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허라금-
dc.contributor.author이민지-
dc.creator이민지-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0:43Z-
dc.date.available2019-02-18T16:30:43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35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356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568-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of ‘feminist church women in their 20s’ as they raise questions about hate speech within the church and interpret their misogyny experiences, as well as analyze the internal mechanisms of the church that reproduces them. In addition, we read the alternative flow of applying and expanding feminism knowledge through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ir own knowledge base and producing resistance discourse. Prior to this, we analyzed the process in which the feminism knowledge reflected in women in their 20s has been attained and had an influence and analyzed the context and significant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identity of ‘feminist church wome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subjects are connected in their interest about problems within the church, with the expansion of thought and social publicization of misogyny after the reboot of feminism centering on events, such as the Murder at Gangnam Station in 2016. In other words, these women formed their positionality in the intervention and effect of social discourse on ‘misogyny.’ Feminism-based online sites, women study courses in schools, direct meetings with professors, newly encountered publications, and feminism book clubs have made the approach to new knowledge possible. With the provision of knowledge base that can reinterpret the discourse within the church, the mechanism of hate, enclosed within conflict situations, has been read. Research subjects have positioned themselves as interpreters and analyzers of feminism knowledge by reading problems within the church and forming a new identity. While identifying themselves as feminists, these women sometimes experience internal conflict and competition, and sometimes naturally accept the new identity. These circumstances indicate the process of applying the aims of feminists in the position of believers. They did not give up being believers or feminists and gave speeches for the confirmation of their positionality in the process of becoming ‘feminist church women.’ Second, research subjects were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and re-signifying their experiences of misogyny. First, by discussing the tendency of the view and control of the bodies of women, they were reading the discourse of hierarchical hatred within the everyday language about the body and the view of sexual objectification toward particularly, young and single women within the positionality of being in the 20s. Additionally, they were exploring gender power within the church and also defining misogyny with ‘gender frame’ and ‘gender hierarchy.’ These readings were analyses through a new system of knowledge beyond the previously sexist culture and tradition of the protestant church. In particular, the analysis of the tendency of hatred that reflects the differences in power indicate that the sensitivity of the reading has increased in a method different from before. They also analyze that women are recruited as negative beings in the selected example sermons and that this representation is material that is objectified to be laughed at and enjoyed. The misogyny that was spoken within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in the church—in other words, the macroscopic ontology of viewing women as