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지영-
dc.contributor.author류수민-
dc.creator류수민-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0:44Z-
dc.date.available2019-02-18T16:30:44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43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437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573-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박정희 정권기 청소년 불순/이성교제 담론을 통해 청소년 섹슈얼리티 관리와 그 효과를 살펴본 작업이다. 박정희 정권기라는 특정한 국면에서 이성교제의 모델이 생산·교육·대중화되었던 정황과 동시에 불순이성교제에 대한 기준이 형성되고, 그 행위에 대한 단속이 이루어졌던 모순적인 섹슈얼리티 관리 양상을 분석하여, 청소년 주체를 둘러싼 박정희 정권기의 질서 형성을 고찰하였다. 박정희 정권은 근대화 프로젝트를 주도하며 근대적 국민 국가를 형성하고자 했다. 근대적 제도와 성별 관계 등이 수립된 이 시기에, 청소년에 대한 기구들이 수립되며 ‘청소년’이라는 범주가 국가적 보호의 대상으로 구성되었다. 정책을 통해 건전한 청소년에 대한 이미지가 퍼져나갔으며 이와 동시에 불순한 청소년에 관한 담론도 생산되었다. 청소년의 불순함은 주로 섹슈얼리티에 대한 문제로 만들어졌다. 청소년은 성적으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풍기문란한 존재가 되면서 국가에 의해 규율되어야 하는 대상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청소년에 대한 성교육, 특히 성 도덕을 확립하기 위한 교육의 필요성이 부상했다. 이에 이성교제에 대한 교육이 적극적으로 실시되었다. 이성교제는 자연스러운 ‘발달과업’으로 제시되었다. 이성교제의 담론은 남녀평등 이데올로기와 공모하면서, 그리고 동성애적 행위들을 이성교제의 이행기로 포섭하면서 성별이분법적인 양성의 역할을 고정하고 이성애규범을 강화했다. 이성교제 담론은 영화 매체와 같은 대중적 장치를 통해서도 유통되었다. 이성교제 하는 청소년을 소재로 한 하이틴 영화는 국가 우수영화로 선정되었다는 점에서, 공적으로 상연 가능한 ‘건전한 이성교제’의 모델을 생산하고 재현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로맨스적 가능성이 배제된 공개적으로 승인된 우정이어야 한다는 것이 그 건전성의 틀이었다. 그러나 이성교제가 이성애의 예비 단계로 여겨졌던 만큼, 영화 속 이성교제는 ‘우정 아님’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었다. 이렇게 영화는 이성교제에 대한 규범을 생산함과 동시에 불순한 이성교제의 가능성도 제시했으며, 이성교제는 규율되면서도 욕망되는 것으로 자리했다. 이때 하이틴 영화는 명랑한 여학생이 남학생을 건전하게 사회화시키는 서사를 반복 재현하면서 젠더화 된 이성애 규범을 생산해냈다. 영화에서 재현된 이성교제의 서사는 청소년이란 범주 내부의 위치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기도 했다. 특정한 신분의 십대에게는 이성교제의 서사가 제한되거나, 추가적인 건전성의 장치가 필요했다. 이로써 이성교제 담론은 건전한 청소년과 건전하지 못한 청소년을 구획하는 데에도 활용되었다. 이성교제에 대한 공적 담론이 생산되는 만큼, 불순이성교제에 대한 단속이 증가했다. 불순이성교제는 성교섭의 ‘가능성’을 통해 판별되었다. 이 때 성적 유희뿐 아니라 성적 피해 역시 동일한 성교섭으로 묶여 불순이성교제의 행위로 처벌되었다. 불순이성교제 단속은 청소년 개인들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국가의 건전성을 관리하기 위한 도구로 기능했다. 불순이성교제의 결과로 인한 임신은 사회적 차원에서 공포스러운 사건이자 국가의 문란과 퇴폐에 대한 증거로 담론화 되어 금기로 만들어졌다. 불순이성교제는 병리의 언어로 설명되며 정신적 치료와 생산적 활동을 통해 정상화해야 하는 것으로 논의되었다. 그러나 불순이성교제 단속 기준은 지극히 모호했으며 심지어 건전한 이성교제의 에티켓으로 설명된 것이 불순이성교제의 기준으로 제시되기도 했다. 광범위하고 무/규정적인 불순이성교제 단속은 불순한 소년소녀들을 더욱 더 많이 생산해내는 효과를 자아냈다. 불순이성교제 행위의 이유로 가정이 지목되면서 청소년뿐만 아니라 성별규범의 안정화와 근대의 낭만적 사랑 이데올로기, 그리고 이성애 가족 제도에 부합하지 않는 가족 구성원 모두 국가 관리의 대상이 되었다. 하지만 단속의 기준과 행위에 대한 규정의 광범위함으로 인하여 더 많은 불순이성교제소년소녀들이 탄생할 수밖에 없었고, 청소년을 포함한 가정의 일원들 역시 끊임없이 일탈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청소년의 성을 장려하면서도, 사회적 위험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로 여기는 불순/이성교제 담론의 모순과 지배의 맥락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청소년의 섹슈얼리티 관리에 내재된 역설을 드러내고자 했다. 