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9 Download: 0

마파(Marfa) 이주 이후의 작업을 중심으로 본 도널드 저드(Donald Judd)의 통합적 예술관

Title
마파(Marfa) 이주 이후의 작업을 중심으로 본 도널드 저드(Donald Judd)의 통합적 예술관
Other Titles
Donald Judd's Integrative View of Art in the Works after Migration to Marfa
Authors
박선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난지
Abstract
본 논문은 도널드 저드(Donald Judd, 1928∼94)의 작업에서 통합적 예술관이 구현되는 양상을 살펴본 연구이다. 저드는 1960년대 형식주의 모더니즘을 벗어나고자 했던 혼성적인 미술 경향들의 영향 속에서, 회화, 조각, 공간 디자인으로 작업을 확장해나가며 통합성을 중시하는 독자적인 시각을 확립하였다. 이러한 예술관은 1973년, 그가 당대 미술의 중심지였던 뉴욕을 떠나 텍사스 마파(Marfa, Texas)로 이주한 이후 더욱 명확히 발현되었다. 그는 작업의 범위를 넓혀 삼차원 작품뿐만 아니라 공공 조각, 건축 설계, 가구 디자인, 무대 디자인 등 다방면에서 창작 활동을 전개하였다.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된 이 작업들은 상호 영향 관계 안에서 결속되어 장르 통합적인 특성을 보여주며, 더 나아가 일상의 영역으로까지 확장되었다. 그러나 저드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그가 미니멀리즘의 대표적 인물로 평가되어온 만큼, 미니멀리즘 조각의 맥락에서 1960년대 초‧중반의 작업에 집중하거나 특정 연작, 프로젝트에 국한된 논의가 주를 이루었다. 특히 마파 이주 이후에 다양한 분야로 확장된 그의 작업들을 포괄하여 일관된 관점으로 해석한 경우는 보기 드물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매체와 장르를 아우르며 전개된 저드의 마파 이주 이후(1973∼94)의 작업들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안에 공통적으로 내재된 통합적 예술 개념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우선 저드가 색채를 통해 회화와 조각의 통합을 꾀한 작업들을 살펴보았다. 그는 마파 이주 이후, 목판화, 삼차원 작품, 무대 디자인 등 여러 매체를 오가며 풍부한 색채, 새로운 재료, 정교해진 조형 어휘를 활용하여 색채 실험을 심화시켰다. 그는 산업용 도료를 입힌 알루미늄 상자를 다양하게 조합한 다색 연작(multicolored works)과 판화 연작에서 색채의 상호작용을 탐구하였으며, 무대 디자인 작업에서는 색채 실험을 건축적 규모로 확장하였다. 1980년대 후반부터는 양극산화 알루미늄(anodized aluminum), 코르텐(cor-ten) 등의 금속 재료를 삼차원 작품에 도입하여, 색채가 빛의 반사효과에 의해 작품 외부로 확산되면서 전시 공간과 시각적으로 통합되도록 하였다. 그는 색채를 실제 공간에서 선, 면, 공간 등 다양한 국면으로 드러냄으로써, 전시 공간 전체를 삼차원의 회화로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저드는 대규모 야외 설치 작업과 건축 작업을 통해 조각적 공간을 건축적 차원으로 확장하였다. 1970년대, 조각의 대형화와 옥외 설치가 일반화된 흐름 안에서 그는 자연 환경이나 도시 공간을 배경으로 한 대형 콘크리트 작업을 시도하였다. 이 조각들은 열린 구조를 통해 지형적 요소나 주변 풍경을 수용함으로써 건축물과 같은 특성을 드러냈다. 더불어 건축 분야로 작업 영역을 넓힌 그는 자신의 삼차원 작품과 완벽히 통합된 총체적인 공간을 조성하였다. 건물복합단지 계획에서는 도시 공간의 구조적 특성과 역사적 맥락을 고려하면서 자신의 조형 어휘를 건축적인 규모로 확대 적용하였다. 그는 작품을 둘러싼 환경과의 통합이라는 예술적 목표를 건축과 도시계획으로 확장시켜 나간 것이다. 마지막으로 저드는 가구 및 공간 디자인 작업을 통해 일상과 예술을 통합하였다. 마파 이주 이후, 그가 다양한 재료와 형식으로 디자인한 가구들은 형식, 제작 방법, 전시 및 판매 과정 등에서 그의 미술 작품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닌다. 또한 그는 이 둘을 주거 공간, 작업 공간 등에 신중히 설치함으로써 예술적 공간과 삶의 공간을 일치시키려고 하였다. 그가 마파 곳곳에 조성한 공간들은 미술, 가구, 건축 공간이 상호작용하는 일종의 총체예술(gesamtkunstwerk)로서, 궁극적으로는 예술과 삶을 통합하고자 한 그의 예술적 비전을 보여주는 것이다. 저드는 1960년대 미니멀리즘을 이끌며 대지 미술(Land Art), 장소 특정적 미술(Site-Specific Art), 제도비판(institutional critique) 미술 등 다수의 미술 경향에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흐름 가운데 작품 활동의 무대를 옮긴 그는 상이한 장르들을 결속시키면서 예술을 실제 공간, 삶의 영역으로 확대하는 독자적인 행보를 보여주었다. 본 논문은 저드의 통합적 예술관을 중심축으로 하여 마파 이주 이후의 미술, 건축, 디자인 작업 등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지금까지 일부 작품에 치중되었던 연구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제한적으로 논의되었던 작가의 미술사적 위치를 재정립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thesis examines how an integrative view of art is realized in the artworks of Donald Judd(1928∼94). Under the influence of mixed art tendency to break away from Formalist Modernism in the 1960s, Donald Judd developed an independent view of valuing integrity by expanding to painting, sculpture, and space design. Such view of art was more clearly expressed after he left New York, the center of art at the time, and moved to Marfa, Texas in 1973. He widened his scope of work and led creation activities in various fields such as three-dimensional works, public sculpture, architecture design, furniture design, and stage design. These works were carried out simultaneously, united within a mutually influential relationship, and were even expanded to daily life. However, previous studies on Judd focused on his works in the early and mid-1960s in the context of Minimalist sculpture or were confined to certain series and projects since he is evaluated as a representative figure of Minimalism. Especially,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researches that encompass his works that expanded into various fields after he moved to Marfa and interpret them from a consistent viewpoint.