tainted and negative beings—was maintained, while the micro-examples dealt within the message were confirmed to be consuming women's images in the real world. Furthermore, the nature of this hatred helped identify a considerable conformity with things recognized as a model of cultural misogyny within our society. Research subjects indicated that the aspects of socially acceptable misogyny were directly performed and strengthened in the church as well. Further, they focused on the use of ‘method’ of the strategy to strengthen the existing gender order by recruiting women and analyzed the process of women being used as tools and being consumed in order to strengthen male power. This is focusing on the aspect of misogyny that is newly changed and expanded, and indicated the method of strategically using women while linking to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hurch. Through this, the identification of multi-level aspects of misogyny within the church was enhanced. Third, they are analyzing the structure and policy of the church that reproduces hatred, and the strategy encompassed within it. First, the mechanism within the church that promotes misogyny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culture that ‘marginalizes women,’ and analyzed the process of the church-goers coming to accept the position of women as supportive roles that help the monopolized male leadership as the ideal gender position, thereby confirming the political mechanism of strengthening the marginalization of women. Furthermore, by discussing the sermon and bible verses that include the justification of misogyny, it was indicated that the discourse effect of ‘naturalization of hierarchical relationship’ within the church occurred through the factors of hatred that the bible text itself contains and the preachers who anachronistically interpret it. Moreover, they also focus on the characteristic of the church culture that has governed the consciousness of the believers. Within the image of the ‘ideal believer,’ there is a characteristic aim for patience and acceptance, religious education that replaces even justified anger to something negative is frequent, and the violence of control as well as the coercion of compassion and acceptance of women is indicated through speech that controls women, based on the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sin.’ In addition, the discourse that emphasizes obedience in the general church culture was shown to elicit ‘existential gender inferiority’ within women and is a mechanism that makes this acceptable. Women who internalize existential inferiority play the role of generator of continuous discourse that allows hatred within the church. It was established that they can be positioned as the ‘instigators of hatred and discrimination’ before they are even aware of it. Fourth, they are emphasizing the possibility of a discourse generator that can function as a new agent of resistance. Sometimes, they bring the problem to discourse by attempting publicization in the center of the church; sometimes, they lead feminism groups within the church to form support groups and demonstrate direct activism that attempts to change the culture of misogyny. Further, by generating contents of activism, based on the positionality of the women in their 20s externally rather than in the center of the church, it indicates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problem of gender into a new arena. In particular, ‘Believing Femi (Believing Feminists)’ group has presented alternatives by having self-identity in solidarity with social discourse after feminism reboot. Podcasts, SNS management, formation of safe spaces, and feminist worship