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옥경-
dc.contributor.author원가빈-
dc.creator원가빈-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0:39Z-
dc.date.available2019-02-18T16:30:39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38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388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544-
dc.description.abstractAs the incidence of cancer reaches 7,000 people per year and the viewpoint of cancer is converting from an acute disease to a chronic disease, the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is becoming important, and permanent and continuous management is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Previous studies have identified a variety of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but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the quality of life limited to specific carcinomas. In addition,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cancer survivors in the middle age and the elder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includ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entire cancer survivors as well as the social network, moving away from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emphasizing only specific carcinoma or physical asp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health characteristics and social networks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on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 - aged and elderly cancer survivors, and to compare two groups; middle - aged and elderly cancer survivo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health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 - aged and elderly cancer survivors (diagnosis year, treatment status, subjective health status, depression),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s (spouse, friends, neighbors, The frequency of social participation, the presence of economic activity), and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s on the quality of life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ults, we sought to find solu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 - aged and elderly cancer survivors. The analysis data for this study is based on the 6th edition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s Aging Research Panel (KLoSA) in 2016. In this study, we analyzed 453 cancer survivors who were diagnosed with cancer or malignant tumors (excluding mild skin cancer) from a doctor. In addition, the age criteria at the time of analysis are as follows: those aged 45 to 65 years are classified as middle age, and those aged 65 and older are classified as elderly. We analyzed 118 survivors aged between 45 to 65 years old and 335 elderly survivors aged 65 and over as the final analysis subjects.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echniques such a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at examine whether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are as follow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differed among group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age, as for the survival rate of middle-aged cancer survivors, as the current level of education, current symptom relief,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higher, the more interaction between spouse, friends and neighbors, and the greater the economic support of the child,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In the case of survivors of middle-aged cancer, they are in a stage of continuing social activities through pre-retirement economic activities because they are over 45 years old and under 65 years old. In the absence of physical difficulties, economic activity can be regarded as the most social activity of middle age. Elderly cancer survivors showed higher quality of life when they had spouses, interaction with friends, neighbors, and acquaintances, and their children received economic support. In other words, spouses, friends, and children 's relationships between the survivors of elderly cancer survivors are important variables in quality of life. Second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group analysis according to gender, the survival rate of male cancer survivors increased as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scores decreased. In the case of female cancer survivors,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the higher th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the lower the score of depression,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male and female cancer survivors and the need for intervention for depression are needed.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alth characteristics and social network of cancer survivors on the quality of life by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Social networks have been studied extensively in relation to the quality of lif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of the elderly, and there are many studies on health characteristics, social networks and quality of life.