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intended to compare and analyze Judd's works that were created across various media and genres after he migrated to Marfa(1973∼94) and sheds light on the concept of integrative art that is common inside the works. First, the study examines the works that Judd aimed to integrate painting and sculpture through colors. After migrating to Marfa, he deepened color experiment using rich colors, new materials, and elaborate formative vocabulary across various media such as woodcut, three-dimensional works, and stage design. Judd explored the interactions between colors in woodprint series and multicolored works that combined aluminum boxes wearing industrial paint. Judd expanded color experiments to an architectural size in stage design work. From late 1980s, he adopted metals such as anodized aluminum and cor-ten to three-dimensional works and made colors to integrate visually with display space as colors spread outside the works by reflex effect of light. Judd sought to realize display space in three-dimensional painting by revealing colors to various states such as line, surface, and space in an actual space. In addition, Judd expanded sculptural space to an architectural dimension through large-scale outdoor installation and architectural works. Judd attempted at large concrete works based on natural environment or urban space while sculptures became bigger and outdoor installations became more common in the 1970s. These sculptures showe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by accepting topographical elements or surrounding landscape through an open structure. Moreover, Judd expanded his scope of work to architecture and created a space that is perfectly integrated with his three-dimensional works. In a building complex plan, Judd expanded and applied his formative language to an architectural scale. Judd extended his goal of integrating artworks with nearby environment to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g. Lastly, Judd integrated daily life and art through furniture and space design. Furniture he designed using various materials and forms after migrating to Marfa are closely related to his artworks in terms of formal concerns, production processes, display, and marketing. He also tried to match artistic space and living space by carefully installing the furniture and artworks in residential spaces and workspaces. The spaces he created in Marfa were a kind of total art(gesamtkunstwerk) in which art, furniture, and architecture space interact with each other, ultimately showing his artistic vision to integrate art and life. While leading Minimalism in the 1960s, Judd offered potential to various art tendencies such as Land Art, Site-Specific Art, and institutional critique art. Amidst this flow, Judd moved the stage of his artistic activities and showed an independent path of expanding art to an actual space and a domain of life. By examining art, architecture, and design works after Donald Judd migrated to Marfa mainly through an integrative view of art, this study redefines the art historical position of artist which has been discussed little and expands the scope of research that has focused on few wor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