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수진-
dc.contributor.author신가영-
dc.creator신가영-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0:41Z-
dc.date.available2019-02-18T16:30:41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42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423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55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SNS 중독경향성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와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SNS 중독경향성을 야기할 수 있는 변인들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대인관계문제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18세에서 25세 남녀 40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각 변인들의 기술통계 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하여 각 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SNS 중독경향성, 애착불안, 정서조절곤란, 대인관계문제 간 정적 상관이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대인관계문제를 제외한 모든 잠재변인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SNS 중독경향성, 애착불안, 정서조절곤란에서 여자집단이 남자집단보다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 간 관계를 정서조절곤란과 대인관계문제가 매개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경로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애착불안에서 정서조절곤란을 거쳐 SNS 중독경향성으로 가는 단순매개효과와 애착불안에서 대인관계문제를 거쳐 SNS 중독경향성으로 가는 단순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정서조절곤란과 대인관계문제를 순차적으로 거쳐 SNS 중독경향성으로 가는 이중매개효과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대학생의 애착불안은 유연한 정서의 조절과 대처를 어렵게 하며, 이러한 정서조절곤란이 대인관계문제를 증가시켜 결국 SNS 중독경향성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로에서, 개인의 특성으로서의 애착불안, 정서적 요인으로서의 정서조절곤란, 사회적 요인으로서의 대인관계문제의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SNS 중독경향성에 대한 다각적인 이해를 넓힐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SNS 중독경향성의 치료적 개입 마련에 있어 이론적 기반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정서조절곤란과 대인관계문제는 비교적 접근이 용이한 측면이므로 이를 활용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본 연구는 애착불안이 개인의 정서조절의 어려움, 대인관계문제,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함으로써 애착의 중요성을 다시금 입증하였다. 이는 개인의 내적작동모델이 긍정적으로 형성되지 못했을 경우, 개인의 삶에 다양한 측면에서의 부적응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즉, 대학생의 건강하고 만족스러운 성인진입기의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 경험하는 부정정서들을 유연하게 대처하고 조절할 수 있는 능력 뿐 아니라, 긍정적인 내적표상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밝혔다. 이를 통해 SNS 중독경향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들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치료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Adult Attachment Anxiety, SNS Addiction Proneness, Emotional Dysregulation, Interpersonal Problems. The study participants(403 college students) were drawn from various regions of South Kore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SPSS 22.0 and M-Plus 7.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ll other variables. Second, as result of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to test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howed that Adult Attachment Anxiety, SNS Addiction Proneness, Emotional Dysregulation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Women showed higher levels of three latent variable than men. Third, the examination of structural relation among the major variables showed that all the paths were significant. Fourth,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In addition, the dual-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between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was also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ollege students' adult attachment anxiety can increase the level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such high level of emotional dysregulation can increase interpersonal problems, leading to SNS addiction proneness. Out of the various factors that cause SNS addiction proneness, this research confirmed the connecting path from environmental factor, emotional factor and social factor to SNS addiction proneness. This confirms that SNS addiction proneness is an experienced result of attachment, an internal traits, along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 emotional factor and interpersonal problems, an social factor. Therefore, given that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adult attachment anxiety on SNS addiction proneness and its dual-medit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ffective prevention intervention strategies for college students’ SNS addiction pronene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7 Ⅱ. 이론적 배경 8 A. SNS 중독경향성 8 B. 애착불안 9 1. 애착불안 9 2.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 11 C. 정서조절곤란 12 1. 정서조절곤란 12 2. 정서조절곤란과 애착불안 14 3. 정서조절곤란과 SNS 중독경향성 15 D. 대인관계문제 16 1. 대인관계문제 17 2. 대인관계문제와 애착불안 18 3. 대인관계문제와 SNS 중독경향성 20 4. 대인관계문제와 정서조절곤란 21 Ⅲ. 연구방법 23 A. 연구대상 23 B. 측정도구 25 1. 애착불안 25 2. SNS 중독경향성 25 3. 정서조절곤란 26 4. 대인관계문제 26 C. 연구절차 27 D. 자료분석 28 Ⅳ. 연구결과 29 A.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치 29 1. 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 및 차이검정 29 2.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 31 B. SNS중독경향성, 애착불안, 정서조절곤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34 1. 측정모형의 검정 34 2. 구조모형의 검정 36 3. 구조모형의 분석 37 4. 정서조절곤란과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검정 39 Ⅴ. 결론 및 제언 40 A. 요약 및 논의 40 1. 주요 변인들의 비교 및 상관 분석 40 2. SNS 중독경향성, 애착불안, 정서조절곤란, 대인관계문제의 구조적 관계와 매개효과 42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45 참고문헌 48 부록 62 ABSTRACT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279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대학생의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정서조절곤란과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dc.title.translated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of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dc.creator.othernameSHIN, KA YOUNG-
dc.format.pagevii, 7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