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1 Download: 0

반복적인 우측 단위근 방식을 이용한 한국 주식시장의 버블 존재여부 검정

Title
반복적인 우측 단위근 방식을 이용한 한국 주식시장의 버블 존재여부 검정
Other Titles
Testing for Bubbles in Korean Stock Markets Using Recursive Right-tailed Unit Root Method
Authors
손지영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주식 시장의 버블 유무를 확인하고, 그 발생과 붕괴의 시점을 파악하는 것에 있다. 주식 가격의 버블은 시장의 비효율성으로, 이는 곧 시장참여자들의 혼란으로 이어진다. 이를 해소하고, 안정적으로 주식 시장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버블을 제대로 규명하고, 적절한 대응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논문은 Phillips et al(2015)에 의해 제안된 반복적인 우측 단위근 검정 방식(Backward sup DF test)을 이용하여 버블 여부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해당 방법은 일반적인 단위근 검정 통계량, 공적분 검정 통계량과 달리 버블의 발생과 소멸의 구체적인 시기를 파악할 수 있으며, 그 검정력 또한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 주식시장의 대표적인 종합지수 KOSPI, KOSDAQ과 개별 섹터지수 KOSPI 200 헬스케어, KOSPI 200 생활소비재, KOSDAQ 150 생명기술, KOSDAQ 150 정보기술 데이터를 사용하여, 전반적인 주식 시장과 버블 논의가 활발한 산업 분야의 버블을 검정하였다. 그 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 결과, 대표적인 종합 지수인 KOSPI, KOSDAQ에서 유의미한 버블이 발생했다고 볼 수 있었다. KOSPI의 경우 버블 발생 당시 미국 금리 인상에 대한 기대로 금융관련주가 과열되어 KOSPI의 버블을 주도하였다. KOSDAQ의 경우에는 한국의 인터넷주가 미국의 인터넷주를 넘기는 과열을 보이던 시기가 버블 기간으로 나타났다. 반면, KOSPI 200 헬스케어와 KOSPI 200 생활소비재 지수에서는 버블이 관측되지 않았다. KOSDAQ 150 생명기술 섹터 지수에서는 유의미한 버블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당시의 제약·바이오 주 관련 과열론을 뒷받침할 수 있었다. 또한 KOSDAQ 150 정보기술에서도 2개월이 넘는 기간동안 버블이 발생하다 붕괴하였다. 이는 스마트폰 산업과 동반 성장하던 관련 부품산업이 애플의 실적 악화, 삼성전자의 판매량 둔화와 같은 악재에 따라 급락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이처럼 BSDF 검정 방법은 버블의 여부를 검정할 뿐만 아니라 버블의 발생과 붕괴 시점을 파악할 수 있다. 자산 가격의 버블은 해당 시장의 혼란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국가 경제 전체에도 불안정을 가져온다. 따라서 버블에 제대로 대응하는 것은 국가경제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버블의 존재와 기간을 명확히 규명함으로써 정부는 자산 시장에 적시성 있는 정책을 실시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시장의 혼란을 해소할 수 있다. 안정적 시장환경이 조성된다면 투자자들은 장기적 안목으로 투자를, 기업은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아 원활한 자금조달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버블을 명확히 규명하고 적절히 대응하는 것은 시장참여자의 적극적 시장참여를 독려하여, 궁극적으로는 국가 경제의 안정적 성장에 기여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sence of bubble in the Korean stock market and to identify the timing of its occurrence and collapse. Stock price bubbles indicate the market inefficiency, which leads to confusion among market participant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d operate the stock market steadily, diagnosing the bubble accurately and making responses accordingly is highly important.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s to test the bubble using the Backward sup DF test proposed by Phillips, Shi and Yu (2015). Unlike general unit root test statistic and cointegration test statistic, this method has been reported to be able to examine the specific timing of occurrence and disappearance of bubble with high test power. By using KOSPI and KOSDAQ, the leading composite index of the Korean stock market, and individual sector index KOSPI 200 Healthcare, KOSPI 200 Consumer Goods, KOSDAQ 150 Biotechnology and KOSDAQ 150 Information Technology Data, this study tests the bubble in the stock market and the industrial domains where active bubble-related discussions are underway. The results of the test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bubbles occurred in KOSPI and KOSDAQ, the representative composite indexes. In the case of KOSPI, the bubble was dominated by finance-related stocks overheated due to the expectation of the US interest rate hike at the time of the bubble occurrence. In the case of KOSDAQ, the period during which the Korean Internet stocks overtook the US Internet stocks was found to be the bubble period.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bubble in the KOSPI 200 Healthcare and KOSPI 200 Consumer Goods, the sector indices of KOSPI. However, the KOSDAQ 150 Biotechnology sector index, a KOSDAQ sector index, produced a significant bubble, which provided the evidence of the overheating of the pharmaceutical and biotechnology-related stocks at the time. Also, in the KOSDAQ 150 Information Technology, bubble occurred and then collapsed for over two months. The sharp decline seemed to be attributed to negative factors such as Apple's earnings deteriorating and Samsung Electronics' sales slowing regarding the share price of the relevant parts industry which used to grow along with the smartphone industry. As such, the BSDF test method not only verified the presence of bubble but also the timing of its occurrence and collapse. The asset price bubble causes not only the market confusion but also the national economy destabilization as a whole. Therefore, responding properly to the bubble is the most central task for stable operation of the national economy. By clearly identifying the presence and duration of the bubble, the government is able to implement timely policies on the asset market, helping to resolve market turmoil. When a stable market environment is established, investors can make long-term investments, and companies can be well-evaluated and smoothly finance themselves. Hence, clarifying the bubble and properly responding to it can encourage market participants to actively take part in the market, ultimately contributing to the stable growth of the national econom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