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6 Download: 0

경기잡가에 나타난 〈노랫가락〉 선율 연구

Title
경기잡가에 나타난 〈노랫가락〉 선율 연구
Other Titles
A research on the melody of 〈Noratgarak〉 in Gyeong-gi japga
Authors
노우경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서울․경기 지역의 대표적인 통속민요로 알려진 〈노랫가락〉은 시조에 영향을 받은 무가 〈노랫가락〉에서 유래하였으며 대중적 인기를 얻으면서 경기잡가에도 수용되었다. 그러나 휘모리잡가와 잡잡가에 〈노랫가락〉 선율이 수용되었다는 점만 밝혀졌을 뿐 구체적인 수용양상은 논의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 점에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여 〈바위타령〉․〈풍등가〉․〈금강산타령〉․〈범벅타령〉․〈갖은방물가〉의 5곡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기잡가에 나타난 〈노랫가락〉의 수용양상과 음악적 특징을 알아보았다. 제2장에서는 경기잡가와 〈노랫가락〉의 형성배경을 살펴보았다. 경기잡가의 형성배경에서는 19세기에 잡가가 유행하면서 20세기 초반에는 12잡가, 산타령, 휘모리잡가, 잡잡가로 잡가가 분화되어 발전된 양상을 확인하였다. 〈노랫가락〉의 형성배경에서는 민요 〈노랫가락〉이 무가 〈노랫가락〉의 이름과 형태를 차용하고 시조시와 유사한 형태의 민가 사설을 노래하면서 점차 지금과 같은 형태로 자리잡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제3장에서는 〈바위타령〉․〈풍등가〉․〈금강산타령〉․〈범벅타령〉․〈갖은방물가〉의 사설, 악곡구조, 음조직, 선율형, 종지형 등을 분석하였다. 〈바위타령〉은 Sol-La-Do′-Re′-Mi′의 솔음계이며, 5박, 8박, 9박 등이 혼용된 불규칙장단이었다. 총 4단락 구성으로 2종의 선율형과 하행종지형이 자주 출현하여 통일감과 단락감을 조성하였다. 〈풍등가〉는 솔음계이며, 도드리장단과 불규칙장단이 사용되었다. 단락 구성 및 선율형과 종지형은 〈바위타령〉과 동일하였다. 〈금강산타령〉은 솔음계이며, 도드리장단과 불규칙장단이 반복 사용되었다. 유절형식으로 총 7단락 구성이었으며 3종의 선율형과 하행종지형이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범벅타령〉은 솔음계이며, 굿거리장단과 불규칙장단이 사용되었다. 총 5단락 구성으로 2종의 선율형이 자주 사용되었다. 종지형은 상행종지형과 하행종지형이 모두 쓰였으며, 하행종지형은 두 가지 형태로 출현하였다. 〈갖은방물가〉는 솔음계이며, 도드리장단과 불규칙장단이 사용되었다. 총 4단락 구성으로 2종의 선율형이 빈번하게 쓰였다. 종지형은 상행종지형과 하행종지형이 모두 쓰였으며, 상행종지형은 두 가지 형태로 출현하였다. 5곡 모두 마지막 단락에 〈노랫가락〉 선율이 나타났고 〈바위타령〉은 첫 번째 단락에도 〈노랫가락〉 선율이 사용되었다. 제4장에서는 휘모리잡가와 잡잡가의 노랫가락 부분에 나타나는 장(章), 선율, 장단의 세 가지 구성요소를 민요 〈노랫가락〉과 비교하여 음악적 특징을 검토하였다. 첫째, 잡가에 수용된 노랫가락 부분의 장 구성은 1장 구성, 2장 구성, 3장 구성, 복합 구성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1장 구성은 종장으로만 이루어진 〈풍등가〉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2장 구성은 초장-중장 혹은 초장-종장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났으며, 초장-중장 구성은 〈바위타령〉 1단락에서, 초장-종장 구성은 〈범벅타령〉과 〈갖은방물가〉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3장 구성은 초장-중장-종장 구성으로 〈금강산타령〉에 나타났다. 네 개 이상의 장으로 이루어진 복합 구성은 〈바위타령〉 4단락에서 초장·종장-중장·종장-중장·종장 형태로 나타났다. 둘째, 잡가에 수용된 노랫가락 부분의 선율 구성은 민요 〈노랫가락〉의 선율형1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변형되거나 다른 장의 선율이 혼용되는 양상도 나타났다. 초장 선율은 〈바위타령〉과 〈범벅타령〉에 쓰였으며, 민요 〈노랫가락〉의 선율형1과 선율형2를 둘 다 사용하였다. 중장 선율은 〈바위타령〉과 〈금강산타령〉의 2곡에 쓰였으며, 선율형1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바위타령〉에서는 종장의 선율을 그대로 혹은 변형하며 중장과 종장의 선율 혼용이 나타났다. 종장 선율은 〈바위타령〉, 〈풍등가〉, 〈금강산타령〉, 〈범벅타령〉, 〈갖은방물가〉의 5곡에 모두 쓰였다. 선율형1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일부 변형 선율이 출현하였다. 셋째, 장단형은 크게 기본형과 변화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총 9가지 유형의 장단형이 나타났다. 기본형은 시조장단과 동일한 5+8+8+5+5박 구조로 〈풍등가〉를 제외한 네 곡에 고르게 출현하였다. 변화형은 크게 박자 변화형과 사설 변화형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박자 변화형에는 8+8+8+5+5박, 6+8+8+5+5박, 6+5+6+5+5박, 9+8+8박의 네 가지 유형이 나타났으며, 주로 첫 번째 박이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사설 변화형은 사설이 3음보로 축소될 때는 8+8+5+5박 유형이, 사설이 5음보로 확대될 때는 5+8+8+8+5박, 6+8+8+8+5박, 6+6+8+8+5+5박 유형이 나타났다. 