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4 Download: 0

‘야쿠르트 아줌마’라는 기혼여성 노동 양식의 구성

Title
‘야쿠르트 아줌마’라는 기혼여성 노동 양식의 구성
Other Titles
The construction of the married women's labor style, ‘Yakult Ajumma’
Authors
장주리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지영
Abstract
이 연구는 ‘야쿠르트 아줌마’를 아줌마의 노동을 이용하고 관리하는 양식의 하나로써 정의하고, 기혼여성 노동자로 야쿠르트 아줌마와 관련된 서사가 어떠한 방식으로 형성되고 관리되는지 살펴보기 위해 야쿠르트 아줌마라는 것이 어떠한 구조 속에서 생성된 것이고 어떠한 특성을 갖고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방식으로 아줌마의 위치성이 만들어지고 고정되는지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통해 기혼여성의 노동과 아줌마 이미지의 관계를 사회적 맥락에서 분석함으로써 노동시장에서 여성을 주변화시키는, 특히 기혼여성의 노동이 주변부에 배치되는 역동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야쿠르트 아줌마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구성된 것인지 살펴보았는데, 야쿠르트 아줌마는 1960년대 이후 남성 노동력 부족이라는 일본의 사회적 맥락에서 기혼여성을 동원하여 야쿠르트를 배달하고 판매하면서 탄생한 것으로, 이들의 노동력을 활용함에 있어 주부라는 위치성을 중심적으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한국에서도 이를 수용하여 기혼여성이 판매 및 배달 업무를 담당하는 야쿠르트 아줌마를 활용하기 위해 한국의 사회적 맥락에 적합하게 야쿠르트 아줌마를 재구성하고자 했다. 이에 <한국야쿠르트>에서는 가족과의 관련성 속에서 야쿠르트 아줌마의 노동이 표상되며 이들을 정상적 가정주부로 보이게 할 수 있는, 그리고 가정 밖에 나와서 일하는 것으로 인해 야쿠르트 아줌마에 부착될 수 있는 일탈성의 이미지를 소거할 수 있는 서사를 형성하고 관리하고자 했다. 우선 야쿠르트 아줌마를 정상적 가정주부로 구성하기 위해 회사에서는 야쿠르트 아줌마의 일을 성별분업 및 가정중심성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지 않는 정상적인 주부의 일로서 그려나가고자 했다. 이들의 노동은 노동의 목적 및 과정에 있어서 가족과 연결되고 특히 자녀 교육, 남편에 대한 보조로 의미화되었다. 이를 통해 야쿠르트 아줌마는 가정 밖에서 노동하는 기혼 여성들이지만 가정과 제대로 연결되어 있기에 위험하지 않은 존재로, 야쿠르트 아줌마의 노동은 기혼여성에게 적합한 일로서 구성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들은 가정의 바깥에서, 길 위에서 노동하지만 ‘어머니’와 같은 존재로 사람들에게 보여지게 되었다. 또한 한편에서는 야쿠르트 아줌마의 일을 ‘사회생활’이라고 표현하여 임금노동의 성격을 흐리게 하고 고객과 교류하는 측면을 강조하면서 거리에서의 노동을 합리화해 돈을 벌기 위해 집 밖으로 나온 다른 기혼여성과 비교해서 상대적인 정상성을 확보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여기에 봉사활동의 기획이 개입하여 야쿠르트 아줌마의 일이 주부의 건전한 사회생활인 것으로 보여질 수 있게끔 하였다. 타자와의 구별을 통해 야쿠르트 아줌마를 구성하고 합리화하는 것은 공적 영역에서 이들이 적합하게 표상되도록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회사 측의 특수한 보상 방식을 통해서 이루어지기도 했다. 이러한 특수한 보상 방식은 야쿠르트 아줌마를 일반적인 노동자와는 다르면서도, 또 다른 ‘아줌마’와도 다른 존재로서 구성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보상은 회사에서 단지 선의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야쿠르트 아줌마의 노동을 일반적인 근로자나 다른 ‘아줌마’의 노동과 끊임없이 구분지어 그 상대성을 확보하면서 그 성격을 구성하면서도 야쿠르트 아줌마를 저렴하고 유연한 형태로 안정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장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야쿠르트 아줌마들은 자신의 근로자성을 주장하기보다는 대개 이러한 특수한 위치를 오히려 수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노동시장의 구조화된 문제로 인해 기혼여성이, 그것도 나이가 든 중년 이상의 기혼여성이 더 좋은 조건의 다른 일자리에 진입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인해 현재의 지위를 수용할 수밖에 없는 것과 관련이 있다. 퇴직금 청구 소송 등을 통해 야쿠르트 아줌마에게 주변적인 위치가 주어지는 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 사례도 있었으나, 여기에서도 역시 기혼여성의 노동은 일반적인 근로자의 노동과는 다른, ‘아줌마’의 일로 치부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의 노동시장 안에서 기혼여성만이 수행하는 것으로 그 성격이 두드러져 있는 야쿠르트 아줌마의 일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설명되면서 정당화되고, 또 어떤 가치를 부여받게 되는지, 이것이 기혼여성의 노동이 노동시장의 주변적 위치에 배치되는 역동과는 어떻게 연결되는 것인지에 대해서 논의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 기혼여성의 노동이 제한된 범위 안에서만 논의되고 허용되는 방식을 분석해보고자 했다. ‘야쿠르트 아줌마’의 일은 기혼여성은 가정과 연결되어야 하며, 또한 그 주부가 정상적이어야 한다는 것이 끊임없이 강조되며 그 위치성이 구성되었다. 그런데 이는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이를 뒷받침하는 사회구조, 그리고 이것을 유지하고자 개입하는 장치 및 전략들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이었다. 이러한 작동들을 살펴보지 않은 채로 노동시장에서의 기혼여성 노동자의 지위에 대해 통념이나 이데올로기의 영향에 기인한 것이라고 단순하게 설명한 것은 기혼여성의 노동이 노동시장에서 주변부에 배치되는 것을 평면적으로만 보여줄 뿐이다. 따라서 구체적인 작동을 살펴보는 가운데 기혼여성 노동자의 노동권이 보장되지 않고, 노동자성이 인정되지 않는 문제를 논해야 만이 비로소 기혼여성, ‘아줌마’의 노동이 정당하게 평가될 수 있는 작업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This research defines ‘Yakult Ajumma’ as one of the forms that utilize and manage labor of married women. Based on this definition, to see how the narrative related to 'Yakult Ajumma' is formed and managed, this research explores how ‘Yakult Ajumma’ is created in what structure, what kind of character it is, and how the position of Ajumma is created and fixed. It allows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bor of married women and the image of Ajumma in the social context, and dynamics of the dynamics of married women's labor placed in the periphery of the labor market. The historical organization of ‘Yakult Ajumma’ is related to the situation of the Japanese labor market in the 1960s. ‘Yakult Ajumma’ was born in the social context of a shortage of male labor force since