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8 Download: 0

음악학 연구자의 정보요구 분석에 의한 연구자원 이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음악학 연구자의 정보요구 분석에 의한 연구자원 이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Research Sources through Analysis of Researchers’ Information Needs in Musicology
Authors
홍인경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지현
Abstract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use of information by researches in various fields of academia to identify the users’ information needs and to ensure that appropriate information sources are provided. Recent studies have also examined the change in the information needs and in the use of academic researches of electronic resources and information sources due to the increasing influence in the digital age. However,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written on the use of information and on the users in the field of music. These studies mostly focused on music theories and musical performing using various types and contents of information sources. Due to the need for such research, it is sought to find ways to promote the use of information sources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of musicology by understanding the information needs of researches as well as the current status of using the information sources. To achieve this goal, a review of literature and cases studies was done.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 researchers was conducted to comprehensively analyze and grasp the present situation. The review of literature identified the need to scrutinize and organize the prior studies on the user’s needs and theire use of information in the local music setting. Moreover, it identified the need to provide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usicology research sources and trends. With a variety of online sources available in the digital age, musicologists are utilizing the internet to easily retrieve information from specialized or professional music field. Accordingly, case studies on domestic and foreign online sources that provide key information as the basis for the study of musicology were selected. The various aspects of the search system, such as the range, content, and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e six examples of foreign information sources that were examined are: Répertoire International des Sources Musicales (RISM) - a music heritage list database; Répertoire International de Littérature Musicale (RILM) – a music literature list database; Oxford Music Online – a music dictionary database; International Music Score Library Project (IMSLP) – a free music score database; Naxos Music Library – a streaming music database; and VifaMusik – a music and musicology portal. For Korea, the two cases that were analyzed are the Korea Digital Archives for the Arts and the Digital Archive of Performing Arts. These two institutions supply information on culture and arts, including music.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information needs and usage of researches in musicology, five graduate schools, which have both masters and doctorate courses, were chosen among the domestic graduate schools. Full-time professors, graduate students and part time lecturers were interviewed. Th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from 2 October until 9 November 2018.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s concentrated on the interviewees’ needs and usage of information, their recognition of the values of academic sources on music, the problems encountered and improvement proposed for information sources.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and examples of information sources, the current status of musicology research was identified. The results of the comprehensive analysis are as follows. Musicology begins with an objective and scientific nature that gradually expands its scope and methods, adapting to various methodologies as the time changes. The recent trend of research has been expanding from the center of Western art music to the trend of integration among academic institutions, including non-Western music. Music research resources include several types of music with both primary and secondary data that have important significance in the study. In recent times, digitization of research resources has made it very easy to use and access resourc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alyzed foreign sources are that they collect music resources based on the clear purpose of providing information resources and organize the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resources. Also, through detailed search system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resources, the users were able to access various resources and provided with various services and information using SNS and blogs. In Korea, there is no information source specialized in the music field, so the resources are insufficient in quantity, mainly focusing on performance record and contemporary creative music. Thus, the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is not equipped, which is not reflected in the contents and search system. The information needs and usage characteristics of researchers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re as follows: First, they require a wide range of resources such as literature, music score, sound and video, and various types of resources from the primary and secondary sources. Second, in accessing information sources, after searching across portal sites and affiliated library sites, individual information sources and resources were used. Third, the information sources considered primary locally and internationally are different from the ones the researchers actually used. in the usage of information sources locally and internationally, as evaluated by the music researches. These