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1 Download: 0

Donald Reid Womack 작곡 해금 협주곡 〈혼무〉 분석연구

Title
Donald Reid Womack 작곡 해금 협주곡 〈혼무〉 분석연구
Other Titles
Analysis of Haegeum Concerto 〈Dancing With Spirits〉 by Donald Reid Womack : focusing on solo Haegeum melody
Authors
이다윤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정연
Abstract
본 논문은 해금협주곡 〈혼무〉의 분석을 통하여 Donald Womack의 음악관과 국악어법이 악곡에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살펴보아 서구음악에 뿌리를 두고 있는 작곡가가 국악기를 차용함에 있어 자신의 음악적 아이디어를 어떻게 표현할 수 있는지 밝히고 연주의 이해를 돕는데 있다. 독주해금선율을 중심으로 작품의 구조 및 선율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1곡 정화는 관현악부분으로 독주해금이 등장하지 않는다. 제2곡 무당연희(巫話)는 독주해금선율이 등장하는 첫 번째 악곡으로 A, B 부분으로 이루어져있다. A부분은 하행하는 음형, B부분은 상행하는 음형으로 리듬을 점차 분할한 뒤 다시 음을 길게 끌다가 악센트를 사용하여 종지하는 패턴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독주해금선율 후에 짧게 관현악이 등장하여 무당과 관객이 대화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굿판의 이미지를 표현했다. 제3곡 무무(巫舞)는 C, D, E, F부분으로 이루어져있다. C, D부분은 ⓐ, ⓑ, ⓒ, ⓓ선율을 변형하여 진행하고 E부분에서는 ⓑ, ⓒ, ⓓ선율만을 변형한다. F부분에서는 ⓓ선율만을 변형하여 진행하는데, 다양한 선율에서 점차 단순한 선율만을 남겨 템포가 빨라지는 것처럼 느껴지도록 하였다. 이러한 진행으로 장단에 따라 느릿한 몸짓에서 빠른 몸짓으로 진행하는 무당의 춤추는 장면을 표현했다. 제4곡 혼맞이는 G, H부분으로 이루어져있다. G부분은 상행하는 선율과 음량의 증가를 통해 절정에 도달하고 H부분은 하행하는 선율과 음량의 축소를 통해 이완된다. 이러한 선율은 무당이 점차 많은 영혼을 초대하여 시끌벅적해지는 굿의 이미지와 굿의 행렬이 마을의 영험한 장소로 떠나는 장면을 표현했다. 제5곡 화랭이는 I, J부분으로 이루어져있다. I부분과 J부분의 선율은 단2도와 장3도의 음정간격이 빈번하게 등장하며 리듬을 분할하여 시작하였다가 음을 길게 끄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선율로 화랭이 중 유일한 선율악기인 태평소의 선율과 독주해금선율을 유사하게 만들어 굿음악의 강렬한 에너지를 표현했다. 제6곡 무가(巫歌)는 K, L, M, N, O, P부분으로 이루어져있다. 선율은 주로 단3도와 장2도를 사용하여 하행하고, 각 부분의 음역은 점차 높아진다. 이처럼 전통무가의 선율진행과 유사한 방식을 통하여 무가를 부르는 무당을 표현했다. 제7곡 혼무는 Q, R, S, T, U, V부분으로 이루어져있다. 각 부분은 poco accel., Harmonic Gate를 사용하여 긴장감을 높이며 U부분의 끝에서 〈혼무〉의 최고음인 e♭″음에 도달하여 절정을 맞이한다. 이러한 선율은 무당이 영의 세계에 도달하여 모든 에너지를 쏟는 장면을 표현했으며 이후 Cadenza인 V부분에서 상행 후 하행하는 음형, 빨라진 후 다시 느려지는 리듬, cresc와 decresc의 반복을 통하여 에너지를 소비한 후 자신의 호흡을 차분히 정리하는 무당을 표현했다. 제8곡 사신은 W부분으로 이루어져있다. 음역의 상행이동과 음량의 반복되는 패턴을 통하여 굿을 즐긴 영혼들이 하늘로 떠나며 희미해져가는 이미지를 표현했다. 둘째, 전통음악적 특징을 연주기법과 선율진행방식에서 나타내어 음악적 내용을 보조하였다. 연주기법에서 c주법은 주로 리듬을 분할 할 때 사용하여 리듬의 형태가 들어나도록 하였고, 잉어질은 모티브를 꾸며주었다. 전성()은 상행·하행하는 선율에 사용하여 선율의 움직임을 돋보이게 하였고, 다양한 굵기의 농현으로 셈여림을 극대화시켰다. 꺾는 음을 통해 전통적인 선율을 보이고, 추성과 퇴성으로 선율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만들었다. 또한 선율을 진행할 때에 동해안별신굿의 메나리토리의 선율형과 무당이 무가를 부를 때에 음역을 상행이동하는 특징을 사용하여 굿의 인상을 표현했다. 이와 같이 Donald womack은 동해안별신굿의 음악을 그대로 재현하기보다는 인상주의의 접근방식을 사용하여 작곡가가 떠올린 굿의 장면을 다양한 선율진행을 통하여 나타냈다. 본 연구자는 〈혼무〉의 독주해금 선율분석을 통하여 국악창작곡을 작곡하는데 있어 전통음악과 악기주법에 대한 적극적인 이해와 활용이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연주 테크닉을 과시하기 보다는 음악적 내용을 보조하는 차원에서 전통주법을 사용하여야 한국적 요소가 돋보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앞으로 이를 참고하여 서구음악에 뿌리를 두고 있는 작곡가가 국악기를 차용함에 있어 자신의 음악적 아이디어를 설득력 있게 표현할 수 있기를 바란다.;This thesis is a study based on the concerto “Dancing With Spirits,” which was composed by Donald Reid Womack, a composer with roots in Western Music. Donald Reid Womack composed this music piece for the Korean instrument Haegeum and the Traditional Korean Orchestra.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how the composer expressed his musical view through a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 and how traditional Korean music is manifested through a concer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elody and structure of “Dancing With Spirits,” which focuses on a Haegeum solo melo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1st movement is an introduction played solely by the Orchestra and it is a movement that does not include the melody from the Haegeum solo. The 2nd movement, “Shaman Stories” consists of parts A & B and it is where the Haegeum solo makes its first entrance. The movement is divided into two parts, in which Part A’s melody follows a descending trend while Part B’s melody follows an ascending trend which gradually divides the rhythm and is followed by a long lasting note that finishes with