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은-
dc.contributor.author김혜림-
dc.creator김혜림-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0:54Z-
dc.date.available2019-02-18T16:30:54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34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343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630-
dc.description.abstractJohannes Brahms(1833~1897) is a composer who adhered to the tradition of classical music style in the 19th century Romanticism. At the same time, he also used musical language in Romanticism and showed progressive features. This thesis presents a study of Brahms’s 〈Cello Sonata No. 2 in F Major, Op. 99〉, and looks into his traditional style and progressive originality. He left masterpieces of chamber music. Among them, 〈Cello Sonata No. 2 in F major Op. 99〉 is one of his representative works of chamber music, and adhered to the traditional sonata form of the Classical period. This sonata has a contrapuntal texture and functional harmony throughout the entire work. It represents his traditional style. On the other side, his progressive originality appears in the use of characteristic rhythms. It is caused by syncopation and a two-to-three hemiola. He used flexible rhythms to blur the distinct division of the measure or phrase. The motives made up of a small set of notes are developed throughout the work in a variety of ways. In particular, motivic variation through rhythm is characteristic. This technique is called the Developing Variation. I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compositional technique of later generations. Notably, in 〈Cello Sonata No. 2 in F Major Op. 99〉, he applied the Developing Variation in each movement to demonstrate unity and diversity. He achieved progressive originality. This thesis presents attempts to understand the traditional style and progressive originality of Brahms by analyzing 〈Cello Sonata No. 2 in F Major Op. 99〉, and aims to help interpret the performance of the work.;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 1833-1897)는 19세기 낭만주의 시대에 살면서 고전주의 시대의 전통적인 음악 양식을 고수하였고, 이와 동시에 새로운 시도를 통하여 낭만주의 시대의 음악양식을 결합한 독일 작곡가이다. 그는 고전주의 시대에 성행하였던 실내악에 몰두하여 주옥과 같은 걸작을 남기며 실내악을 부활시켰다. 그의 대표적인 실내악곡으로는 〈Piano trio No.1 in B Major Op. 8〉, 〈String sextet No.1 in Bb Major Op.18〉, 그리고 〈Piano quartet No.1 in g minor Op. 25〉 등이 있다. 그 중 본 논문의 주제 곡목인 〈Cello Sonata No. 2 in F major, Op. 99〉는 1886년 53세의 나이로 원숙기에 접어들었을 무렵 완성한 작품이다. 본 논문은 고전적 낭만주의자라 불리는 브람스의 생애와 실내악 작품을 살펴보고 그의 〈Cello Sonata No. 2 in F major, Op. 99〉의 전 악장을 분석하였다. 이 작품은 그가 남긴 두 개의 첼로 소나타 중 하나로 브람스의 전통성과 진보적인 독창성을 보여준다. 먼저 그의 전통성으로는 고전주의 시대의 전형적인 소나타 악장 형식을 고수하였고 전 악장에 걸쳐 대위적인 기법을 사용하여 폴리포닉적인 짜임새를 추구하였다는 점이다. 한편 전통성과 더불어 〈Cello Sonata No. 2 in F major, Op. 99〉에서 나타나는 브람스만의 진보적인 독창성은 당김음과 2대 3의 헤미올라(Hemiola)를 사용한 점이다. 그는 불안정하고 모호한 리듬을 사용하여 마디감을 흐리고 규칙적 리듬에서 탈피하여 리듬을 유연하게 사용하는 새로운 시도를 하였다. 또한 〈Cello Sonata No. 2 in F major, Op. 99〉의 각 악장에 발전적 변형기법(Developing Variation)을 사용하여 유기적인 통일성과 다양성을 보여주며 진보적 독창성을 이루어 내었다. 본 논문은 브람스의 생애와 그의 실내악 작품을 살펴보고 〈Cello Sonata No. 2 in F major, Op. 99〉를 분석함으로써 브람스의 음악 양식을 이해하는 것에 그 의의와 목적을 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브람스의 생애와 실내악 작품 2 A. 브람스의 생애 2 B. 브람스의 실내악 작품 4 Ⅲ. 브람스의 〈Cello Sonata No. 2 in F major, Op. 99〉; 악곡 분석 7 A. 제1악장; Allegro vivace 7 B. 제2악장; Adagio affettuoso 24 C. 제3악장; Allegro passionato 31 D. 제4악장; Allegro molto 44 Ⅳ. 결론 56 참고문헌 58 ABSTRACT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077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Johannes Brahms의 〈Sonata for Piano and Violoncello in F Major Op. 99〉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Johannes Brahms′〈Sonata for Piano and Violoncello in F Major Op. 99〉-
dc.creator.othernameKim, Hyelim-
dc.format.pagevi, 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