services that they started, indicate the possibility of casual communication with the younger age group and confirm the arena of discourse in which the women within the church can participate to ‘report,’ ‘express anger,’ and ‘receive consolation’ together. Their activities bring about women who are repressed and are unable to express their experiences within the church and also motivate the life of a believer by having women who left the church experience “clean worship without vigilance and fear of misogyny.” They are opening a new alternative that is fissuring the masculinized God that the church has been endorsing, and the system. However, the flow of this ‘new female being’ can be seen as the voice of the minority within the protestant church in Korea. Because of this, they have expanded the critical mind within solidarity with social discourse, which signifies the importance of the expansion and intervention of continuous social discourse. Something that can be anticipated, despite this is that the generation and expansion of discourse has become easier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social media and that a new arena of sharing critical mind is confirmed. Therefore, women who could not reach each other in the physical space are forming solidarity to confirm knowledge and courage. The appearance of agents of resistance empowered by the diversification of media, confirm the experience of women within the church that was previously invisible and provide hope as the medium of suggestions for gender equality. ;본 연구는, ‘20대 페미니스트 교회여성’ 들이 자신의 여성혐오 경험을 해석하면서 교회 내 혐오발화에 문제제기하고, 이를 재생산 하는 교회 내부의 메커니즘을 분석하는 과정을 탐색한 것이다. 더불어 이들이 자신의 지식기반을 확인하고 저항담론을 생산해가는 과정을 통해, 페미니즘 지식을 적용하고 확장하는 대안적인 흐름을 읽고 있다. 이에 앞서서, 20대 여성들이 담지한 페미니즘 지식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도달하여 영향을 미쳐 왔으며, ‘페미니스트 교회여성’ 의 정체성 형성이 가능했던 맥락과 그 의미화 과정을 분석해 나갔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2016년 강남역 살인사건 등을 중심으로 한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여성혐오의 사회적 공론화와 맞물려 생각이 확장되면서 교회 내 문제를 향한 관심으로 연결되었다. 즉 ‘여성혐오’ 라는 사회적 담론의 개입과 영향 속에서 이들은 자신의 위치성을 형성해가고 있었다. 페미니즘에 기반한 온라인 사이트와 학교에서의 여성학 수업, 교수자와의 직접 만남, 새롭게 접한 서적, 페미니즘 책모임 등은 이들에게 새로운 지식으로의 접근을 가능하게 했고, 그간의 교회 내 담론을 재해석 할 수 있는 지식기반이 제공되면서 갈등 상황 속에 내포된 혐오의 메커니즘을 읽어갔다. 연구 참여자들은 교회 내 문제를 독해하면서 스스로를 페미니즘 지식을 가진 해석자·분석자로 위치시켜갔으며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들은 스스로를 페미니스트로 정체화하는 가운데 내적인 충돌과 경합을 경험하기도 하고, 새로운 정체성을 자연스럽게 승인하기도 한다. 이러한 일련의 상황은 페미니스트로서 지향하는 바를 신앙인의 위치에서 적용시켜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들은 신앙인이 되기를 포기하거나 페미니스트가 되기를 포기하지 않았고, ‘페미니스트 교회여성’ 이 되는 과정 안에서 자신의 위치성을 확인해가기 위한 발화를 보여주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 들은 자신의 여성혐오 경험을 해석하고 재의미화 하는 과정을 거치고 있다. 먼저 교회 내 여성의 몸에 대한 시선과 통제의 양상을 고찰하면서, 20대 라는 자신의 위치성 안에서 유독 젊고 비혼인 여성들을 향하는 성적대상화의 시선과, 몸에 관한 일상 언어 내부의 위계화 된 혐오의 담론을 읽어가고 있었다. 이에 더하여 교회 내 젠더 권력을 탐색하고 ‘젠더 프레임’ 과 ‘젠더 위계’ 로서 여성혐오를 정의하기도 한다. 이러한 독해는 그간의 성차별적인 개신교회 문화와 전통을 넘어선 새로운 지식체계를 통한 분석이었고, 특히 권력의 차이가 반영된 혐오양상의 분석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방식으로 그 독해의 감수성이 향상되었음을 나타내준다. 이들은 취사선택된 설교의 예시에서 여성들이 부정적인 존재로 동원되고, 이러한 표상이 웃고 즐길 수 있는 대상화 된 소재가 되고 있음을 분석해 내기도 한다. 교회 내에서는 성서해석 안에서 발화해왔던 여성혐오 즉, 여성을 부정하고 오염된 존재로 보는 거시적인 존재론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메시지를 통해서 다루는 미시적인 예시들은 현실 세계 안의 여성 이미지를 동원하여 소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이러한 혐오의 양상은 우리 사회 내 문화적인 여성혐오의 전형으로 인식되는 것들과의 상당한 일치성을 확인하도록 도왔다. 연구 참여자들은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여성혐오의 양태가 교회 내에서도 그대로 실천되고 강화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이들은, 여성을 동원하여 기존의 젠더 질서를 공고히 하는 전략의 활용 ‘방식’ 에 집중하여, 남성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여성들이 도구화 되고 소비되는 과정을 분석해 갔다. 