an accent. This pattern is repeated several times throughout the melodies of the movement. After this Haegeum solo the orchestra makes a short entrance to express the image of the Gut when the Shaman communicates with the audience. The 3rd movement, “Shaman Dances” is made up of parts C, D, E, and F. Parts C-D progress by transforming melodies ⓐ, ⓑ, ⓒ, ⓓ and part E transforms melodies ⓑ, ⓒ, ⓓ. Although Part F progresses by transforming only melody ⓓ, the simple melody creates an effect which makes the tempo feel as if it is being accelerated. This type of progression was used to express the slow and fast gestures of the Shaman dance. The 4th movement, “Procession” is made up of parts G & H. Part G progresses with an ascending melody and volume which creates a climax and part H releases that climax and decreases the volume by using a descending melody which starts from highest note of the 4th movement, a ♭. These melodies are used to express the image of the gut when the Shaman invites more spirits in a procession to various sites of the village. The 5th movement, “Drums & Gongs” is made up of parts I & J. The melody in Part I & J is characterized by the interval of minor 2 and major 3 and is also characterized by the division of the rhythm which is then followed by a long lasting note. Among the instruments which are used for the Gut ritual, Taepyeongso is the only instrument which can create a melody and the Haegeum solo was composed to have a similar melody to that of Taepeyongso, in order to express the intense energy made by those who play an instrument during the ritual. The 6th movement, “Shaman Songs” is made up of parts K, L, M, N, O and P. The melodies mostly use major 3 and minor 2 for its ascending melody, and each part’s range gradually increases. In this way, by using the structure of the traditional shaman song melody, the composer tried to express the Shaman singing the shaman song. The 7th movement, “Dancing With Spirits” is made up of parts Q, R, S, T, U, and V. Each of the parts use poco accel., Harmonic Gate in order to build tension and the climax in part U is reached when the melody hits the highest note in “Dancing With Spirits,” e♭. This type of melody is used to express the Shaman entering the spirit world and pouring all her energy into the process. Then in part V which is a Cadenza, the melody descends after ascending, the rhythm slows down after accelerating in order to express how the shaman consumed all her energy and calmed her breath. The 8th movement, “Departing Spirits” is made up of part W. In this part, the range ascends and the volume repeats itself in order to express the image of the departure of the spirits who enjoyed the Gut. Secondly, the features of traditional music which are the performance technique and melodic progress were shown in order to support the musical content. The c technique is usually used to divide the rhythm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rhythm can be seen clearly and the Ing-eo-gil decorated the motive. The Jeon-Seong used ascending and descending melodies to make the movement between the melodies stand out and maximized the dynamics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vibrato. The traditional melody is shown through the bending note while the Chu-Seong & Tae-Seong made the flow of the melody. In addition,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melody, the composer expressed the impression of the Gut by using the melody type of menaritori of the South East Byulshin Gut and by gradually increasing the range. As you can see, instead of recreating the music of the South East Byulshin Gut identically, Donald Womack took an impressionistic approach in creating various melodies used to represent the Gut. In addition, he used the traditional performance technique and melody type of menaritori of the South East Byulshin Gut to support the musical cont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