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9 Download: 0

유성기음반의 황실대취타와 현행대취타의 선율 비교 분석 연구

Title
유성기음반의 황실대취타와 현행대취타의 선율 비교 분석 연구
Other Titles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Earliest Daechwita (Royal Military Processional Music) Recording and Contemporary Daechwita Performance, Focusing on Taepyeongso(a Conical Oboe) Melody
Authors
김선홍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영근
Abstract
본고는 2016년에 발견된 대한제국시기의 황실대취타의 음원과 현행 대취타의 음원의 비교를 통해 황실대취타의 태평소 선율을 분석한다. 미국의 음반회사인 빅터사에서 1906년에 녹음하고 1907년에 발매한 황실대취타의 태평소 선율을 분석하기 위해 현재 국가무형문화재 제 46호로 지정되어 있는 피리 정악 및 대취타 예능보유자인 정재국의 태평소 선율을 비교 대상으로 정하여 이 두 선율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 지를 알아본다. 대취타는 태평소, 나각, 나발, 용고, 자바라, 징으로 구성되는 악기 편성의 명칭으로 불리기도 하고 이 악대가 연주하는 선율로 음악으로 불리기도 한다. 대취타는 조선시대 이전부터 이어져 온 행악이었다. 조선 후기에 이르러 장악원에 이속되어 연주되었지만 일제강점기였던 1910년부터 국가적 규모의 행사가 모두 중단되며 국가적 차원의 대취타의 명맥은 잠시 끊긴다. 1930년에 이르러 대취타는 이왕직아악부에 의해 다시 전승을 할 수 있게 된다. 현대에 이르러 1971년, 제 46호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그 명칭이 “대취타”로 전해졌고 최인서가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최인서가 작고하고 난 후, 정재국이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1998년에 “피리 정악 및 대취타”로 명칭이 변경되며 피리 정악 및 대취타의 보존회에서 대취타의 태평소 선율을 전수하고 있다. 대한제국기 시절 황실대취타는 1906년에 호머헐버트의 주선으로 녹음되었으며 빅터사에서 1907년에 발매하였다. 이 음반이 근래에 발견되면서 황실대취타의 태평소 선율과 현행대취타의 태평소 선율을 분석하였다. 황실대취타의 태평소 선율은 음성측정 프로그램인 프라트를 활용하여 음정을 채보하였고 현행 대취타의 태평소 선율은 선행연구의 악보를 참고해 채보하였다. 악보로 표기한 두 선율의 비교를 통해 동일선율, 유사선율, 상이선율을 구분하고 그에 따른 분포도를 알아보았고 동일선율을 제외한 각 선율의 유사선율, 상이선율에서 드러나는 리듬과 음정에 따른 특징을 살펴보았다. 황실대취타의 채보에 있어 프라트를 활용한 결과, 황실대취타의 음계는 G-A-C-D-E로 나타났으며 5음 음계임이 드러났다. 다만, 이 음계에서 D와 E사이에 E♭의 음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의 분석으로 검출된 주파수를 통해 동시에 나타나는 소리는 총 5개로 음반 표지에 드러나 있던 취고수 9인 중 나발, 나각, 호적, 자바라, 징, 용고의 악기가 동시에 연주된다는 점이 명백한 것으로 드러났다. 나발과 나각의 주파수는 200㎐~300㎐가 나타났고, 자바라, 징, 용고는 부딪히는 소리로써 3000㎐대가 나타난 것을 통해 알 수 있었다. 황실대취타의 음원을 프라트를 통해 활용한 것 외에, 황실대취타의 태평소 선율과 현행대취타의 태평소 선율을 비교하였고 이를 1박을 기준으로 두 선율의 분포도를 알아본 결과, 동일선율은 54%, 유사선율은 23%, 상이선율은 23%로 나타났다. 두 선율 간 유사선율의 특징에서는 현행대취타의 태평소 선율에서 출현한 음이 황실대취타의 태평소 선율에서 출현한 음이 더 많았고, 리듬에서는 황실대취타의 태평소 선율에 비해 현행대취타의 태평소 선율에서 3분박의 리듬 형태가 더 드러났다. 두 선율 간 상이선율의 특징에서는 황실대취타의 태평소 선율이 현행대취타의 태평소 선율에 비해 온음 또는 반음이 낮은 것이 나타났으며 리듬의 특징적인 면은 현행대취타의 태평소 선율에서 3분박의 리듬 형태가 자주 나타났고 황실대취타의 태평소 선율에서 2분박의 리듬 형태가 나타났다.;This paper will be examined to compare two melodies between the earliest extant recording of Daechwita recorded by Victor Talking Machine Company in 1906, and the current Daechwita recording rendered by Master Jeong Jae-guk, the current designation holder of Daechwita, Kore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46. By analyzing two melodies, what the relationship is between two melodies. Daechwita is not only called as the instruments’ orchestration, composed of Taepyeongso, nagak, nabal, yongo, jabara, and jing, but also called the melody played by the band. Daechwita was transmited before the Joseon Dynasty. In the late Joseon period, It was shifted in Jangak-one, but every national scale of the ceremony was stopped after 1910, which was the Japanese occupation. After 1930, Daechwita could be passed down orally by Iwangjikak. In 1971, Choi In-seo was designated as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46. After Choi In-seo was released because of decease, Jung Jae-guk was designated as the next holder. The name of Daechwita was changed to “Piri-Jeongak and Daechwita” in 1998. The preservation association of “Piri-Jeongak and Daechwita” is currently transmitting and educating to the trainees. Since Taepyeongso leads the main melody, there has been a great deal of previous researches which compared the melodies to understand its gradual changes over time through several master players. However,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e newly-discovered 1906 recording of the Daechwita. By comparing this recording with current holer’s melody, it would provide extensive insights in regards to the changes of interpretative approaches and norms of practice over time. Also, this research will inspect how well the music has been preserved through the process of transmission during a hundred years. The recording of Daechwita in 1906 was released by Victor Talking company in 1907 and it was newly discovered in 2016. The researcher transcribed the musical notes by using the software program which analyzes speech of phonetics. By comparing the two melodies transcribed as musical notes, Same melodies, similar melodies, and different melodie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each measure. Except the same melodies, Smilar melodies and different melodies were divided into the characteristics, the rhythms and the notes, excluding the same ones. As a result, the musical scale of Daechwita at the recording in 1906 was G-A-C-D-E and it was pentatonic scale. However, There was E♭ between D and E. Also, It was clear that the composition of instrument in the digital sound material recorded in 1906 was Nabal, Nagak, Hojuk(Taepyeongso), Jabara, Jing, and Yong-go(buk) by using Prat for transcribing. Nabal and Nagak’s sound was measured as 200㎐~300㎐ and Jing, Yong-go, and Jabara’s sound was hitting sound which was measured as 3000㎐. As the recording in 1906 and the current recording was compared, The same melody has 54%, the similar melody holds 23%, and the different melody holds 23%. The characteristic in the similar melodies between two melodies, Daechwita in 1906 has more notes and 3 beats than Jeong Jae-guk’s melo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