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난지-
dc.contributor.author최윤경-
dc.creator최윤경-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0:33Z-
dc.date.available2019-02-18T16:30:33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42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428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506-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박현기(1942-2000)의 비디오 작업에 나타난 범자연주의의 현대적 양상을 살펴본 연구이다. 박현기가 활동을 시작한 1970년대는 외래문화의 유입과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생활환경이 현대화되었지만, 사회의 불균형이 초래한 많은 문제들이 산재해 있던 시기였다. 독재정권은 국민들의 반감을 억제하고자 전통을 정책적으로 육성하였는데, 당대 미술에서는 이러한 시대 상황을 반영한 여러 경향들이 공존하고 있었다. 대학에서 미술의 신구(新舊)매체인 건축과 회화를 두루 섭렵한 그는 당대 한국미술의 다양한 경향들을 포괄하여 전통적 자연관을 통해 새로운 현실을 본 독특한 작업들을 선보였다. 이 같은 특징은 그가 작고한 2000년까지 이어졌으며, 테크놀로지의 발전에 따른 매체환경의 변화는 20여 년간 전개된 비디오 작업에서 주요한 계기가 되었다. 또한, 박현기는 음양사상, 구조주의 이론 등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의 경계를 넘나드는 사상적 기반 위에서 사회를 기호의 세계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는 미술 또한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는 사회적 산물이자 기호로 받아들였다. 이러한 시각을 바탕으로, 그는 당대 미술의 개념적 동향과 한국적 정체성 담론에 부응하면서도 단색화 같은 1970년대 주류 미술과는 다른 행보를 보였던 것이다. 박현기의 작업은 당대의 신매체였던 비디오가 캔버스를 대체한 경우로, 현대사회에서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구성하는 상호 대비되는 요소들이 화합하는 장(場)을 만들어내는 데 그 핵심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그의 작업에서 나타난 범자연적 만남의 새로운 양상들을 ‘실제와 가상’, ‘자연환경과 도시공간’, ‘정신과 육체’로 나누어 살펴보고, 테크놀로지가 작업의 내용에 변화를 가져온 측면과 함께 작품들의 사회·정치적인 의미를 조명하고자 했다. 작업 초반부터 박현기는 인간과 자연이 스크린을 통해 매개되는 새로운 현실의 국면에 주목하고, 촬영된 자연물의 영상을 그대로 스크린에 재생하여 반영된 이미지가 제3의 자연으로 존재하는 당대의 양상을 드러내었다. 이후 그는 영상을 실제 자연물과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작업을 시도하였는데, 고화질의 영상을 실제 자연물의 전면에 투사함으로써 가상이 현실에 침투한 혼합현실의 징후를 가시화하였다. 이와 더불어 그는 전시장에서 선보였던 작업들을 자연환경에 옮겨 놓거나, 그 반대의 상황을 연출하여 자연환경과 도시공간이 하나의 생태계를 이루면서 상호 조응하는 현상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나체로 진행된 박현기의 퍼포먼스는 인간을 공간의 구성요소로 보고, 현대인을 도시와 자연을 넘나들며 삶을 영위하는 문명화된 존재이자 자연 그 자체로 재현하고자 한 것이다. 1997년부터 테크니션과의 협업을 시작한 박현기는 이러한 현대인의 양상을 비디오그래피 작업으로 다양하게 형상화하였다. 이를 통해 현대인이 이미지와 텍스트로 환원되고, 무명(無名)의 자연으로 존재하는 새로운 현실을 드러낸 것이다. 나아가 그는 매스컴이 보도한 천재지변이나 전쟁 등의 영상물을 작업에 활용하여 관람자가 재난을 인류의 생존과 직결되는 생태계의 문제이자 사회·정치적인 사안으로 인식하도록 연출하기도 했다. 그는 또한 1997년과 1998년에 걸쳐 종교 도상과 자본주의 시대의 산물인 포르노 영상, 그리고 고전으로 평가되는 경문(經文) 등을 뒤섞어 놓은 작업을 다수 발표하였는데, 섹슈얼리티를 정신과 육체의 상생을 표상하는 주제로 부각한 것이다. 이는 자연의 본질이면서도 정신성이 화두가 된 1970년대에는 논의되지 않았던 주제로, 그는 정신과 육체, 성(聖)과 속(俗)을 하나로 아우르는 작업을 통해 성적 환희의 순간과 깨달음을 얻는 순간이 다르지 않음을 드러내었다. 이처럼 전통적 자연관과 당대의 테크놀로지라는 표면적으로는 상반된 내용과 형식이 상호작용하면서 새로운 리얼리티를 드러내는 그의 작업은 테크놀로지가 삶의 전반에 침투해있는 당대의 양상을 시각화한 것으로, 현대인이 ‘자생하는 자연’과 ‘인공에 의해 창조되는 자연’ 사이에서 다양한 형태의 자연적 대상물과 교감할 수 있는 새로운 인식의 틀을 제안한다. 본 논문은 범자연주의의 시각적 구현물이라고 할 수 있는 박현기의 비디오 작업을 당대의 현실을 반영하는 사회적 산물로서, 변화된 현실과 이에 따른 새로운 자연관을 드러내는 시대적 증표로 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The thesis analyzes the modern aspects of pan-naturalism represented in the video work of Park HyunKi (1942-2000). Park began his career in 1970s, a period of the rapid economic growth and an influx of foreign culture which modernized the Korean society's way of life but had strewn it with problems of social inequality. The autocratic regime incorporated traditions into its policies to contain the animosity of the citizens, and this historic backdrop was reflected by multiple artistic movements that coexisted at the time. Park's university studies ranged over a wide spectrum of architecture and painting, the old and the new medium of art. Having taken in varying art trends of the period, he gave births to unique art work that sees the modern reality through the traditional view of nature. Until 2000, his last year, such characteristic remained in his work. The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the ensuing shifts in media has created a momentum for his video art which unfolded for more than 20 years. Based on his ideological foundation which crossed over the boundaries of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and the East and the West by embracing concepts of yin and yang along with structuralist thoughts, Park perceived society as a realm of semiotics. Art, to Park, was a construct and a symbol of a society that mirrors the era and its changes. This view enabled him to show a different approach to the mainstream art of the 1970s such as dansaekhwa (Korean monochrome