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that compare and analyze age and gender without limiting health characteristics and social networks to specific carcinoma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compare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health characteristics and social network of cancer survivors with age and sequence. First,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cancer survivors can be used as a positive resource in counseling and programs, and can help develop practical programs to improve health characteristics and social networks and lead to social reintegration. There will be. [KH1] Secondly, it shows that policy support and program intervention for each survival stage should be changed for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 - aged cancer survivors. Therefore,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each survival stage intervention in the policy proposal stage. In order for cancer patients to successfully return to their daily lives, it is necessary to regain social awareness of cancer patients.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wareness and enhance public awareness at the social and national level. Through this, cancer survivors will be able to live a better life, find meaning of life and actively live as an entity of society.;암은 연간 7천명에 달하고 암에 대한 관점이 급성에서 만성질환으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암환자의 삶의 질은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영구적이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기존 선행연구들은 암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밝혀내었지만 특정 암종으로 한정지어 삶의 질을 분석한 연구들이 주로 이루었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해 암생존자를 중·고령으로 나누어 살펴본 연구가 많지 않았다. 따라서 기존에 특정 암종으로 설정하거나 신체적 측면만을 강조하였던 기존의 연구들의 한계점에서 벗어나 전체 암생존자의 신체적 특성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망도 포함하여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다각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중년·고령 암생존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건강특성과 사회적관계망(구조적측면, 기능적측면)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연구자료 및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고 중년·고령의 암생존자 두 집단을 비교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고령 암생존자의 건강특성(진단년도, 치료여부, 주관적건강특성, 우울),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특성(배우자유무, 친구·이웃·지인 접촉 빈도, 자녀접촉빈도, 사회참여빈도, 경제활동 유무), 사회적 관계망의 기능적 특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중·고령 암생존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분석 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연구패널(KLoSA) 2016년 6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대상은 의사로부터 암이나 악성종양(경미한 피부암 등은 제외) 진단을 받았다고 응답한 암생존자 45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분석 시 연령의 기준은 45세 이상 65세 미만을 ‘중년’으로, 65세 이상은 ‘고령’으로 구분하여 비교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45세 이상 65세미만인 중년 암생존자 118명과 65세 이상인 고령 암생존자 335명을 최종 분석 대상자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다중회귀분석 등의 기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실시한 다중회귀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중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집단에 따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다르게 나타났다. 먼저, 연령에 따라 집단 간 분석결과로 중년암생존자의 경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현재 증상완화를 치료를 받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배우자가 있는 경우, 친구·이웃·지인 접촉빈도가 높을수록 자녀의 경제적 지원이 많을수록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중년암생존자의 경우 45세이상~65세미만이기 때문에 은퇴 전 경제활동을 통해 사회활동을 이어나가는 단계에 있다. 신체적으로 무리가 없는 경우 경제활동은 중년기의 주된 사회활동으로 볼 수 있다. 고령암생존자의 경우 배우자가 있는 경우, 친구·이웃·지인 접촉빈도가 높을수록, 자녀의 경제적 지원을 받는 경우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령암생존자의 배우자, 친구, 자녀관계가 삶의 질에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성별에 따른 집단 간 분석결과로 남성암생존자의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우울점수가 낮을수록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암생존자의 경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우울점수가 낮을수록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및 여성암생존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을 볼 수 있다. 연구의 함의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암생존자의 건강특성과 사회적 관계망을 구조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봤으며, 연령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사회적 관계망은 특히, 노인의 삶의 질, 심리·정서적 문제와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건강특성, 사회적 관계망, 삶의 질에 대한 각각의 연구는 많다. 하지만 건강특성과 사회적관계망을 특정 암종으로 한정하지 않고 연령 및 성별을 비교하여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암생존자의 건강특성과 사회적 관계망에 따른 삶의 질을 연령과 성별로 비교하여 본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첫째, 암생존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상담 및 프로그램을 진행 할 때 긍정적인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건강 특성 및 사회적 관계망을 개선하고 사회복귀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실질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중‧고령 암생존작의 삶의 질을 위해 생존단계별 정책 지원 및 프로그램 개입이 달라져야 함을 보여주므로 본 연구를 정책 제안 단계 시 생존단계별 개입에 대한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암환자의 성공적인 일상생활 복귀를 위해서는 암과 암환자에 대한 사회적 재인식이 필요함을 알 수 있고, 이를 위해 사회적, 국가적 차원에서의 인식개선 및 홍보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암생존자들이 보다 나은 삶을 이어나가 삶의 의미를 찾고 사회의 한 주체로서 적극적으로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1 B. 연구의 필요성 3 C. 연구의 목적 4 Ⅱ. 선행연구 고찰 5 A. 암생존자의 정의 5 B. 암생존자의 특징 8 C. 암생존자의 삶의 질 10 D. 암생존자의 건강특성과 삶의 질과의 관계 15 E. 암생존자의 사회적 관계망과 삶의 질과의 관계 20 Ⅲ. 연구방법 31 A. 분석자료 및 연구대상 31 B.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32 C. 주요변수 33 D. 분석방법 37 Ⅳ. 연구결과 38 A.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특성 38 B. 삶의 질에 대한 집단 간 차이 40 C. 건강특성 및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41 Ⅴ. 결론 및 논의 47 A. 연구의 요약 및 논의 47 B. 연구의 함의 및 제언 52 C. 연구의 한계 57 참고문헌 59 ABSTRACT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471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중·고령 암생존자의 건강특성 및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health characteristics and social network of middle-aged and elderly cancer survivors on quality of life-
dc.creator.othernameWon, GaBin-
dc.format.pagevii,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