the 1960s. In this process, the position of a housewife was used mainly. In Korea, accepted this system and tried to reconstruct ‘Yakult Ajumma’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context of Korea, in order to utilize 'Yakult Ajumma' which married women are in charge of sales and delivery work. In response, wanted to form and manage the narrative that could represent the work of ‘Yakult lady’ in relation to a family, make them look like normal housewives, and erase the deviant image that can be attached to ‘Yakult Ajumma’ by working outside the home. First of all, in order to make ‘Yakult Ajumma’ normal housewives, the company wanted to describe their work as a normal housewife's job, which is consistent with gender division and the ideology of domesticity. Their labor was connected to their family in the purpose and process of labor, and was particularly meant as a child education and support for a husband. This has led to the fact that she is married women working outside the home but is not dangerous because she is well connected to the home, and her work is made up of jobs suitable for married women. Through this process, they were seen outside the home, working on the streets, but being "mother-like.“ On the other hand, the job of ‘Yakult Ajumma’ was described as "social life." This way of description obscures the nature of wage labor and highlights aspects of interacting with customers. This led to relative normality compared to other married women who came out of the house to make money by working on the streets. The planning of volunteer work intervened so that the work of ‘Yakult Ajumma’ could be seen as a healthy social life for the housewife. Rationalizing the work of ‘Yakult Ajumma’ by distinguishing themselves from others is not only about making them appropriately represented in the public domain, but also through the company's special compensation method. This particular way of reward was to make ‘Yakult Ajumma’ different persons from ordinary workers and ‘Ajumma’s. But the rewards are not just good-will offerings from the company, but are a device designed to ensure the relativity between the workings of ‘Yakult Ajumma’ and other ‘Ajumma’s' labor, while still providing it in a low-cost and flexible form. Nevertheless, instead of insisting on their legal nature of employee, ‘Yakult Ajumma’ usually shows a more receptive attitude to this particular. This is related to the fact that married women, due to the structural problems of the labor market, are forced to accept their present status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m to enter other jobs under better conditions. There were cases where a woman brought up a question for the marginal position of married women through a lawsuit for a retirement allowance, but here, married women's work was dismissed as 'Ajumma' work,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ordinary workers. This research discussed what the work of 'Yakult Ajumma,' whose nature stands out as being performed only by married women in Korea's labor market, is justified and given what value it will be, and how this relates to the dynamics that are placed in the marginal positions of the labor market. Through this, this research tried to analyze ways in which married women's work is allowed and discussed only within the limited scope of the labor in Korean society. The job of 'Yakult Ajumma' has been constructed with a constant emphasis on the need for married women to be connected to the home and the housewife to be normal. But it wasn't done naturally, it was made through the social structure that supported it, and the devices and strategies that intervened to maintain it. Without looking at these actions, the simplification of the married female worker's position in the labor market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of conventional wisdom or ideology only shows that married women's labor is placed in the margin of the labor marke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position of married women in the labor market in a complex manner, not simply because of conventional wisdom or ideological influences. Thus, it is only when the labor rights of married women are not guaranteed and the labor productivity is not recognized while looking at the concrete operation that the work of married women, 'Ajumma,' can lead to work that can be evaluated fair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