painting) while responding to the conceptual trend of contemporary art and the discourse on Korean identity. His work is the case where the video, a new medium of the contemporary, replaced the canvas. The key to this innovative work lies in creating a space where contrasting yet ambivalent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relation between 'human and nature' in modern society are harmonized. In this paper, new aspects of pan-naturalistic encounter in the work of Park HyunKi are examined in the context of 'the real and the virtual', 'natural environment and urban space' and 'body and mind'. This thesis, furthermore, aims to illuminate the socio-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work as well as what influences technology has had in the change of contents of his work. From the beginning, Park focused on recreating human and nature in a new reality mediated through a screen, using a reflected image as a third nature by reproducing the video of captured natural objects on a screen. He juxtaposed the real nature with images, producing an organic compound, and visualized the signs of a mixed reality - a reality where the virtual penetrates into the reality - by projecting a high-quality video image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natural object. In addition to this, he moved the works shown in the exhibition space to the natural environment, or directed the opposite situation, and presented a phenomenon in which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urban space form an ecosystem and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is process, a nude performance by Park HyunKi portrays that the artist sees human being as a component of a space, and understands modern people as civilized beings who are simultaneously a form of nature in itself that runs across the borders of city and nature. Park had begun to collaborate with technicians since 1997 and had variously portrayed these aspects of modern people via video work. It reveals a new reality in which modern people are reduced to images and texts, and exist as anonymous nature. Moreover, he used video clips such as those of natural disasters or war that were reported by the media to suggest viewers to recognize a disaster as an issue of ecosystem directly related to the survival of mankind, and as a social and political affair. He also published a number of works in 1997 and 1998 that blended icons of religion with pornography, a product of capitalism, and classic religious scriptures, to signify sexuality as a topic that symbolizes coexistence of body and mind. This is a topic that was not discussed in the 1970s, when the art society discussed heavily on the subject of the essence and the spirituality of nature. His work encompassed 'the mind and the body' and 'the holy and the secular' to reveal that the moment of sexual ecstasy is not different from that of enlightenment. The work of exposing the new reality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content and the form, the traditional view of nature and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day which seems contradictory on the surface, visualized the contemporary society where technology has penetrated into every aspect of life. It also proposed a new framework through which modern people can commune with various forms of natural objects between an 'artificially created nature' and a 'naturally grown nature'.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found in recognizing Park HyunKi's video work, a visual realization of pan-naturalism, as a product of the contemporary and as a mark in history that unveiled the change of time and the subsequent new view of na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박현기 작업의 미술사적 맥락과 사상적 배경 8 A. 비디오 아트의 미술사적 의미와 박현기 작업과의 관계 8 B. 1970년대 한국의 미술 동향과 박현기의 작업 14 C. 박현기의 세계관과 범자연주의 사상의 형성 22 Ⅲ. 비디오 작업을 통해 구현된 범자연주의의 현대적 변용 29 A. 자연과 테크놀로지의 조화 29 B. 자연환경과 도시공간의 조응 40 C. 정신과 육체의 상생 54 Ⅳ. 결론 65 참 고 문 헌 69 도 판 목 록 76 도판 82 ABSTRACT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0995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박현기의 비디오 작업에 나타난 범자연주의-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Pan-naturalism in the Video Art of Park HyunKi-
dc.creator.othernameChoi, Yoon kyung-
dc.format.pageiii, 10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