higher in.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formation patterns of the two community consciousness appear somewhat different. On the other hand, the need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showed similar tendency in both reg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3rd generation CPTED strategy influenced collective efficiency and community awareness through the design approach to the target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ommunity enhancement of the 3rd generation CPTED design based on socio - psychological theories and to test the actual implementation area of CPTED.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e level of community consciousness and collective efficiency, which is the upper concept of factors, through informal social control factors and small group fact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nfirm the appropriateness of the CPTED design principles established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by confirm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sciousness of collective consciousness and the collective efficiency between the two target areas. Based on this, it can be suggested a concrete plan for the application of the design to strengthen the consciousness of the community of crime prevention desig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Ⅱ. 이론적 배경 7 A. 범죄예방의 개념 및 특성 7 1. 범죄 예방의 개념 7 2. 범죄학 이론의 이해 8 B. 셉테드(CPTED)의 이해 13 1. 셉테드(CPTED)의 개념 13 2. 셉테드(CPTED)의 의의 15 3. 셉테드(CPTED) 실천전략 15 4. 셉테드(CPTED) 접근방법 19 5. 셉테드(CPTED) 연구의 패러다임 변화 23 C. 사회 심리학 이론의 이해 25 1. 소그룹 25 2. 사회통제 29 Ⅲ. 연구 문제 및 분석 31 A. 연구 대상지 선정 31 B. 연구 모형의 설정 36 1. 연구의 분석체계 및 연구 모형 36 2. 연구 문제 설정 38 3. 연구의 대상 및 방법 40 4. 측정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설문 설계 40 5. 분석 방법 44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45 A. 셉테드(CPTED) 디자인 원칙의 분석 45 1. 일반적 특성 검증 45 2. 신뢰도 검증 46 3. 기술통계 검증 46 B. 사례 분석 결과 48 1. 비공식적 사회통제 48 2. 소그룹 49 3. 셉테드(CPTED)의 시행 49 C. 셉테드(CPTED) 디자인 원칙의 적용 54 1. 마포구 염리동 54 2. 금천구 가산동 59 Ⅴ. 결론 및 논의 64 A.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64 B. 연구의 한계 및 제언 67 참고문헌 69 부록1. 설문지 79 ABSTRACT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005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셉테드(CPTED) 디자인의 효과 측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Measuring Effectiveness of CPTED Design-
dc.creator.othernameYoun, Jihyun-
dc.format.pagex, 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산업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