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89 Download: 0

노인의 공공도서관 이용 가치체계에 관한 연구

Title
노인의 공공도서관 이용 가치체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lderly's Value System of Public Library Use
Authors
최유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미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가 2017년 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앞으로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노인도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공공도서관 노인 이용자의 공공도서관 이용 가치체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노인 이용자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노인이 공공도서관을 필요에 따라 ‘어떻게’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지에 관하여 연구하였으나, 노인이 ‘왜’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지, 공공도서관을 이용함으로써 어떠한 혜택을 느끼며, 최종적으로 도달하는 가치는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는 충분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만 60세 이상을 노인으로 정의하고, 신노년(new senior)인 고령사회의 노인이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유와 가치체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의 토대는 가치가 행동을 지배하며 행동의 예측 지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Rokeach(1968)의 견해에 입각하여, Reynolds와 Gutman(1988)의 수단-목적 사슬 이론(Means-end Chain Theory, MEC)과 관여도(involvement) 개념을 도입하였다. 공공도서관 이용 가치체계는 MEC 이론의 방법론적 기법으로 함께 활용하는 래더링(laddering)을 도입하였고, 노인이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유인 속성에서 시작하여 속성에서 혜택, 혜택에서 가치로 이어지는 사슬을 가치계층도로 도식화하였다. 다만, 아직 도서관 이용자 연구에서 노인의 공공도서관 이용 가치체계에 관한 연구는 없었기 때문에 다수의 사례에 의한 양적인 조사와 함께 질적인 사전조사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사전조사로써 질적 조사에 해당하는 소프트 래더링(soft laddering) 방식의 표적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FGI)을 하였고, 본조사는 하드 래더링(hard laddering) 방식의 구조화된 문항을 가지고 설문조사를 하였다. 사전조사는 이상적 사례선택 방법에 따라 공공도서관에 섭외를 의뢰하였고, 서울 소재 공공도서관 4곳에서 각각 참여자 3명을 한 그룹으로 하여 총 4회 12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본조사는 서울 소재 공공도서관 중 성인회원 3만 명 이상인 공공도서관 42곳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고, 자치구에 중복이 없도록 고려하여 총 15개 공공도서관에서 하루씩 설문조사를 하여 유효응답 306개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인구사회학적 배경, 공공도서관 이용행태에 관한 문항은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의미분별척도를 활용한 관여도 문항 11개는 신뢰도와 타당도 검정 후 6개 문항을 분석대상으로 정하였다. 공공도서관 이용 이유에 관한 질문은 내용요약코드 작성, 함축매트릭스 작성, 절단치 수준의 결정, 가치계층도 도식화의 순으로 분석하였다. 전체 응답자의 가치계층도를 도식화한 결과, 책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주요한 속성이었으며 강의나 프로그램 참여, 신문이나 잡지의 이용도 주요 속성으로 나타났다. 속성과 강하게 연결된 혜택은 새로운 지식의 습득, 자아 성찰, 의미있는 시간의 활용이었고, 최종적으로 도달한 가치는 스스로에 대한 만족감, 성취감, 재미와 즐거움,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도움이 됨이었다. <속성-혜택-가치>를 하나의 래더로 보았을 때 가장 높은 연결관계를 가지는 래더는 <책을 읽거나 빌려본다→새로운 지식을 얻을 수 있다→나 자신에게 만족한다>였으며, <책을 읽거나 빌려본다→새로운 지식을 얻을 수 있다→성취감을 얻는다>, <책을 읽거나 빌려본다→시간을 의미있게 보낼 수 있다→삶에 활력이 생긴다>도 높게 나타났다. 성별, 연령대, 관여도 수준, 활동성 수준에 따라 각각 두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집단별 차이가 있었다. 여성의 경우는 책을 이용한다는 속성 외에도 남성에게는 나타나지 않은 강의나 프로그램에 참여한다는 속성과 사람을 만난다는 속성이 주요 속성으로 나타났고, 혜택에 대해서도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주요 혜택으로 표현되었다. 만 65세 이상과 만 60~64세로 나눈 가치계층도에서는 만 60~64세는 책을 이용하는 것 다음으로 강의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이 주요 속성이었던 반면에 만 65세 이상은 신문, 잡지 이용이 그다음이었으며, 만 60~64세에게 나타나지 않았던 정신적/신체적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주요 가치로 인식하고 있었다. 관여도를 고관여집단과 저관여집단으로 나눈 결과에서는 응답자의 60세 이후 삶에 있어서 공공도서관의 관여 수준이 높을수록 가치계층도에 나타난 속성, 혜택, 가치가 더 다양하고 더 많은 연결관계를 가졌다. 경제활동, 사회활동, 종교활동 참여 여부를 토대로 활동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나누었을 때는 두 집단의 주요 속성과 가치는 같았으나, 활동성이 높은 집단은 하고 있는 일에 도움 되는 것과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것을 주요 혜택으로 답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노인의 특성과 공공도서관의 역할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현재 공공도서관을 찾는 노인에게 있어 공공도서관 이용은 삶의 일부이자 생활습관이었다. 특별히 어떠한 정보요구가 있어서 공공도서관을 이용하기보다는 늘어난 여가시간을 보다 의미있게 보내는 목적으로 찾고 있었다. 둘째,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노인은 공공도서관의 전통적 기능에 해당하는 장서 이용을 주요 속성으로 인식하였고, 쾌적한 환경은 노인에게 만족스러운 부분이기는 하였으나 그 자체가 이용 속성은 아니었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은 이용자 연령층별 공공도서관 기능에 대한 인식과 이용행태 차이를 고려하여, 노인에게는 노인세대가 필요로 하는 환경조성과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가치계층도에서 노인이 공공도서관을 이용함으로써 도달하는 가치에는 만족감, 성취감, 삶에 활력이 생김 등이 있었다. 이러한 가치에 대하여 노인 관련 선행연구에서는 노년기 역할 상실로 인하여 발생하는 정서적 고갈, 자기존재감 상실을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사회적 기관으로서 공공도서관은 현재 고령사회로 인해 예견되는 노인 문제 해결에 기여 가능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넷째,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만 60세 이상 이용자의 속성, 혜택, 가치는 ‘노인’이라는 하나의 범주에서 공통된 점이 있기도 하였으나, 개인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앞으로는 개인이 추구하는 가치나 삶의 양식이 더욱 다양화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연령을 기준으로 하나의 집단을 규정하기보다는 삶의 양식, 이용행태에 따른 요구를 분석하고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고령사회를 구성하는 신노년은 높은 학력과 경제력을 바탕으로, 노년기를 의미있는 활동을 하면서 시간을 가치 있게 보내고 싶어한다. 향후 노인을 위한 공공도서관 정책과 서비스 전략을 수립할 때에는 지금과 같이 지식정보 취약계층으로서 노인을 이해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지식, 경험, 활동성을 가진 인적자원으로서 노인을 이해하고, 노년기 삶을 유의미하게 보낼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ue system of public library users of over 60 years old as the number of the elderly using public library has been increasing gradually as Korea enters aged society in 201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many researches on how public libraries offer good services to the elderly based on their needs. However,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on why the elderly use public libraries, and what benefits and values they get from using public libraries. For this study, the elderly is defined as person aged over 60 years o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ason why the elderly in an aged society called ‘new senior’ use public libraries and to visualize the value system. This is based on Rokeacah's (1968) view that value dominates user behavior and consequently,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predictor of behavior. This study introduced Reynolds and Gutman's (1988) Means-end Chain Theory (MEC) and the concept of involvement. The value system was largely investigated through following methods. First, it