〈금강산타령〉이 전체가 기본형 장단이어서 〈노랫가락〉의 구조를 가장 충실하게 수용한 곡이었다면, 〈바위타령〉은 사설이 축소되거나 확대되면서 가장 많은 변화형이 나타난 곡이었다. 이상과 같이 연구를 진행한 결과, 〈노랫가락〉이 휘모리잡가와 잡잡가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장(章), 선율, 장단 등을 악곡에 맞게 변형하였다는 점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잡가에 수용된 〈노랫가락〉의 음악적 파급력을 확인하였고, 잡가에서 〈노랫가락〉은 마무리의 성격을 띤다고 해석하였다. 본 논문이 휘모리잡가와 잡잡가에 대한 이해의 발판이 되기를 기대하며, 앞으로 잡가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지속되기를 바란다.;〈Noratgarak〉, 0ne of the representative songs in Seoul and Gyeong-gi district was derived from Shaman ritual music affected by Sijo. By getting more attention to the public, it was accepted to Gyeong-gi Japga. However, this topic was only debated by singers but It was not proved that how Hwimori Japga and Japjapga has the melody of 〈Noratgarak〉. In according to, This paper will suggest the necessity of this research, and 〈Bawi Taryeong〉, 〈Pungdeung-ga〉, 〈Geumgangsan Taryeong〉, 〈Beombuk Taryeong〉, 〈Gazen bangmul-ga〉 will be anaylzed. In the second chapter, the background of formation of Gyeong-gi Japga and 〈Noratgarak〉 was examined. It was clear that Japga was popularized in 19th century and it was divided into San Taryeong, Hwimori Japga, Japjapga and developed each melodies. The name and melodies’ form from the folk song 〈Noratgarak〉 borrowed the shaman ritual music 〈Noratgarak〉 and the folk song was sang such as Sijosi and it could settle like current form. In the third chapter, The composition of the songs, note scale, melodic style, musical ending style of 〈Bawi Taryeong〉, 〈Pungdeung-ga〉, 〈Geumgangsan Taryeong〉, 〈Beombuk Taryeong〉, 〈Gazen bangmul-ga〉 was analyzed. 〈Bawi Taryeong〉 has Sol-La-Do′-Re′-Mi′, Sol scale. The rythmic style was mixed with fifth beat, eighth beat, ninth beat with irregular Jagngdan. It has four phrase and two of them has melodic style and descending cadence. 〈Pungdeung-ga〉, has Sol scale and Dodeuri jangdan was played with irregular jangdan. the phrase of the song and cadence was same with 〈Bawi Taryeong〉. 〈Geumgansan Taryeong〉 was Sol scale and Dodeuri Jangda was played with irregular Jangdan. It was strophic form and comprised of seven phrase. 〈Beombuk Taryeong〉 has Sol scale with Gugeori Jangdan and irregular jangdan. the song is comprised of five phrases and second type of melodic style was frequently used. The ending style was both descending cadence and ascending cadence, the descending style has two style. 