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7 Download: 0

유민희 작곡 거문고 독주곡 <산행> 분석 연구

Title
유민희 작곡 거문고 독주곡 <산행> 분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elodic Analysis of a Geomungo solo 〈Sanhaeng(Mountain Hiking)〉, composed by Yoo Min-Hee
Authors
문유선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선옥
Abstract
21세기의 국악 창작곡은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고 있다. 21세기의 작곡가들은 거문고의 특색을 잘 반영한 거문고 독주곡을 모색하고 있으며 거문고 연주자들에 의해 활발하게 연주되고 있다. 본 논문은 작곡가 유민희의 거문고 독주곡 〈산행〉의 독주선율을 중심으로 선율을 분석하였다. 본 곡은 총 111마디로 이루어진 단악장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AㆍBㆍC 총 세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부분 내에서 선율과 리듬의 변화를 기준으로 세부적으로 나누었다. 선율 진행 및 장단의 변화, 거문고 연주법을 분석하였고 각 부분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부분은 제1마디~제8마디이고 서주부a-b로 나누었으며, 박자는 12/4로 나타났다. 선율은 A부분의 주제선율의 모방 및 확대가 나타났으며 이 곡의 주요한 선율형( b♭-c-C음)이 곡 전반에 걸쳐서 빈번하게 나타났다. Syncopation 리듬의 변형으로 인해 리듬의 확대가 나타났다. 산에 오르기 시작하는 부분이므로 느린 선율로 시작되었다. A부분에는 조와 장단이 출현하지 않았으므로 생략하였다. 거문고 연주법은 추성, 전성, 슬기등, 싸랭, “지리링”기법 등 전통적인 주법을 사용하여 부드러운 소리, Accent의 표현, 긴장감의 조성 등이 표현되었다. 둘째, B부분은 제9마디~제36마디이고 a-b-c-d-e로 나누었으며, 박자는 12/8와 12/4로 나타났다. 선율은 B부분의 주제선율이 순차진행을 통한 확대와 반복 및 유사ㆍ동일진행이 나타났다. Syncopation 리듬의 변형이 나타났으며 동일리듬이 나타났다. 개방현이 곡 전반에 걸쳐서 빈번히 등장하였으며 개방현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울림을 극대화하고 음향을 풍부하게 하였다. 또한, “fingering”주법을 활용한 개방현을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산에 오르는 과정이 표현되었다. B부분의 조는 C본청 계면조가 출현하였다. 농현과 꺾는 기법 등의 전통적인 산조의 음악적 선법을 활용하여 산조풍이 나타났다. 장단은 중중모리장단과 중모리장단의 변형 형태로 나타났다. 거문고 연주법은 농현, 꺾는 기법, “지이잉”기법 등 전통적인 주법과 2음 동시 발현 주법 및 “fingering”주법의 새로운 주법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주법을 통하여 거문고의 여음을 길게 지속하는 효과와 음향의 확대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C부분은 제37마디~제111마디이고 a-b-c-d-e-f-g로 나누었으며, 박자 변화는 10/8, 5/8, 10/8, 12/8, 10/8, 12/8, 10/8으로 나타났다. 박자와 장단의 잦은 변화를 통해 산에 오르는 과정의 역동성이 표현되었다. 선율은 C부분의 주제선율의 확대를 통한 모방과 B부분ㆍC부분의 주제선율이 반복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약상행을 통해 분위기가 고조되었으며 하행진행으로 분위기가 이완되었다. 리듬은 유사 진행 및 동일 진행이 나타났으며 Syncopation 리듬형(♪♩♩)으로 리듬감이 표현됨과 동시에 곡의 분위기가 이완되었다. C부분의 조는 F본청 계면조, C본청 계면조, G본청 계면조가 출현하였다. 잦은 길바꿈(전조)과정이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산행의 과정 중 느낄 수 있는 고단함, 역경 등 감정이 표현되었다. 추성과 꺾는 기법 등의 전통적인 산조의 음악적 선법을 활용하여 산조풍이 나타났다. 장단은 올림채장단, 엇모리장단, 중중모리장단의 변형 형태로 나타났다. 올림채장단의 리듬형태는 (3ㆍ2ㆍ3ㆍ2), (3ㆍ3ㆍ2ㆍ2), (3ㆍ2ㆍ2ㆍ3), (3ㆍ2ㆍ3ㆍ2)로 나타났고 엇모리장단의 리듬형태는 (3ㆍ2ㆍ3ㆍ2), (3ㆍ2ㆍ3ㆍ2)로 나타났다. 거문고 연주법은 중점, 대점, “스르렁”기법 등 전통적인 주법과 새로운 주법인 “fingering”주법이 나타났다. 대점은 음정에 강세가 자연스럽게 들어가서 박자를 짚어주는 타악기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며 “스르렁”기법은 작곡가가 제시한 새로운 조현법을 통해 증2도의 불협화음으로 인해 현대적인 요소가 표현되었다. 거문고 독주곡 〈산행〉은 한국음악의 시김새와 전통적인 거문고 연주법, 산조의 선법이 잘 나타난 것이 특징이다. 다양한 크로스오버의 음악의 형태가 주를 이룬 현 시점에 거문고의 특징을 잘 반영한 거문고 연주곡의 창작활동이 활발해지길 바라며, 본 고를 통하여 〈산행〉을 연주할 연주자들에게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고 연주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본다.;Creative song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ppear in various forms in the 21st century. Composers of the 21st century seek geomungo solos that well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geomungo, and the songs are actively performed by geomungo performers. In this study, the melody of geomungo solos are analyzed focusing on the solo melody of 〈Sanhaeng(Mountain Hiking)〉 composed by Yoo Min-hee. This song is composed of one movement consisting of total 111 bars, which are divided into three paragraphs of AㆍBㆍC. Each paragraph is subdivided based on the change of melody and rhythm. The analysis is on the process of melody, change of mode and beat, and geomungo technique. The results of analysis on each paragraph are as follows. First, the paragraph A, from the first bar to the eighth bar, is divided into the a-b of introduction part, and the