이 연구가 현재에도 통용되는 청소년의 성적 행동에 대한 금지와 보호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수 있기를 바란다.;This study examines the management of youths’ sexuality through the discourse on youths’ “degenerate/boy-girl relationship” and its effects during the Park JungHee regime. In this particular era, the model of “boy-girl relationship” was produced, educated and popularized, and at the same time, the criteria of “degenerate boy-girl relationship” was formulated. The thesis analyzes the aspects of sexuality management and its irony to study the formation of order surrounding youths in Park JungHee regime. The Park JungHee regime led the modernization project to build a modern nation. This was the time when modern institutions and gender relations were established.ㅜYouth was organized as a subject of national protection, as governmental organizations for youth were established. Image of ‘sound youth’ spread through public policies, and at the same time, the discourse on ‘degenerate youth’ was produced. Youths were now subject to discipline by the state, as they had become sexual beings that can corrupt public morals. The need for youths’ sex education emerged, especially for the establishment of sexual morality. Education on heterosexual relationship was actively implemented. Partaking in a “boy-girl relationship” was proposed as a natural developmental task. The discourse of “boy-girl relationship” reinforced heteronormativity and binary gender roles by conspiring with the ideology of ‘equal rights of both sexes’ and defining homosexual behaviors as mere by-products of transitioning into heterosexuality. The discourse on heterosexual relationship also circulated through popular medium like movies. Highteen films featuring youths’ heterosexual relationships were selected as “excellent films” by government. Thus, the mov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roducing and reproducing a model of a “sound boy-girl relationship” which comprised of publicly-displayable affinity that excluded romantic possibilities. However, as “boy-girl relationship” was considered as the preliminary stage of heterosexuality, the relationships depicted in the movies were, at the same time, bound to be more than just friendships. In this way, the films reinforced the norms for “boy-girl relationship” while simultaneously alluding to the possibility of “degenerate boy-girl relationship.” Thus, the concept of “boy-girl relationship” was charged with a duality of being regulated while also being desired. Highteen films also produced a gendered heteronormativity by perpetuating the narrative of cheerful-girls-socializing-adolescent-boys. The narrative of “boy-girl relationship” of these films also operated in a way that set a hierarchy position within youth. Narrative of “boy-girl relationship” was restricted to teenagers of a particular status, or otherwise required additional indications of soundness. As a result, the discourse on “boy-girl relationship” also operated as a mean to divide ‘sound youth’ from ‘unsound youth’. With the production of public discourses on “boy-girl friendship”, the forbiddance of “degenerate boy-girl relationship” also grew stricter. The degenerateness of “boy-girl relationship” was determined based on the possibility of sexual intercourse. Willing participants of sexual contact, as well as victims of nonconsensual sexual infliction, were equally punished for their involvement in