differences are whether domestic resources are included, the academic institutions have database subscriptions, and the ease of use, search, and acces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local and international major music information sources and the analysis of the use of these sources by musicologists, three ways of utilization of using information sources were suggested. First, it is imperative to collect and organize resources. This is to broaden the use of information sources by gathering resources, expanding the range and availability of resources to reflect the trends in musicology, classifying them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and digitizing the collection. Second, the promotion of resources and educating the users is required. It will lead to increase in the awareness of uses and utilization of information sources by promoting online and offline information sources, including information search and information source use. Third, a librarian specializing in music is needed. It is expected that information service needs will be increased for the detailed field, and a professional librarian with musical subject knowledge should be placed. Special librarians, special libraries, and cultural arts institutions should cooperate so that information resources should be utilized and services must be diversified. This study could be used to provide information services for university libraries, special libraries and cultural and arts organizations that provide music and professional information services, including musicology.;문헌정보학 분야에서는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파악하여 적절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학문 분야 연구자들의 정보요구와 정보이용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디지털 형태의 학술연구자원이 보편화 되면서 이로 인한 학술연구자들의 정보요구와 이용의 변화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음악을 이론적으로 연구하는 음악학을 포함한 음악 분야의 이용자와 연구자원 이용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학 분야와 해당 분야 연구자원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의 정보요구와 이용현황을 파악하여 음악학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는 연구자원의 이용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사례연구, 음악학 분야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그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는 이용자의 정보요구와 이용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음악 관련 분야의 정보이용에 관한 연구를 정리하여 국내 음악 분야에 대한 이용자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요 문헌과 선행연구를 정리하여 음악학 분야와 연구자원 및 최근 연구 동향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정보서비스 제공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음악학 연구자들이 인터넷을 통해 활용할 수 있는 전문적인 음악 분야의 연구자원이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음악학 연구의 바탕이 되는 주요 정보를 제공하는 국내외 온라인 연구자원 사례를 선정하여 제공되는 정보서비스의 범위와 내용 및 검색시스템의 특성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국외 연구자원은 음악원전목록을 제공하는 RISM과 음악문헌목록 데이터베이스 RILM, 음악사전데이터베이스 Oxford Music Online, 무료악보데이터베이스 IMSLP, 음악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Naxos Music Library, 음악 및 음악학 포털 ViFaMusik의 6개 사례이다. 국내사례로는 음악을 포함한 문화예술 분야 연구자원인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와 공연예술디지털아카이브의 2개 사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인 음악학 분야 연구자들의 정보요구와 이용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 대학원 중 음악학 석·박사 과정이 운영되는 5개 대학원을 선정하여 전임교수와 강사, 대학원생 16명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심층인터뷰는 2018년 10월 2일부터 11월 9일까지 진행되었다. 음악학 연구자의 정보요구와 이용현황, 음악학 연구자원의 가치에 대한 인식 및 연구자원 이용의 문제점과 개선에 대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음악학 분야와 연구자원의 특성이 반영된 연구자원 사례와 심층면담을 통해 살펴본 음악학 연구자의 연구자원 이용현황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음악학은 객관적, 과학적 성격의 학문으로 출발하여 시대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방법론을 받아들이며 그 연구 범위와 방법을 점차 확장해가고 있다. 최근의 연구 동향은 서양예술음악 중심에서 벗어나 비서구 음악과 대중음악 등 모든 음악을 연구대상으로 포함하며 학제간 통합의 경향으로 확대되고 있다. 음악학 연구자원은 음악 고유의 성격을 갖고 다양한 유형을 포함하며 연구에 있어 1, 2차 자료 모두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최근에는 연구자원의 디지털화로 자원의 활용과 접근이 매우 용이해졌다. 분석한 국외 연구자원 사례의 특징은 연구자원 제공의 명확한 목적을 바탕으로 음악 자원을 수집하고 자원의 특성에 따라 체계화하여 제공한다는 것이다. 또한, 음악 자원의 특성을 반영한 상세한 검색시스템의 제공으로 이용자가 다양한 자원에 접근하여 이용하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SNS와 블로그 등을 활용한 정보 및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국내에는 음악 분야에 특화된 연구자원이 없어 자원이 양적으로 충분하지 못하고 주로 공연기록과 현대 창작음악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리고 음악의 특성에 따른 분류체계가 없어 효율적인 검색 및 브라우징 기능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었다. 심층인터뷰를 통해 분석한 음악학 연구자들의 정보요구와 이용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학 연구자들은 1, 2차 자료에서부터 문헌과 악보, 음향 및 동영상 등 광범위하면서 다양한 유형의 자원을 필요로 한다. 둘째, 이들은 연구자원의 접근에 있어 포털사이트와 소속기관 도서관 사이트를 통하여 전방위적인 검색을 수행한 후에 개별 연구자원을 이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연구자원의 이용에 있어 국내외에서 주요 연구자원으로 평가되는 것과 국내 음악학 연구자들이 실제적으로 이용하는 연구자원에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국내 자원의 포함 여부와 소속기관의 데이터베이스 구독 여부, 이용과 접근 및 검색의 편이성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내외 주요 음악 연구자원에 대한 분석과 음악학 연구자의 이용현황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음악학 분야 연구자원의 이용 활성화 방안을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자원의 수집과 체계화가 필요하다. 자원의 수집과 발굴, 음악학 연구 동향을 반영한 자원의 범위 확대, 음악 자원의 특성에 따른 분류와 기술 작업 및 디지털화를 통해 연구자원의 활용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이용자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정보검색과 연구자원 이용 및 주제 분야에 대한 교육을 비롯하여 연구자원에 대한 온·오프라인 홍보를 통해 연구자의 인식을 높이고 연구자원의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할 것이다. 셋째, 음악주제전문사서의 양성과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문사서와 관련 기관 간의 협력이 필요하다. 음악학과 같은 세부 전문분야에 대한 정보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음악 주제지식을 갖춘 전문사서의 양성이 요청된다. 또한, 전문사서와 전문도서관, 문화예술기관 등의 협력이 이루어져 연구자원이 다양하게 활용되고 서비스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음악학을 포함한 음악 분야 연구자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학도서관 및 관련 전문도서관과 문화예술기관의 정보서비스 운영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