beat is 12/4. Regarding melody, there are imitation and expansion of subject melody at A part, and major melody types( b♭-c-C) of this song frequently appear in the overall song. Due to the transformation of Syncopation rhythm, the expansion of rhythm appears. It starts with slow melody because it is the point of going up to the mountain. The part A is omitted because mode and rhythm don't appear. Regarding the performing technique, traditional techniques of Chuseong, Jeonseong, Seulgideung, Ssa-lang and 'Jiriring' are used to express soft sound, accent and tension. Second, the paragraph of B, from the 9th to 36th bar, is divided into a-b-c-d-e, and the beat is 12/8 and 12/4. The subject melody of part B shows expansion, repetition and similarㆍsame process through conjunct motion. The rhythm appears due to the transformation of Syncopation rhythm, along with the repetition of same rhythm. Open strings frequently appear throughout the song, maximizing the echo and enriching sound. In addition, the process of going up to the mountain is expressed through successive use of an opening string using "fingering" playing style. The mode of B has the appearance of C Boncheong Kyemyeonjo. The mood of Sanjo appears with the use of traditional Sanjo's musical techniques of vibrato and bending technique. The jangdan is expressed as the transformation of Jungjungmori and Jungmori. The performing technique of geomungo shows the traditional techniques of vibrato, bending technique and "Ji-i-ing', and new techniques of 2 note co-expression and “fingering", and the use of new techniques results in the continuing effect of Yeoum and the expansion of sound. Third, the paragraph C, from the 37th to 111th bar, is divided into a-b-c-d-e-f-g, and the change of beats is 10/8, 5/8, 10/8, 12/8, 10/8, 12/8 and 10/8. Through frequent changes of beat and rhythm, the dynamics of the process of going up to the mountain is expressed. There is the imitation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subject melody along with the repetition of the subject melody of B partㆍC part. The rhythm shows similar process and same process, and the Syncopation rhythm type(♪♩♩) not only expresses rhythm but also relaxes the mood of the song. In the mode of the paragraph C, Boncheong Kyemyeonjo, C Boncheong Kyemyeonjo and G Boncheong Kyemyeonjo appear. There is frequent kilbakkum(modal changes) process, through which the emotions such as fatigue and adversity felt during the process of going up to the mountain are expressed. Sanjo appears with the use of the musical mode of traditional Sanjo such as Chuseong and bending technique. The Jangdan appears in the transformation form of Ollimchae, Jungjungmori and Eotmori. The rhythm structure of Ollimchae Jangdan is (3ㆍ2ㆍ3ㆍ2), (3ㆍ3ㆍ2ㆍ2), (3ㆍ2ㆍ2ㆍ3) and (3ㆍ2ㆍ3ㆍ2), and the rhythm structure of Eotmori Jangdan is (3ㆍ2ㆍ3ㆍ2) and (3ㆍ2ㆍ3ㆍ2). The performing technique of geomungo shows the traditional techniques such as Jungjeom, Daejeom and "Seureureong" along with a new technique "fingering". Daejeom shows the effect of percussion that beats time by natural accent in the tune, and "Seureureong" expresses the modern elements by dissonance of Jeung 2 Do through a new tuning system presented by the composer. The geomungo solo 〈Sanhaeng(Mountain Hiking)〉 well expresses Sigimsa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raditional geomungo performing technique and the mode of Sanjo. In the current situation that the main trend of music is cross-over, it is expected that the creation of geomungo music with the characteristics of geomungo well reflected will become active, 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performers in understanding 〈Sanhaeng(Mountain Hiking)〉 that they perform and performing wel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