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주보림-
dc.contributor.author조윤희-
dc.creator조윤희-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1:00Z-
dc.date.available2019-02-18T16:31:00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40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408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668-
dc.description.abstract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고 시대의 변화 속도 또한 빨라짐에 따라, 오늘날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사고는 더욱이 중요하게 여겨진다. 본 연구는 추상표현주의를 대표하는 혁신의 화가 잭슨 폴록의 드리핑 회화로부터 그 이미지 특성을 응용하여 예술적 가치를 갖는 패션디자인 작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피혁과 실리콘이라는 대조적 두 소재를 활용하여 실험적인 디자인을 전개함으로써 패션디자인의 표현 영역을 보다 넓히는데 일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잭슨 폴록 회화의 이미지와 드리핑 기법을 현재의 시각에서 패션디자인 작품으로 응용하여 표현하는 과정과 결과이다. 이론적 배경으로서 잭슨 폴록 회화에 대한 전반적 고찰을 통해 회화의 형성 배경과 작품 세계를 탐구하고 그에 따라 이미지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특히 잭슨 폴록의 드리핑 기법이 가장 완숙하게 나타났던 때로 여겨지는 1947년에서 1950년도까지 드립 시기에 제작된 작품의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현대 미술의 드리핑 기법 조사를 통해 다양한 드리핑 회화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잭슨 폴록의 드리핑 회화 이미지와 그 기법을 적용한 패션디자인 작품을 전개하였다. 연구 대상에 대한 다양한 시각자료 및 문헌자료, 사례 연구와 더불어 작품 기획과 제작에 필요한 디자인 표현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재료로서 사용되는 실리콘과 가죽의 특성을 조사하여 디자인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고자 하였다. 작품은 총 6착장으로 원피스드레스 2점, 탑 2점, 팬츠 1점, 스커트 1점, 코트 2점, 케이프 1점 등 총 9가지 아이템으로 구성하여 완성하였다. 작품으로 완성된 의상의 실루엣은 드리핑 기법이 가장 완성도 높게 보일 수 있도록 넓은 면적을 의도하였다. 슬리브를 길게, 끝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디자인하였으며 의상의 끝단은 가죽의 원형을 최대한 살려 잭슨 폴록의 드리핑 회화에 나타난 선의 흐름과 이미지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행위 자체를 예술 작품의 한 과정으로 만들었던 잭슨 폴록의 드리핑 회화를 분석하여 우연성, 역동성, 복잡성, 다층성 등의 이미지 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회화의 제작 과정에서 오는 우연성, 선의 방향 및 움직임이나 거대한 화폭의 크기로부터 오는 역동성, 자연의 패턴 구조를 갖춘 복잡성, 그리고 여러 물감의 층이 겹겹이 이루어져 멀티 레이어를 생성함으로써 하나의 작품을 이루는 다층성 등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둘째, 잭슨 폴록의 드리핑 회화에서 추출한 이미지의 특성을 표현하고자 실리콘 도료를 피혁에 뿌리는 행위를 통해 패션디자인 작품 소재를 제작하였다. 작품의 제작 과정 중 실리콘 도료를 뿌리는 힘에 따라 우연적으로 생성되는 선과 점들의 표현 효과가 눈에 띄었으며 덜 마른 상태에서 행위가 반복된 것은 우연의 번짐 효과까지 가능하게 하였다. 셋째, 드리핑 재료인 실리콘 도료의 농도와 드리핑 매체 그리고 연구자의 행동과 에너지 조절을 통해 역동적 선의 방향성과 운동감 등을 표현할 수 있었다. 공업용 페인트는 의상에 볼륨감 있는 선을 표현하기에 좋았고 실리콘 바니쉬를 짙은 농도로 혼합하면 밀도감이 강조되는 표현이 가능하였다. 넷째, 다양한 색의 선들을 계속적으로 쌓아 층을 만들어 줌으로써 의상 작품 표면에 다층적인 이미지 특성을 강조할 수 있었다. 특히 모델링 페이스트와 공업용 페인트 등을 사용하여 도료의 농도를 보다 짙게 혼합함으로써 다층적 효과를 높일 수 있었다. 투명감을 주는 겔 미디엄을 사용해 가는 선을 반복하거나 도료의 농도를 묽게 조절하여 겹겹이 쌓아 올리는 방법 역시도 다층성을 강조할 수 있게 하였다. 다섯째, 잭슨 폴록 드리핑 회화의 전반적인 작품 패턴을 지키고자 했던 의도가 복잡성의 이미지를 가능하게 하였다. 특히 의상 작품 부분 부분마다 복잡성의 정도에 차이를 두었는데, 의상 작품 전체에 자연적인 패턴의 흐름이 표현될 수 있었다. 여섯째, 주요 원단으로 자유로운 외곽선을 강조한 양피를 여러 장 이어서 사용하였으며 거칠고 가공되지 않는 가죽의 특성은 우연성을 갖는 드리핑 기법의 즉흥적이고 원시적인 특성과 잘 어우러졌다고 생각한다. 또한 드리핑 이미지 표현의 재료로 실리콘을 사용하였는데, 실리콘의 경화가 빠른 특성은 의상 소재에 드리핑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적합했다. 이처럼 피혁과 실리콘이라고 하는 이 대비되는 소재의 조합은 서로의 특성을 더욱 돋보이게 하였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 대한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우선 표현적인 부분에 있는데 잭슨 폴록의 회화 이미지 특성을 응용한다는 의도가 보다 근본적인 창작의 개념적 접근에 입각해서 방법들을 이끌어내는 쪽으로도 전개될 수 있지 않을까 제안한다. 또한 작품 제작의 측면에서 제기되는 한계점은 실리콘 재료와 관련된다. 실리콘은 경화되는 과정 중에 가죽의 특성에 따라 각각 다른 접착성과 질감을 가져 의도한 대로의 실루엣을 표현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와 같이 혁신과 전환의 가치를 중시하고 경계를 넘나들며 분야의 연결을 시도하는 연구들이 현대 패션디자인이 예술로서 확장된 표현 영역을 구축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By the early 50s, Pollock, whom de Kooning acknowledged as the first “to break the ice”, made the act itself as a process of art. As the era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4IR) has come, and the world is changing at a more rapid pace than ever. Innovative and creative thoughts today are playing a crucial role in every fields. Jackson Pollock, the representer of abstract expressionism, is an innovator who developed the field of drip paintings, destroying traditional practice of easel pain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fashion design works with artistic value by applying Pollock’s drip paintings. Using the contrasting characteristics of the leather and silicone, in addition, has contributed to create experimental garment design works and expand the area of fashion design. This study is the process and result of applying Jackson Pollock’s art and his dripping technique to the fashion design with a new perspective. As a theoretical analysis, I researched the formation of the Pollock’s art and derived 4 characteristics in his drip paintings. In particular, I explored his art works created during the “drip period” between 1947 to 1950, when Pollock’s drip style considered to be the most mature and intense. Furthermore, various drip paintings were analyzed through the study of the dripping technique appeared in the contemporary art. Based on this theoretical view, I developed my fashion design works