〈Gazen bangmul-ga〉 has Sol-scale, dodeuri Jagndan and irregular Jangdan has been used. Four phrases comprised in the song and the second melodic style has frequently used. The ending style was both both descending cadence and ascending cadence, the ascending style emerged in two styles. All five songs were shown the melody of 〈Noratgarak〉 at the end of phrase, 〈Bawi Taryeong〉 also were shown the 〈Noratgarak〉’s melody at the first phrase. In Fourth chapter, the three elements such as phrase, melody, jangdan in Hwimori Japga and Japjapga compared with the folk song 〈Noratgarak〉. Firstly, four style of the first chapter, the second chapter, the third chapter and the complicated chapter emerged at the 〈Noratgarak〉 in Japga. The first chapter were examined in the 〈Pungdeung-ga〉 The second chapter was shown that beginning part and the middle part or the beginning part and the last part. The beginning and the middle part was at 〈Bawi Taryeong〉’s first phrase, and the beginning part and the last part was at 〈Beombuk Taryeong〉 with 〈Gazen bangmul-ga〉. The three chapters appeared in 〈Geumgangsan Taryeong〉 in the formation of the beginning part, the middle part, and the last part. The four or more chapters appeared in the form of the first part, last part, middle part, last part, middle part and the last part at the 〈Bawi Taryeong〉. Secondly, the one melodic style in 〈Noratgarak〉 which was accepted by Japga was used in the first melodic style in the folk song 〈Noratgarak〉. the melody at the beginning part was used in 〈Bawi Taryeong〉 and 〈Beombuk Taryeong〉, melody 1 and melody 2 in the folk song 〈Noratgarak〉 was used. The last part of melody was used at the all five songs, 〈Bawi Taryeong〉, 〈Pungdeung-ga〉, 〈Geumgangsan Taryeong〉, 〈Beombuk Taryeong〉, 〈Gazeun banmgul-ga〉. The first melodic style was used and some of the melodies were changed style. the last part of the song was decorated with 〈Noratgarak〉 and this melody was shown that every five songs. Thirdly, the Jangdan style was divided into the basic style and the variation style which was nine type of Jangdan style. The basic style was same with the Sijo jangdan which was 5+8+8+5+5 beat structure. It emerged with four songs except 〈Pungdeung-ga〉. The variation style was divided into two style, the one is beat variation and lyric variation. The beat variation was 8+8+8+5+5 beat, 6+8+8+5+5 beat, 6+5+6+5+5 beat, 9+8+8 beat and the first beat was expanded. The lyric variation was when the lyric has been reduced, 8+8+5+ beat, when the lyric has been expanded, 5+8+8+8+5 beat, 6+8+8+8+5 beat, 6+6+8+8+5+5 beat were shown. 〈Geumgangsan Taryeong〉 was all the basic Jangdan so tha if this song was faithful to be accepted the structure of 〈Noratgarak〉, 〈Bawi Taryeong〉’s lyric was reduced and expanded frequently. As a result, It was clear that when 〈Noratgarak〉 was accepted to Hwimori japga and japjapga, the chapter, melody, jangdan were changed to the song’s style. Thus, the musical influence of 〈Noratgarak〉 was clarified, Japga’s 〈Noratgarak〉 was whown that the last part of characteristic. The esearcher expect that this research would be the bridge of understanding about Hwimori japga and japjapga and the further research would continu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