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8 Download: 0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 사회불안,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Title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 사회불안,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Among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ocial Anxie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in Undergraduates According to Gender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Orientation
Authors
박승혜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최근 대학생에게서 SNS(Social Networking Service)가 활발히 사용됨에 따라 SNS를 과도하게 사용하고 금단 및 내성 증상을 경험하는 SNS 중독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의 기제에 대한 탐색 필요성이 증가하여 본 연구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사회불안이 매개하고, 이러한 간접효과가 대인관계 지향성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조절된 매개모형을 설정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NS를 사용하는 만 18-25세의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SPSS 21.0과 PROCESS macro를 통해 34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SNS 중독경향성에 대한 사회불안의 예측력이 남녀별로 달랐던 선행연구(Salvati & Trentini, 2015)와 각 변인에서의 성차 가능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남녀를 분리하여 연구모형의 검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표본 t 검정 결과, 대인관계 지향성을 제외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사회불안, SNS 중독경향성에서 유의한 성차가 발견되었으며, 세 변인 수준 모두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성별과 무관하게 완벽주의적 자기제시는 사회불안 및 SNS 중독경향성과 정적 상관이 있었고, 대인관계 지향성과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또, 남녀 모두 사회불안은 대인관계 지향성과 부적 상관, 대인관계 지향성은 SNS 중독경향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사회불안과 SNS 중독경향성 사이에는 남성의 경우, 유의한 정적 상관이 관찰되었으나 여성에게서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셋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SNS 중독경향성 간에 사회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남성에게서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사회불안과 SNS 중독경향성을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나 사회불안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았고, 매개효과 역시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조절된 매개효과의 검증 결과, 남성에 한하여 사회불안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유의하였으며, 대인관계 지향성이 높은 경우에만 사회불안이 SNS 중독경향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성의 경우,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에서 비롯된 사회불안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력 역시 대인관계 지향성의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구체적으로 대인관계 지향성 값이 –6.14보다 큰 경우(남성의 상위 71.52%)에만 간접효과가 유의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이 높은 남자 대학생이 느끼는 사회불안은 SNS 중독경향성을 야기할 수 있지만 대인관계적 욕구 수준에 따라 그러한 영향이 달라질 수 있으며, 여자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은 타인에게 완벽히 자신을 보여주고픈 욕구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에 대해 성별에 따라 다른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의 기제에 대한 이해를 한층 더 넓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SNS 중독경향성의 예방적 개입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addiction proneness through social anxiety.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aged 18 to 25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via an online survey. A total of 341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rough SPSS 21.0 and PROCESS macro.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and the possibility of gender differences in variables, all analyses were performed separately for men and wom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ndependent t-test, women were found to be at a higher level than men o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ocial anxie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For interpersonal orient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Second, regardless of gender,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ocial anxie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In addition, for men and women, interpersonal orientat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ocial anxiety an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Social anxie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had positive correlations for men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in women.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anxie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NS addiction proneness was found only in men. In the case of wom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predicted social anxie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However, social anxiety didn’t predict SNS addiction proneness and the mediation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the moderation effect of interpersonal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was significant only for men. In other words, social anxiety predicted SNS addiction proneness only when the level of interpersonal orientation was high. Also, for men, interpersonal orientation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on SNS addiction proneness through social anxiety. Specifically, the indirect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interpersonal orientation was in low level. Based on these findings, intervention strategies for undergraduate students’ SNS addiction proneness were discusse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giv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