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진경-
dc.contributor.author정선희-
dc.creator정선희-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0:32Z-
dc.date.available2019-02-18T16:30:32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44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441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502-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전후 유럽과 미국 미술에 있어 만화 이미지가 동시다발적으로 등장하였다는 점에 주목하고, 1950-70년대 미술을 대상으로 작품에 등장하는 미국 만화 이미지에 함축된 정치·사회적 의미를 고찰한 연구이다. 이 시기 예술가들은 삶으로부터 예술을 분리하고 형식적 순수성을 강조한 전후 미술계의 조류에 대응하여 대중문화와 매스 미디어의 영향력이 강력해진 동시대 사회를 작품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이에 세계적으로 알려진 미국 만화 주인공과 내러티브를 전달하는 만화의 형식은 예술가들에게 주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었으며, 작품 안에서 다양한 표현방식으로 구현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 현대 미술의 전개에 있어 미국 만화 이미지가 중요한 차용요소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이를 심층적으로 논의한 학술적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만화를 차용한 일부 작가와 특정 예술 동향을 다루는 가운데 단편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에 본 논문은 1950-70년대 미술 전반에 걸쳐 나타난 미국 만화 이미지가 유럽과 미국 미술계 간의 역학관계 안에서 다양한 정치, 사회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음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에서 간과되어온 만화의 매체적 특성과 당대 미국 만화를 둘러싼 미국과 유럽의 정치, 사회적 맥락을 집중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작품과 연계해 공통적으로 읽어낼 수 있는 의미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1950년대와 1960년대 작가들은 미국 만화 이미지와 그 형식을 작품에 적극적으로 도입함으로써 전후 미술계를 지배한 형식주의 모더니즘 미학에 대한 도전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다. 통속적이고 상업적인 속성을 지닌 만화는 순수미술과 대중문화 사이의 이분법적 위계 구조로부터 탈피하고 기존 미술의 권위를 조롱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또한, 내러티브를 시각화하기 위한 만화의 고유한 형식은 미술에 있어 서술성을 부활시키고, 시각을 넘어선 다양한 감각적 경험을 창출하며 작품을 대하는 관람자의 태도에 변화를 가져왔다. 한편 작품에 차용된 미국 만화 캐릭터는 대중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도상이자 기호로서, 당대 사회와 긴밀한 관계를 맺는다. 특히 영국과 미국의 팝아트 작가들은 모험만화와 순정만화에서 재현되는 남성과 여성에 주목하여 당대 사회의 지배적인 젠더 규범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작품 안에서 베트맨과 원더우먼을 비롯한 영웅적 인물, 전쟁만화와 순정만화의 주인공은 냉전 체제 아래 사회적으로 요구된 이분법적인 젠더 구조를 드러내며, 남성과 여성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각이 미디어에 의해 가공되어 소비를 통해 체현되어지는 현실을 되돌아보게 만든다. 미키 마우스, 슈퍼맨과 같은 미국의 유명한 만화 캐릭터는 미국 대중문화를 대표하는 상징적 이미지로, 미국의 정치적이고 군사적인 행위들에 대한 비판적인 의미를 담고 있기도 한다. 냉전을 둘러싼 미국의 패권주의에 비판적 시각을 견지했던 작가들은 밝고 유희적인 성격을 지닌 디즈니 만화 캐릭터와 정의감 넘치는 모험만화 주인공들을 기존 만화와는 다른 맥락에 놓아둠으로써 만화의 내러티브에 숨겨져 있는 미국적 가치들을 폭로하고 미국의 정치적 행보를 풍자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본 연구는 1950-70년대 미술에 나타난 미국 만화 이미지가 정치,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권력 구조에 관계한 다층적인 의미를 함축하고 있었음을 규명하였다. 그 과정에서 범속성과 상업성, 대중적인 도상과 줄거리, 서사적인 형식 등 다른 매스미디어 및 대중문화와 차별화되는 미국 만화의 특성이 정치사회적의 의미를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데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논문은 미국 만화 이미지의 예술적 수용을 독자적인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 미술사적 의미를 재조명할 수 있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point that cartoon images emerged all at once in European art and American art after the Second World War and contemplated political and social meanings implied in American cartoon images appearing in art works of 1950s to 1970s. During this time, artists tried to reflect the society of the era in which influence of popular culture and mass media were great by separating life from art and responding to the flow of art after the Second World War, which emphasized formative purity. The form of cartoons delivering world-famous American cartoon characters and narratives became a major interest toward artists and the form was materialized in various expression styles within works. However, when it came to development of modern art during this period, even though American cartoon images became important borrowing elements, academic researches which looked into this matter deeply can hardly be found. The studies so far have dealt with some artists who borrowed cartoon and certain art trends and have been conducted fragmentarily.