by applying Pollock’s drip paintings through the dripping technique. A variety of visual materials, documents, case studies, and numerous experiments for design proposals were conducted. And the analysis of silicone and leather helped to apply those materials to the garment effectively. The fashion art works consist of 6 styles, 9 items including 2 dresses, 2 tops, a pair of pants, a skirt, 2 coats and a cape. The overall silhouette of garments is a wide A-line so that dripping could be expressed in the most effectual and beautiful way. Also, the sleeves were designed to be long and wider at the end, and the hemline was created to let out the original shape of the leather. Consequently, these designs effectively showed the flow of the lines and images of Pollock’s drip art. The conclusion of the study can be restated as follows. First, I derived 4 characteristics such as contingency, dynamic, complexity and multi-layers by delving into the Pollock’s drip paintings. The contingency came from during the process of art work; the dynamic was caused from the movements and directions of lines, and the size of the canvas; the complexity was acquired with the structure of natural patterns, called “fractal“; the multi-layers was created from the numerous layers of paints. Secondly, the fabric of the garment was produced by applying the silicone paints to the leather to deliberate the image of Pollock’s drip paintings. During the process of work, the visual effect of dripped lines and dots were formed through the contingency according to the power of dripping was striking. Dripping silicone paints continuously onto the surface while the gesso was still wet so that the paint bled, creating the effect of halo around the lines and pools of paint. Third, the directions and dynamic movements of lines could be expressed through the concentration of the silicone paints, dripping medium and the power of gesture. The industrial paint was effective for creating the sense of volumed line, and when the silicone varnish was mixed into an intense concentration, the effect of density was emphasized. Fourth, it was able to emphasize the multi-layered property by simultaneously layering the various color of lines on the surface. Particularly, the heavy concentration of the mixture of modeling paste and industrial paints enhanced the layering effect. Also, repeating the fine strokes using the gel medium, giving a transparency effect, and stacking layers by manipula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compound created the numerous layers. Fifth, an intention to preserve the overall pattern of Jackson Pollock’s drip paintings enabled to express the image of complexity. Especially, creating the different level of complexity in each part of the work produced the flow of natural patterns to be expressed throughout the work. Sixth, the researcher used lambskin leather as the main fabric with emphasis on natural hemline. Rough and unprocessed properties of leather were combined harmoniously with the improvising and primitive dripping technique. Silicone was also used as the material for the dripping, and the fast curing attribute were suitable for expressing dripped image on the fashion design works. The combination of leather and silicone complemented each other’s contrasted characteristics.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were in the aspect of expression and production. First of all, I suggest that an intention of applying drip paintings of Jackson Pollock could be developed in the way based on a conceptual approach of more fundamental creation. In addition, the limitations arising from the aspect of production are related to silicone materials. Silicone has different adhesiveness and textur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eather during the hardening, making it difficult to express the intended silhouette. The study attempting to cooperate fashion design and art, is expected to further open up a new vision for modern fashion frontier and will lead the fashion design to a broader fiel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0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0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03 Ⅱ. 이론적 배경 04 A. 잭슨 폴록 회화에 관한 고찰 04 1. 작품 형성 배경 및 작품 세계 04 2. 잭슨 폴록 드리핑 회화의 이미지 특성 26 3. 잭슨 폴록의 드리핑 회화 이미지를 응용한 현대 패션디자인 35 B. 드리핑 기법에 관한 고찰 41 1. 드리핑 기법의 개념 및 형성 배경 41 2. 현대 미술에 나타난 드리핑 기법 45 3. 현대 미술의 드리핑 기법 이미지를 응용한 현대 패션디자인 54 Ⅲ. 작품 제작 및 해설 60 A. 작품 제작 의도 및 방법 60 B. 작품 및 해설 66 Ⅳ. 결론 및 제언 130 참고문헌 133 ABSTRACT 13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5631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잭슨 폴록(Jackson Pollock)의 드리핑(dripping) 회화 이미지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Fashion Design Applying Jackson Pollock’s Drip Paintings-
dc.creator.othernameCHO, YOONHEE-
dc.format.pagexi, 14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패션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