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5 Download: 0

이중섭의 작업에 나타난 문학적 특성

Title
이중섭의 작업에 나타난 문학적 특성
Other Titles
Literary Features observed in the Works of Lee Joong seop
Authors
윤아영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난지
Abstract
본 논문은 20세기 전반기의 한국이 근대기를 통틀어 미술과 문학이 가장 밀접하게 교류하는 문화가 형성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 시기 활동하였던 이중섭(李仲燮, 1916-1956)의 작품에 내재된 문학적 특성들의 다양한 면모를 살펴본 연구이다. 이중섭이 출생한 1910년대부터 가장 비약적으로 활동한 1950년대까지 한국에는 일제강점과 제2차 세계대전, 한국전쟁으로 인한 혼돈의 국면이 전개되는 동시에 미술과 문학이 밀착된 독특한 문화가 확산되었다. 그림과 글을 일체시하는 동양의 전통적 예술관이 남아있는 가운데 미술과 문학을 밀접한 장르로 여기는 서구예술경향들이 유입되면서 새로운 미술로의 이행이 전개된 것이다. 특히 이 시기 화가와 문인들의 관계는 인적교류의 차원을 넘어 공동활동으로 확장되었는데, 이는 미술과 문학을 접목시키는 다양한 예술적 시도의 토대가 되었다. 이러한 급격한 환경의 변화 속에서 이중섭은 두 장르를 자유롭게 넘나드는 예술적 사유를 견지할 수 있었다. 그는 서예교육과 전통미술에 대한 관심을 통해 이미지와 문자를 일체시하는 동양의 전통미학을 습득하였으며, 1930년대 일본 유학을 통해 낭만주의, 다다이즘 등 장르 간 경계를 허문 서구의 예술동향들을 경험했다. 특히 이 시기 다방은 서구예술동향의 영향으로 화가와 문인들이 교류하는 문화적 요충지로서 활용되었는데, 이는 이중섭이 문인들과 교류하며 문학적 영향을 수용하고, 공동활동에 참여하는 주요 경로가 되었다. 한편 화가와 문인들의 연대는 정치적 입장의 차이에 따라 그 양상을 달리하며 조직적으로 전개되었다. 순수예술론을 추구한 예술가들은 미술과 문학의 고유한 특성에 따른 본질적인 차원에서의 융합을 꾀하였고, 대조적인 입장에 있었던 사회주의 진영의 예술가들은 사상의 대중화를 목표로 공동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비정치적 순수예술론을 추구한 이중섭은 서구모더니즘의 답습을 경계하고 전통을 통한 한국의 독자적 미술을 수립하고자 했다. 그는 예술적 가치관을 공감대로 월남 문인들과 긴밀한 유대관계를 맺었으며, 이들을 통한 출판미술의 참여는 그가 미술과 문학의 접목을 직접적으로 발현하는 계기가 되었다. 즉 이중섭의 예술관은 미술과 문학의 융합을 접점으로 동양과 서양, 전통과 현대의 예술적 사유를 아우르는 것이었으며, 이러한 예술관은 그의 전 시기 작품들에서 미술과 문학이 맞닿는 다양한 양상들로 드러난다. 먼저 이중섭의 작품에서 미술과 문학의 만남은 그 표현의 도구인‘이미지’와‘문자’를 혼용하는 양상을 통해 확인된다. 이는 한글, 한문 등 문자의 형태를 변형하여 이미지로 환원하거나 회화적 기법을 활용해 문자의 시각적 측면을 강조하는 방식, 글과 그 내용을 형상화한 이미지가 결합하는 방식 등으로 구현된다. 또한 도서 ․ 신문 ․ 잡지를 망라한 이중섭의 삽화는 문학적 텍스트를 형상화하였다는 점에서 문학과의 관련성을 보다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예다. 특히 도서표지화는 대상 문학작품에 근원을 둔 소재들을 활용하여 그 내용을 상징적인 이미지로 표현한 것인데, 이는 독자에게 문학의 서사를 압축적으로 전달하는 일종의 시각 기호라 할 수 있다. 이중섭 작업의 문학성은 문학의 구현방식인 서사를 통해서도 부각된다. 동양의 도교, 불교, 토속신앙에 뿌리를 둔 설화문학으로부터 모티프를 차용한 그의 그림들은 설화문학의 출발점인 애니미즘사상과 유토피아적 세계관을 환기한다.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동식물들은 고대문헌에 수록된 설화 ․ 신화에서 숭배와 희생을 상징하는 애니미즘의 대상들이며, 작품 속 환상적 풍경은 가족과의 재회를 꿈꿨던 그만의 유토피아적 도해인 동시에‘무릉도원’,‘십장생도’와 같은 전통설화의 이상향을 차용한 것이다. 한편 이중섭 작품의 서사는 그의 자전적 내용을 통해서도 구현된다. 가족과의 일상, 추억 등을 형상화한 그의 작품들은 시각이미지로 문학의 언어를 대체한 일종의 자서전적 회화라 할 수 있으며, 그의 작품에는 자서전문학의 조건과 부합하는 여러 특징들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소는 자신의 심리를 투영한 대상으로서 이중섭이 처한 상황과 감정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처럼 경험과 감정이 투사된 작품들 간의 상호작용은 이중섭의 자서전적 서사를 더욱 입체적으로 전달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논의를 통해 그간 이중섭 작업의 외적 요소로만 다루어져왔던 문학과의 실체적 연관성을 드러내고자 했다. 이러한 목표는 미술과 문학이 밀착된 당대의 사회 ․ 문화적 맥락 속에서 이중섭의 작업 안팎을 살피고, 그의 작품에 내재된 문학적 특성들을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과정을 통해 규명되었다. 이는 그 내용과 양식의 한국적 의미에 집중되어왔던 기존 연구의 관점을 확장하고 이중섭 작업의 새로운 면모를 드러낸 시도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본고는 지금까지 상대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던 아카이브 작업들까지도 연구의 대상으로 포함시켰는데 이를 통해 이중섭 작업에 대한 종합적인 고찰을 시도한 것 역시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culture which art interacts with literature in the closest manner throughout modern age of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of Korea, and inquired into a variety of aspects of literary features inherent in the works of Lee Joong seop (1916-1956). From the 1910s when Lee Joong seop was born to the 1950s when he carried out activities with rapid progress, Korea was in a constant whirl of chaos by the Japanese occupation,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Korean War but, at the same time, the country saw the proliferation of unique culture in which art is closely attached to literature. While the traditional view of art of the Orient identifying drawing with text still remained, the Western art tendency considering the close link between art and literature was introduced. This encounter led Korean art to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new art.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sts and literati expanded towards collaborative activities beyond personal exchanges and this served as a base for diverse artistic trials combining art with literature. In the middle of such drastic changes of the environment, Lee Joong seop could hold on to artistic reasoning and contemplation while freely crossing over two genres. He learned traditional aesthetics of the Orient identifying image and text through his deep interest in calligraphic education and traditional art. During his study in Japan in the 1930s, he was able to experience the Western art trends blurring the boundary of genres such as romanticism and Dadaism. In particular, tea rooms of the time were used as a strategic point of culture where artists and literati exchange one another by the influence of the Western art trends. Tea rooms