degenerate behaviors. The forbiddance of “degenerate boy-girl relationships” did not operate in the interest of the individual adolescents, but rather for the nation to manage and uphold the notion of soundness. Pregnancy as a result of degenerate relationships was interpreted as a fearful social phenomenon as well as a shameful evidence of national corruption, was thus made taboo. “Degenerate boy-girl relationship” was discussed through the language of pathology, and targeted as a condition to normalize through mental treatment and productive activities. However, the criteria for “degenerate boy-girl relationship” was extremely obscure, resulting in cases where a behavior cited as an exemplary sound “boy-girl relationship” conduct was also found in guidelines for cracking down degenerate relationships. As defective families were pointed out as the cause for breeding degenerate youths, every member of families that strayed from the norms of heterosexual, gendered and romantic modern models became subject to national management. However, the extensive and indeterminate regulations for “degenerate boy-girl relationship” resulted in producing even more degenerate youths, and family members were bound to constantly deviate.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xt of power by analyzing the contradictions in the discourse of “degenerate/boy-girl relationship”, which encouraged youth's sexuality while also regarding it as a potential social malady. Furthermore, it aims to reveal the paradox inherent to the management of youth's sexuality. This study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providing new perspectives on the prohibition and protection of youth's sexuality that persists even toda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1 B. 기존 논의 검토 4 C. 연구의 방법 8 Ⅱ. 국가 정책과 청소년 범주의 설정 12 A. 1960~70년대 청소년 개념의 체계화 12 1. 중등 교육의 보편화와 생애주기의 재편 12 2. 청소년 범주의 젠더화와 소녀들의 위치 14 B. 보호되어야 하는 건전한 청소년상의 제시 16 1. 청소년 보호 정책의 마련 16 2. 반공 국가의 건설을 도모하는 애국 청소년 19 C. 성적으로 불순한 청소년의 생산 22 1. 사회 비판적인 청소년에 대한 규율 22 2. 성적 존재로 부상한 청소년 24 Ⅲ. 이성교제 모델의 생산과 효과 26 A. 공공교육에 의한 이성교제 담론 구성 26 1. 성교육의 부상과 발달과업이 된 이성교제 26 2. 남녀평등과 이성교제 담론의 공모 31 3. 이성교제 이행기로서 동성교제의 포섭 34 B. 영화 매체를 통한 이성교제 담론의 유통과 소비 36 1. 하이틴 영화에 대한 국가적 승인과 흥행 37 2. 상상 가능한 이성교제 모델의 설정 41 가. 우정과 로맨스 사이의 이성교제 42 나. 명랑한 여학생의 도움으로 건전해지는 남학생 47 C. 비학생 십대의 이성교제 재현: 여공, 식모와 불량소녀 51 1. 재현될 수 없는 건전하지 않은 자들의 이성교제 51 2. 비학생 십대의 건전함을 만들기 위한 장치 53 Ⅳ. 무/규정적인 불순이성교제와 사회적 위험 담론 56 A. 불순한 성적 행동에 대한 단속 56 1. 불순이성교제소년소녀 단속의 범람 56 2. 단속의 원인으로 제시되는 성교섭의 가능성 60 3. <피해자학>의 등장과 피해자 유발론의 정립 64 B. 불순이성교제를 둘러싼 임신과 병리의 문제 68 1. 청소년 임신에 대한 공포의 부상 69 2. 병리현상으로서의 불순이성교제 72 C. 불순함의 가능성으로 규율되는 주체들 78 1. 불순이성교제 단속 기준의 무/규정성 78 2. 건강한 가정 형성의 의무 81 Ⅴ. 결론 84 참고문헌 89 ABSTRACT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496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박정희 정권기 청소년 불순/이성교제 담론의 정치학-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olitics of Youths’ “Degenerate/Boy-Girl relationship” Discourse During the Park JungHee Regime-
dc.creator.othernameRYU, SU MIN-
dc.format.pagev, 10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