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1 Download: 0

대학생의 부모화 돌봄 경험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지각된 불공정성과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Title
대학생의 부모화 돌봄 경험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지각된 불공정성과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Unfairness and Empathic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ing Experience in Parentific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undergraduate students : Assessing Gender differences through use of multiple-group analysis
Authors
박선영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수진
Abstract
본 연구는 성인진입기 대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기 부모화 돌봄 경험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그 관계에서 지각된 불공정성과 공감능력이 매개 효과를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성인진입기 남녀 325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변인들의 기술 통계 및 상관분석을 진행하였다. 이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각 변인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고, 부모화 돌봄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지각된 불공정성과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조모형에서 성차를 확인하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부모화 돌봄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를 제외한 모든 변인 간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별에 따라 지각된 불공정성과 대인관계 유능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자집단은 남자집단보다 지각된 불공정성이 높게 나타났고 남자집단은 대인관계 유능성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부모화 돌봄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를 지각된 불공정성과 공감능력이 매개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진행하였고,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부모화 돌봄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지각된 불공정성의 단순매개효과와 지각된 불공정성과 공감능력의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으나, 공감능력의 단순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넷째,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부모화 돌봄이 지각된 불공정성과 공감능력을 순차적으로 거쳐 대인관계 유능성으로 가는 경로에서 남녀집단 모두 유의미한 수준이였지만, 부모화 돌봄이 대인관계 유능성으로 가는 직접 경로, 부모화 돌봄이 지각된 불공정성을 거쳐 대인관계 유능성으로 가는 경로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부모화 돌봄이 대인관계 유능성으로 가는 직접경로에서 남자집단은 유의미한 정적 경로가 나타난 반면, 여자집단은 유의미한 경로가 나타나지 않았다. 부모화 돌봄이 지각된 불공정성을 거쳐 대인관계 유능성으로 가는 경로에서 남녀집단 모두 부모화 돌봄과 지각된 불공정성의 경로는 유의미했지만, 지각된 불공정성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으로 가는 경로에서 여자집단은 유의미한 부적 경로가 나타난 반면 남자집단은 유의미한 경로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성장기 부모화 돌봄 경험은 자신의 부모화 돌봄 행동에 대한 지각된 불공정성을 높이고, 지각된 불공정성은 공감능력을 낮춰 결국 대인관계 유능성을 낮추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남자집단은 부모화 돌봄 경험이 직접적으로 대인관계 유능성을 높이는 반면, 여자집단은 부모화 돌봄이 대인관계 유능성을 직접적으로는 예측하지 못했다. 또한 남자집단은 지각된 불공정성이 대인관계 유능성을 예측하지 못했지만, 여자집단은 높은 수준의 지각된 불공정성이 대인관계 유능성을 낮추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부모화에서 지각된 불공정성의 독립적인 영향력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기존의 부모화 연구는 긍정적 결과와 부정적 결과를 함께 보고하고 있지만, 비일관적인 결과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다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부모화를 객관적 경험인 부모화 돌봄과 주관적 경험인 지각된 불공정성으로 구분하여 세부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지각된 불공정성이 부모화 돌봄과 이후 정서 사회성 발달간의 기제로써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부모화 돌봄 자체보다도 과도한 수준의 부모화 돌봄과 이에 따른 지각된 불공정성이 부적응적일 수 있음을 밝혔다. 한편 가족을 돌보는 행동이 긍정적 덕목으로 인정받는 유교 문화권의 한국사회에서도 부모화 돌봄은 부정적 경험일 수 있음을 재검증하였다. 또한 이를 대인관계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아, 가정 내에서 마주하는 대인관계 경험이 이후 사회적 능력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성장기 부모화 돌봄 경험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의 성차를 확인하여, 남녀의 사회화 과정에서 부모화 경험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았다는 함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caregiving experience in parentific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ith perceived unfairness in parentification and empathic ability as mediators. The study participants(325 undergraduate students) were drawn from various regions of South Korea. The collected date was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SPSS 22.0 and M-Plus 6.12.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xcept for the correlation between caregiving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ll other variables. Second, as a result of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to test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emale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perceived unfairness than male group, and male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interpersonal competence than female group. Third, the examination of structural relation among the major variables showed that all the paths were significant except the paths from caregiving to empathic ability, from caregiving to interpersonal competence. Fourth,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unfairness on the relation between caregiving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doubly mediated effect of perceived unfairness and empathic ability between caregiving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also significant. Fifth, the multi-group analys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genders was performed. As a result, the differences between female group and male group were in the paths from caregiving to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from perceived unfairness to interpersonal competence. In the direct path from caregiving to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male group was positively significant, while female group was not. And the path from perceived to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female group was negatively significant, while male group was not. In conclusion, the experience of caregiving in parentification influenced the level of perceived unfairness in parentification, and a high level of perceived unfairness could lower empathic ability. leading to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depending on gender, the mechanisms of the association between caregiving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different. This study is worthy of revealing the detailed relation between caregiving experience in parentific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n particular, by dividing parentification into objective experience, caregiving, and subjective experience, perceived unfairness, this study confirmed that perceived unfairness acts as a key influence in the relationship of caregiving experience and social development. Also, Even in the Korean society of the Confucian culture, where care for the family is recognized as a positive virtue, it has been confirmed that parentification can be a negative experience. Final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parentification can be experienced differently depending on gender in socialization proc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