became an important route allowing Lee Joong seop to exchange with literary people, accept literary influences and participate in collaborative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 alliance between artists and literati systematically developed while varying its aspec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ir political position. Artists pursuing pure art theory tried convergence from the essential dimension according to the intrinsic features of art and literature. On the other hand, artists from the socialist camp, who were on the opposite position, developed collaborative activities aiming at popularization of thought. During this process, Lee Joong seop, who pursued non-political pure art theory, avoided the mere imitation of the Western modernism and intended to establish unique art of Korea based on tradition. On the basis of artistic value as a bond of sympathy, he created a close ties with the Vietnamese writers and his participation in publication art through them gave momentum to directly display the combination of art and literature. In other words, his view of art was to encompass artistic reasoning or contemplation of the Orient and the Occident and tradition and modernity on the basis of the fusion of art and literature as a point of contact. This view of art is revealed in a variety of aspects in his works showing how art merges into literature. In the first place, the encounter between art and literature in the works of Lee Joong seop can be found through the facet allowing the blending between “images” and “letters” as a tool of expression. This is realized by the method emphasizing the visual aspect of letters and the method combining the letters with the embodied images of the text by modifying the form of letters such as Hangul and the Chinese characters and substituting them for images or applying pictorial techniques. Moreover, the illustrations of Lee Joong seop embracing books, newspapers and magazines can be a direct example of the correlation with literature in the sense that they embodied the literary text. In particular, his book cover paintings use materials based on the corresponding literary work and they symbolize the content of the story. This is considered a sort of visual symbols delivering the narrative of literature to readers in a comprehensive manner. The literary value of works of Lee Joong seop is also highlighted through narratives, which is the realization method of literature. His paintings with motifs borrowed from literature of narrative tales rooted in Taoism, Buddhism and folk beliefs remind us of animism and utopic view of the world, which coincides with the starting point of literature of narrative tales. Animals and plants appeared in his works are the very objects of animism symbolizing worship and sacrifice in narrative tales and myths registered in the ancient literature. Besides, the fantastic landscape in his works is not only the utopic diagram of his own which he dreamed of reencounter with his family, but also the images borrowed from the traditional folktales such as “The Peach Blossom Land” and “Sipjangsaengdo (Ten Longevity symbols painting)”. On the other hand, the narrative in his works is also realized through the autobiographic content. His works materializing everyday life with his family and memory considered a sort of autobiographic paintings substituting the literary language for visual images. His works are inherent in many characteristics meeting the conditions of autobiographic literature. Besides, the bulls, the repeated theme of his works, are considered objects reflecting his psychology and their aspects vary according to his circumstances and emotions. Like this, the interaction among the works projecting his experiences and emotions is able to deliver his autobiographic narrative in a more vivid and solid manner. Through this inquiry, this study intended to manifest the substantive correlation of his works with literature, which has been dealt with only as external elements of his works. This objective was clarified through minutely inquiring into his works 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time when art was closely linked with literature, and concretely revealing literary elements and phases inherent in his work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allows the broadening of the perspectives of the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Korean significance of the content and style, and it is a trial displaying new traits of the works of Lee Joong seop. Furthermore, this study has deeper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t tried comprehensive and general considerations on the works of Lee Joong seop through including even archive works, which have not been covered so fa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