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7 Download: 0

천연소재 마감재의 면적 비율에 따른 시각적 온도감 및 경연감 연구

Title
천연소재 마감재의 면적 비율에 따른 시각적 온도감 및 경연감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Visual Temperature and Hardness according to Area Ratio of Natural Material : Focusing on the ratio of color and material combination
Authors
김보미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영경
Abstract
최근 장기간의 높은 비용을 투자하며 새로운 소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적은 비용으로 새로운 느낌을 주며 개성과 라이프스타일을 표현하여 디자인을 차별화 하는 Color, Material, Finishing(CMF)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CMF 디자인은 감각적 경험을 구체화하고 감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이에 최근 기업들은 자연적이며 편안하고 부드러운 감성을 나타내는 천연소재에 대한 소비자들의 욕구를 반영하여 고급 천연소재 또는 천연소재처럼 구현된 인공소재 및 저렴한 친환경 소재를 활용하여 천연소재와 비슷한 질감을 나타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 중이다. 산업 디자인 분야에서는 다양한 컬러•소재•마감(CMF)를 통해 천연소재와 같은 자연감, 고급감, 부드러운 촉감을 통해 제품의 특성 및 기능을 강조하며 감성을 극대화 하고 있다. 최근 삼성전자의 셰프컬렉션 냉장고는 내부에 스테인리스와 유리를 동시에 활용하여 냉장고의 본연의 기능을 강조하고, 완성도 있는 마감처리를 통해 고급스러움을 더하였다. 또한 자동차 인테리어 분야에서는 가죽, 목재, 금속 등의 천연소재 또는 이와 같은 퀼리티를 구현하는 다양한 소재와 기법을 활용하여 자동차에 감성을 극대화하고 시각적 질감, 촉각적 질감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제네시스 브랜드는 최상의 안락함과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에 가죽과 리얼우드 천연소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공간의 감성을 극대화하였다. 이는 장기적으로는 공간을 이용하면서 얻는 기업 브랜드와 이미지에 대한 신뢰도를 구축하며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에 산업디자인과 인테리어 분야에서의 CMF는 중요한 요소이며 이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도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곡숙, 서지은(2011)은 마감재로 공간의 이미지를 표현할 때 이용자는 다채로운 시각적 촉감을 경험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이곡숙, 서지은 (2012) 연구는 주거공간에서는 이질적인 이미지의 마감재를 Mix & Match 함으로써 제한된 공간 속에 다양한 감성을 자극하며 동시에 폭넓은 경험을 제공하기 때문에 마감재의 댜양한 활용이 많아지고 있다고 하였다. 민지혜, 최경실(2014)의 연구는 마감재는 실내디자인에서 심미적이고 장식적인 역할을 하여 공간의 성격 또는 분위기를 형성하기 때문에 실내디자인 스타일에 따라 마감재를 선택할 때는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서지은, 박의정(2012)의 연구는 마감재는 실내공간에 다양성과 차별성을 주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며 특정한 형태나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소비자들과 소통하고 감성을 자극시킬 수 있는 있는 중요한 요소라고 하였다. 마감재가 가지는 시각적이고 촉각적인 특성은 색상 또는 질감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여 심리적인 부분에서도 중요한 역할은 하기 때문에 마감재에 대한 감성연구는 필수적이라고 하였다. 서지은, 이곡숙 (2012)은 마감재의 감성 어휘 평가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요소는 모두 색채와 질감의 차이와 관계가 있었으며 이에 마감재의 색채와 질감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공간이미지의 감성을 극대화하여 지각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을 강조하였다. 이렇듯 CMF를 활용한 공간이미지에 대한 감성 연구 또는 가죽, 목재, 대리석, 플라스틱, 금속의 단일 소재에 대한 색채와 표면 질감에 대해 다양한 감성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어오고 있다. 하지만 실제 디자인 산업에서는 제품이나 공간을 디자인할 때 한가지 소재만을 활용하여 디자인을 표현하기 보다는 최소 두가지의 소재가 조합되어 제품의 이미지를 표현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시도하고자 하는 실험은 실제 제품이나 공간분야의 감성을 디자인하는데 필요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컬러•소재•마감의 가죽, 목재, 금속, 대리석의 천연소재를 활용하여 서로 다른 소재를 2가지로 조합하였을 때 시각적 온도감과 경연감의 감성 차이를 알아보고 조합된 면적 비율이 달라짐에 따라 감성의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렇다면 면적 비율을 어느정도 늘렸을 때 감성의 변화가 시작되는지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In the design field, rather than using one finishing material to complete a design, it is enhancing the sensitivity and completeness of the design by combining at least two materials. In this study, we sought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visual hardness and visual temperature when two different materials are combined, and the sensitivities that can be maximized using natural materials from leather, wood, metal, and marble. We also wanted to find out about the change in sensitivity and the pattern of the combined area ratio of the finished materials. The results of the tests for visual temperature and hardness according to the same combination of proportions of the two natural materials are as follows. Differences in warm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finishing materials combination were identified. It showed a warm feeling of temperature, between the two materials were wood > leather, wood > metal, leather > metal. In the combination of wood + wood and leather + leather, the temperature felt warm depending on the color and particle size of the material. We identified the difference in cold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finishing materials combination. The cold feeling of temperature was in the order of the combination of 'metal + marble > marble > metal + marble > metal > leather + metal + metal + wood'. The results of the visual temperature test of the same combination of two natural materials showed that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properties made it look visually harder. Experiments on visual temperature according to area ratio of the two natural materials showed that the combination of leather + metal with cold sensitivity changed to warm sensitivities and that the visual temperature was maximized or decreased. The combination of similar colors was considered priority to indicate a warm feeling of temperature. Next, higher the saturation, lower the contrast, the warmer the temperature. For color, in the order of aromatic > green > yellow > red, among achromatic, was black > gray. As the contrast between the two material combinations was larger, and the lower the lightness and saturation the colder the sensitivity. The temperature was cooler as stronger the contrast between the background color and the pattern.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found a pattern that maximizes sensitivity in visual temperature and visual hardness according to area ratio of natural material finishes and the color and surface characteristics in a way that has not been attempted befo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