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4 Download: 0

일제하 학교신체검사 제도의 시행과 특징

Title
일제하 학교신체검사 제도의 시행과 특징
Other Titles
The Enforcement of the School Physical Examination System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its Characteristics
Authors
이희재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병준
Abstract
본 연구는 일제시기 학교신체검사 제도의 시행 과정을 통하여 해당 제도의 다양한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학교신체검사는 병합 초 일제가 이식한 근대적 학교보건제도로서 식민지 조선에서 처음 등장하였다. 이후 세 차례의 개정을 거치면서 다양한 식민지적 특징을 나타내었다. 학교신체검사 제도는 ‘식민지적 근대’의 맥락에 놓여 있기 때문에 특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역사학계와 보건학계의 선행연구는 주로 구한말부터 일제시기의 의료와 위생보건정책에 집중하면서 학교신체검사 제도에 대해서는 소략하였다. 교육학계에서 일제시기 학교신체검사 제도를 주제로 한 연구가 있지만 인력 총동원을 위한 수단으로 일축하였다는 한계를 지닌다. 또한 일제시기 학교보건정책은 주로 체력관리의 측면에서 다루어졌고 서양 의학과 위생 개념의 연장선상에서의 접근은 적었다. 본 연구는 서양 의학과 위생 지식을 기반으로 일제시기 조선의 학교보건 체제가 형성되는 과정 속에서 학교신체검사 제도의 변천을 면밀히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근대적 제도로서의 면모와 이면에 밀착한 식민지적 성격을 대비하여 조명하였다. 1876년 개항 후 조선은 서구 및 일본으로부터 서양 의학과 위생 개념을 수용하여 정책적으로 활용하였다. 1890년대 신식 교육제도의 등장과 더불어 고종은 교육정책상에서 위생을 강조하였고, 위생교육과 병식체조를 중심으로 조선의 자생적인 학교보건 체제가 형성되어 갔다. 그러나 통감부기를 거치며 조선의 독자적인 학교보건은 사라졌다. 병합 후 총독부는 일제의 학교보건 체제를 조선에 이식하여 재편하였다. 이는 재조선 일본인 학생의 건강관리를 일차적 목표로 하였고, 그 중심적 역할로써 학교의 제도가 조선에 처음 적용되었다. 학교의는 관공립학교 배치를 원칙으로 하며 각종 교내 위생보건활동을 전담하였다. 그러나 실제 학교의 제도는 조선의 극소수 학교만 운용되었고 대다수 조선인 학생들이 받는 제도적 혜택은 없었다. 학교신체검사 제도는 일제 치하 학교보건정책의 일환으로서 처음 조선에 등장하였다. 1913년 총독부는 학생의 신체를 계측하고 검사 결과를 통계표로 작성하여 上達하는 제도적 절차를 법제화하였다. 매년마다 정해진 기한 내에 의학적인 기준으로 신체를 측정하여 수치화된 결과를 도출하도록 법령으로 규정한 것은 일제시기가 처음이었다. 1921년 개정으로 검사 항목의 의학적 명료화·구체화, 발육 및 건강 상태에 의한 구분 기록, 정신장애 항목 신설 등의 보다 새로운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검사결과 보고체계는 총독에게 일원화되어 중앙 차원에서 일괄적으로 학생 신체를 파악할 수 있는 구조가 확립될 수 있었다. 1937년 개정을 계기로 학교신체검사 제도는 이전에 비하여 크게 달라졌다. 학생의 발육 상태보다 건강을 더 중시하였고, 학생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앉은키·흉곽 항목 추가와 질병 검사의 확대가 이루어졌다. 또한 사립학교 학생과 조선인 여학생이 검사 대상에 포함되었고 검사표 기입 방식에서도 변화가 나타났다. 1945년 마지막 개정을 통하여 검사 항목이 급감했으나 당시 대중적으로 주시한 질병들은 계속 검사 항목으로 유지되었다. 그러나 조선의 학교신체검사 제도의 변천과 식민지적 특징은 불가분의 관계였다. 1913년 총독부는 학교신체검사 제도를 새로이 선보이면서 식민지 학생의 신체를 통제하고 규율하는 장치로 기능케 하였다. 1921년 검사 항목 및 검사 결과 보고체계의 변화는 수치화된 학생 신체 정보가 총독 중심의 식민통치 하에서 관리되는 계기로 작용했다. 또한 실제적으로 조선인 피검자 비율은 매우 낮았고, 사립학교 학생 및 조선인 여학생은 검사 대상에서 제외되어 학교신체검사 제도의 차별적 저의를 확인할 수 있다. 총독부는 근대성을 시위하며 식민지 학교보건 체제의 기틀을 정착시켜 향후 용이한 식민 통치를 구상하였다. 1937년부터는 학교신체검사 제도의 군사적 성격이 강화되었다. 총동원체제로 전환되면서 총독부의 학교보건정책은 건강한 예비 인력 육성을 목표로 삼았다. 사립학교 학생과 조선인 여학생의 신체는 예비 인력으로 간주되어 검사 대상에 포함되었고, 전쟁 인력의 총동원을 도모하는 데에 신체검사에 내포한 의학지식이 활용되었다. 중등학교 입학시험에서 신체검사 비중이 커지면서 학교신체검사 제도에서도 관련 사항을 포괄하여 규정하였다. 1945년 개정으로 학교신체검사 제도는 건강관리를 넘어서 학생을 단련할 의도를 표명했다. 검사 주체인 학교의는 총동원체제 하에서 학생 신체 동원에 일정 책임을 부여받았다. 학도지원병제와 징병제 시행에 따라 검사 대상은 대학생까지 확대되고, 징병검사 및 「조선체력령」으로 시행된 체력검사와의 연계되었다. 입학시험에서는 신체검사 배점이 늘어나 당락의 실질적 결정 요소로 작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physical examination system and its enforcement proces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chool physical examination system was first introduced in the colonial Joseon as a modern school health system transplan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After three revisions, it represented various colonial characteristics.