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ed to prove that American cartoon motif implies political and social meanings within the dynamism between European art and American art by paying attention to the point that American cartoon images emerged all at once in overall art from 1950s to 1970s. For this aim, this study intensively contemplated media characteristics of cartoon and American and European political and social contexts surrounding American cartoons of the era which have been overlooked in previous studies and analyzed the meaning which can be commonly discovered by associating the characteristics with paintings in multilateral aspects. First of all, artists in 1950s and 1960s displayed challenging attitude toward formalistic modernism aesthetics, which dominated world of art after the Second World War by actively introducing American cartoon images and forms in paintings. Cartoons which had conventional and commercial attributes escaped from dichotomous hierarchical structure between pure art and popular culture and were utilized as the means to ridicule authority of existing art. In addition, inherent form of cartoon for visualizing narrative gave rise to changes in attitude of viewers by reviving descriptive character in art and generating diverse sensuous experiences beyond vision. Meanwhile, American cartoon characters borrowed in works - icons and symbols which the public can perceive easily - have intimate relations with the society of the age. In particular, British and American pop artists tried to show rampant gender norms of the society by paying attention to men and women who were being reproduced in adventure cartoons and romance comics. Heroic characters including Batman and Wonder Woman and characters in war and romance comics exposed dichotomous gender structure which has been required socially under the Cold War system and enabled to look back to the reality in which different views toward men and women were materialized through consumption after being processed by media. America's famous cartoon characters such as Mickey Mouse and Superman - symbolic images representing American popular culture - encompass critical meanings toward America's political and military acts. Artists who adhered to critical viewpoint toward America's hegemony surrounding the Cold War exposed American values hidden in cartoon narratives and ridiculed America's political performances by placing Disney cartoon characters with bright and humorous personality and righteous adventure cartoon characters in the context different from existing cartoons. Through previously mentioned discussion, this study identified that American cartoon images in art implied multilayered meanings related to power structure in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In that process, it has been identified that American cartoon characteristics differentiated from other mass media and popular cultures such as mediocrity and commercial viability, popular icon and summary, and narrative form are being utilized in diverse ways in effectively materializing political and social meanings. In that regar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shed light on its meaning in art history by setting aesthetic accommodation of American cartoon images as an independent study targe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미술 작품 속 만화 이미지의 등장 배경 7 A. 미국 만화 산업의 발전과 국제적 유통 7 B. 현대 미술에 나타난 만화적 요소 16 Ⅲ. 만화 이미지에 함축된 정치사회적 의미 23 A. 형식주의 모더니즘에 대한 미학적 도전 23 1. 문화적 위계구조에 대한 저항 24 2. 내러티브적 요소의 도입 36 B. 당대 사회에 내재된 젠더 이데올로기의 표출 44 1. 모험만화 캐릭터에 나타난 젠더 구조 45 2. 순정만화 캐릭터에 반영된 젠더 규범 52 C. 미국 패권주의에 대한 비판 58 1. 디즈니 만화 캐릭터를 이용한 미제국주의의 풍자 58 2. 모험만화 캐릭터를 통한 미국 예외주의의 비판 65 Ⅳ. 결론 71 참고문헌 74 도판목록 91 도판 101 Abstract 12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0445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1950-1970년대 미술에 나타난 미국 만화 이미지의 정치·사회적 의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olitical and Social Implications of American Cartoon Images in 1950s-1970s Art-
dc.creator.othernameJung, Sun Hee-
dc.format.pagev, 12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