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3 Download: 0

임금 근로 장애인의 대인관계능력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Title
임금 근로 장애인의 대인관계능력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 on Job Satisfaction : Mediated Effects of Disability Acceptance and Self-efficacy
Authors
장수빈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충래
Abstract
본 연구는 임금 근로 장애인의 대인관계능력이 자기효능감과 장애수용을 매개로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장애인들을 위한 직업재활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대인관계능력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이 2017년에 실시한 장애인고용패널조사(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2차웨이브 2차조사를 사용하였으며 경제활동 상태가 임금 근로자로 되어있는 임금 금로 장애인 1,624명 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Mplus 7.0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매개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 장애인의 대인관계능력은 자기효능감과 장애수용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근로 장애인의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수용 또한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근로 장애인의 대인관계능력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수용은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인관계능력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다양한 경로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에 따른 논의점 및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인 의의로써 본 연구는 임금 근로 장애인의 대인관계능력과 직무만족도의 경로에서 장애수용과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를 밝혀냄으로써 다각적인 요인과 경로를 검증하였다. 또한 근로 장애인의 대인관계능력과 직무 관련 변인에 대한 실질적인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직업재활로써 대인관계능력 훈련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확장시켰다. 둘째, 실천적인 의의로써 근로 장애인의 안정적인 직업 생활 유지를 위한 직업재활에 대한 방향 설정을 제시하였으며 직업 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을 설정해주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셋째, 정책적 의의로 제 5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2018년~2022년)에 맞춰 직업 재활 프로그램의 세부적인 구성방향으로 본 연구에서 다룬 대인관계 기술 훈련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장애인 고용 기업체의 비장애인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 장애인 인식 개선 교육에 소통 방식의 차이점을 내포하는 것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ing a plan for progress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the disabled by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f the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to job satisfaction mediated by self efficacy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For analyze mediating effect of self efficacy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in relations of job satisfaction, the research makes use of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second wave, secondy survey, conducted by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KEAD) in 2017, and 1,624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whose economic activity status were wage worker.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ediating modeling using SPSS 18.0 and Mplus 7.0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f the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have an effect positively on self efficacy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Second, self efficacy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of the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have an effect positively on job satisfaction, respectively.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job satisfaction of the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it was found that self efficacy has a complete mediating role,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has a partial mediating role. This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various path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job satisfaction. Th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is research verified multidirectional factors and pathways by ident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efficacy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in the pathwa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to job satisfaction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the research also expands the discussion about the necessity for training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f the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as vocational rehabilitation by providing the basis for relation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job related factors. Second, As practical implication, this study suggested direc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the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to retaining stable working life. This could be the basis for direction of establish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Third, the poli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research proposed the direc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training program as detailed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composition in compliance with The fifth Comprehensive Policy Pla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2018-2022). Also, it suggested the necessity of including communicational differences as contents when educating for non disabled employees to improve perception about the disabled in the companies which employed the disabl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