이는 새롭게 변이·확장되어 나타나는 여성혐오의 양태에 주목한 것이며, 교회라는 문화적 특성과 연동하면서 여성들이 전략적으로 활용되는 방식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교회 내 여성혐오 양상의 다층성을 파악하도록 도왔다. 셋째, 이들은 혐오를 재생산하는 교회 구조와 제도 및 그 속에 내재한 전략을 분석 하고 있다. 먼저 여성혐오를 추동하는 교회 내 메커니즘을, ‘여성을 주변화’ 시키는 문화와의 연관성에서 찾았고, 독점된 남성 리더십과 이들을 돕는 보조적 위치로서의 여성구도가, 이상적인 젠더구도로서 성도들에게 수용되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여성의 주변화를 강화해가는 정치적 기제를 확인시켰다. 더불어 여성혐오의 정당성을 내포한 설교와 성서를 고찰함으로써 성서 텍스트 자체가 갖는 혐오의 요소와, 이를 시대착오적으로 해석해가는 설교자들을 통해 교회 내 ‘위계적 관계의 자연화’ 라는 담론적 효과가 발생한다는 것을 드러냈다. 또한 이들은 성도들의 의식을 지배해왔던 교회 문화의 특수성에 주목하기도 한다. ‘이상적인 성도됨’ 의 모습 안에서 인내와 수용이라는 성품적 지향이 나타나고, 정당한 분노까지도 부정적인 것으로 치환하는 신앙교육이 빈번하며, ‘죄’ 에 대한 개인적 해석을 바탕으로 여성을 통제하는 발화들을 통해 여성들에게 가해지는 인정과 수용의 강요 및 통제의 폭력성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에 더하여 교회 문화 전반의 순종의 메시지를 강조하는 담론은, 여성들 내부에 ‘존재적인 젠더 열등성’ 을 발현시키고 이를 수용하게 하는 기제임을 보여 주었다. 존재적 열등성을 내면화한 여성들은 교회 내 혐오를 가능하게 하는 계속적인 담론생산자의 역할을 하게 되면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혐오와 차별의 발화자’ 로 위치지어 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 시켰다. 넷째, 이들은 새로운 저항주체로서 기능할 수 있는 담론생산자의 가능성을 드러내고 있다. 때로는 교회의 중심부에서 공론화를 시도하여 문제를 담론의 장으로 가져오기도 하고, 때로는 교회 내부의 페미니즘 모임을 주도하여 지지집단을 형성하고 여성혐오 문화를 바꿔내고자 하는 직접적인 운동력을 드러낸다. 또한 교회의 중심부가 아닌 외부에서 20대의 위치성에 기반한 운동 콘텐츠를 생산하면서 젠더의 문제를 새로운 장을 통해 확산시키는 과정을 보여준다. 특히 ‘믿는페미(믿는 페미니스트)’ 그룹은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사회적인 담론과의 연대 속에서 자기 정체성을 갖고 대안을 열어갔다. 이들이 시작한 팟캐스트와, SNS 운영, 안전한 공간의 형성과 여성주의 예배 등은 젊은 층과의 캐주얼한 소통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교회 내 여성들이 참여하여 함께 ‘고발하고’, ‘화내고’, ‘위로받는’ 담론의 장을 확인시켰다. 이들의 활동은 교회 내부에서 자신의 경험세계를 드러내지 못하고 억압되어 있는 여성들을 불러내기도 하고, 교회를 떠났던 여성들에게 ‘여성혐오에 대한 경계와 두려움이 없는 클린한 예배’ 를 경험하게 하여 신앙인의 삶을 다시금 동기부여 시키기도 한다. 이들은 교회가 말해 온 남성화 된 하나님과 그 체계에 균열을 내는 새로운 대안을 열어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새로운 여성주체’ 의 흐름은 현재의 한국 개신교회 내에서는 소수의 목소리로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은 사회적인 담론과의 연대 속에서 문제의식을 확장해왔고, 이로써 계속적인 사회적 담론의 확장과 개입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대할 수 있는 것은, 사회적 매체의 다양화로 인해 담론의 생산과 확산이 보다 용이해졌고,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새로운 장이 확인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물리적인 공간 안에 닫지 않았던 여성들까지도 서로 연대하면서 지식과 용기를 확인하고 있다. 이러한 매체의 다양성에 힘입은 저항주체의 등장은, 가시화되지 못했던 교회 내 여성의 경험세계를 확인시키고, 성평등의 대안을 담아내는 매개체로서 희망을 주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 B. 기존논의 검토 7 1. 한국 개신교에 관한 여성학적 연구 7 2. 기독교의 여성혐오에 관한 연구 9 C.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14 1. 연구방법 및 연구과정 14 2. 연구 참여자의 특성 18 Ⅱ. 교회 내 여성 정체성 형성과 페미니스트 지식 22 A. 페미니즘 지식획득 과정과 새로운 위치성의 형성 22 B. 지식을 통한 정체성의 확장과 신학적 적용 31 C. 페미니스트 교회여성이 되는 과정으로서의 충돌과 승인 35 Ⅲ. 교회 내 경험에 관한 해석과 재의미화 43 A. 성적 대상화와 몸에 대한 통제의 고찰 43 B. 젠더 프레임과 젠더 위계로서의 혐오 53 C. 부정적 의미의 투영과 여성 이미지의 동원 64 D. 교회의 안정화 전략으로서의 여성혐오 68 Ⅳ. 여성혐오 재생산 구조로서의 교회제도와 전략 72 A. 혐오의 메커니즘에 관한 인식 72 1. 남성목사의 특권적 위치와 권력생산의 구조적 용이성 73 2. 혐오의 정당성을 내포한 설교 및 성서 고찰 77 B. 교회 문화의 특수성에 관한 이해 79 1. 인정과 수용의 강요 및 통제의 공간 79 2. 존재적 열등성을 내면화 한 교회 여성 이해 83 Ⅴ. 새로운 저항주체로서의 도약과 가능성 87 A. 갈등의 공론화를 통한 변화의 모색 87 1. 지식을 통한 문제제기와 새로운 공론화의 시도 88 2. 교회 내 페미니즘 모임의 생성과 변화의 모색 91 B. 저항주체로서의 담론생산과 변화의 주도 98 1. 새로운 콘텐츠의 활용을 통한 저항담론 생산 98 2. 연대를 통한 지지집단의 형성과 운동의 확장 104 Ⅵ. 결론 109 참고문헌 113 ABSTRACT 1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678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20대 페미니스트 교회여성의 여성혐오 이해와 저항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한국 개신교회 내 경험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Research on the understanding of and resistance to misogyny of feminist church women in their 20s : Focus on experience in Korean protestant churches-
dc.creator.othernameLee, Minji-
dc.format.pagevii, 12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