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1 Download: 0

성 평등 의식이 능력주의와 성차에 따라 성차별 지각에 미치는 영향

Title
성 평등 의식이 능력주의와 성차에 따라 성차별 지각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on Perception of Gender Discrimination Depending on Gender and Meritocracy
Authors
홍성혜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설경옥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성차별이 개인의 능력, 노력을 중시하는 능력주의 사회에서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다른 양상으로 지각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대학생의 성 평등 의식, 능력주의가 성별에 따라 성차별 지각에 미치는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변인들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남녀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성 평등 의식, 능력주의를 측정한 뒤 대학, 가정, 직장, 동아리에서 경험할 수 있는 성차별을 다룬 가상의 시나리오를 제시하여 시나리오에서 드러나는 성차별을 얼마나 지각하는지 측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성차별 지각과 성차, 성 평등 의식, 능력주의 간에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성차별을 더 많이 지각하였고 성 평등 의식이 높을수록 성차별 지각 또한 함께 증가하였다. 능력주의의 경우 능력주의를 많이 내재화할수록 성차별 지각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차별 지각에 대한 성 평등 의식과 능력주의의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인이 능력주의를 적게 내재화하였을 때는 성 평등 의식의 증가에 따라 성차별 지각도 함께 증가하였으나 능력주의를 많이 내재화하였을 때는 성 평등 의식이 증가해도 성차별 지각에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성차별 지각에 대한 성차, 성 평등 의식, 능력주의의 삼원상호작용 또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능력주의를 내재화한 정도가 낮을 때는 성 평등 의식의 변화와 상관없이 성차별 지각이 높았으나, 능력주의를 내재화한 정도가 높을 때는 성 평등 의식이 낮아짐에 따라 성차별 지각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남성의 경우에는 능력주의를 내재화한 정도가 높을 때 성 평등 의식의 변화와 상관없이 성차별 지각이 낮았으나, 능력주의를 내재화한 정도가 낮을 때는 성 평등 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성차별 지각이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차와 같은 인구통계학적 변인은 물론 사회 구조적인 차별, 신념과 같은 요인들이 개인의 성차별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성차, 성 평등 의식, 능력주의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함으로서 현실에서 개인이 경험하는 차별의 복잡한 양상을 구체적으로 밝혀내었다. 또한 성차별 지각에 미치는 성 평등 의식과 능력주의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확인함으로써 개인의 성취와 능력에 따른 공정함을 강조하는 사회 분위기에 대한 재인식과 성 평등 의식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gender discrimination is perceived according to gender in a meritocratic society that emphasizes individual ability and effort. Specifically, the effect of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meritocracy, gender, and interaction effect on the perception of gender discrimination was examined.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00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to read the hypothetical scenarios dealing with gender discrimination that can be experienced in college, home, work, and clubs, and measured how much they perceive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scenario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2.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gender discrimination and gender,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and meritocracy. Women perceived gender discrimination more than men, and perceptions of gender discrimination also increased as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increased. the more the meritocracy is internalized, the lower the perception of gender discrimina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n interaction effect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and meritocracy on perception of gender discrimination. When the level of internalized meritocracy is low, perceptions of gender discrimination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perception of gender discrimination with the change of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when the degree of internalized meritocracy is high. Third, three - way interaction of gender,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and meritocracy on perception of gender discrimination were also significant. In the case of female, when the level of internalization of meritocracy was low, the perception of gender discrimination was high regardless of the change of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but when the level of internalization of meritocracy was high, the perception of gender discrimination decreased Respectively. In the case of males, the perception of gender discrimination was low regardless of the change i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hen the level of internalization of meritocracy was high, but when the level of internalization of meritocracy was low, perception of gender discrimination increased as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increased. In conclusion,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