was done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FGI)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second, a questionnaire survey which is a quantitative research. Since there is no research that visualize the hierarchy value map (HVM) in public library users'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with quantitative research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FGI based on soft-laddering method as a preliminary survey and then conducted survey with structured question of hard laddering method. The preliminary survey was disseminated to the public library according to the ideal case selection method, and three participants from one public library in Seoul were grouped into one group and conducted four times with a total of 12 FGI. After this preliminary survey, questionnaire survey collected 306 valid responses from the 15 public libraries with more than 30,000 adult users in Seoul without duplication in the boroug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the frequency of the questions related to the population sociological background and the use behavior of the public library, and 11 involvement items that used semantic classification scale determined 6 items as the analysis target after test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questions about the reason for using public libraries were analyzed in the order of writing summary code, creating implication matrix, determining the level of cut-off value, and visualizing HVM. After visualizing the hierarchy value map of all respondents, using books was the most important attribute, while participating in lectures and programs, and using of newspapers and magazines were the main attributes. Consequences that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attributes were the acquisition of new knowledge, self-reflection, and spending time meaningfully. Finally, the value reached was self-satisfaction, a sense of accomplishment, fun and pleasure, and mental and physical health. Regarding the as a ladder, the ladder with the highest connection was , while , and were also high. Also,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according to sex, age, level of involvement, and activity level. For women, in addition to the use of books, participation in lectures and programs, and the ability to meet people were main attributes. In the HVM divided by age 65 and over and under 64, those aged 60 to 64 said that participating lecture and the program was the attribute of public library use, after the use of books. On the other hand, those aged 65 and over said that reading newspapers and magazines is the main attribute, followed by the use of books. Additionally, for those aged 65 and over responded that the consequences to mental / physical health are the main determinants of public library uses that is not present to persons under 64 years of age. In the results of the high involvement group and the low involvement group according to the level of involvement, the higher the involvement level of the public library in the respondents' life after 60 years of age, the more diversified the attributes, and more consequences appeared and connections were much stronger. Based on the current participation in economic, social, and religious activities, when high active and low active groups were divided, the main attributes and the values ​​were the same in both groups. However, as for the consequences, the high active group said that being helpful in doing their work and being able to have a variety of experiences are main consequences of public library use, which was different in the lower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following implications could be found about the role of public libraries for the elderly and the features of the elderly library users. First, for the elderly who are currently using public libraries, public library use was part of their life and lifestyle.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spending leisure time more meaningfully than using the public library was because of some information needs. Second, elderly users of the public library perceived the traditional function of the library as a main feature of the public library. The pleasant environment favored by many library users today was a satisfactory part of the elderly, but it was not the property itself.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public libraries to provide the environment and services needed by the elderly generation,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nd use behavior of public library functions by user age. Third, in the hierarchy value map, the values reached by the elderly by using public libraries included satisfaction, sense of accomplishment, and vitality of life. These values are supposed to compensate for the los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loss of self-existence due to loss of old age role, as suggested in previous research. Therefore, as a social institution, public libraries can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solving the problem of the elderly that is predicted by the aging society at present. Fourth, the attributes, consequences, and values ​​of public library users over 60 years old are common in one category of 'elderly', but they are different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prepare the needs according to the style of life and usage patterns, rather than defining one group based on age, because the values ​​and lifestyle of individuals are expected to be more diverse. Fifth, new elderly generation called ‘new senior generation’ that constitute an aged society want to spend their time worthwhile in meaningful activities based on their relatively high educational background and economic power. Therefore, when establishing policies and service strategies for elderly users in the future, public libraries should understand the elderly as a human resource with knowledge, experience, and activity, rather than as an information-poor, and present directions so that they can spend their later life meaningful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