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system included not only the aspects of a modern institution but also the colonial nature.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note that it was in the context of “Colonial Modern Age.” After the opening of ports, Joseon accepted Western medicine and the concept of hygiene, applying them to a policy. With the advent of the new education system in the 1890s, King Gojong(高宗) emphasized hygiene in his education policy. The new school health system focusing on hygiene education and military discipline was naturally established in the Korean Empire. However, through the Residency-General period, it gradually disappeared. After the annexation, the school health system of Japan was transplanted into colonial Joseon and reorganiz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It aimed at the health care of Japanese students, and as part of that, the school doctor system was first applied to Joseon. In principle, school doctors were supposed to be assigned to public schools and dedicated to various school health activities. Yet, in fact, the system was only operated in a small number of schools and had no institutional benefits for the majority of Korean students. The school physical examination system first appeared in Joseon as a part of the school health policy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1913, the Government-General enacted an institutional process for measuring students’ bodies, tabulating and reporting results. It was the first time that the law required to measure students’ bodies by medical standards every year and produce numerical results. The revision in 1921 resulted in more new changes, such as medical clarity, organization of examination items, classification of records by developmental stages and health conditions, and creation of mental disease items. In addition, by unifying reporting mechanism to the governor, the students’ bodies could be collectively investigated at a central level. With the revision in 1937, the school physical examination system changed considerably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First, health was regarded as more important than growth. Second, sitting height and thorax were added to examination items and disease screening was expanded to check students’ health conditions. Third, private school students and Korean female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system. Last, there was a change in the way the result table was written. The examination items were greatly reduced through the last revision in 1945, with some disease items remained. The change in the school physical examination system and its colonial characteristics were inseparable. In 1913, the Government-General newly introduced the system, which functioned as a device to control and regulate the bodies of colonial students. In 1921, the change in the examination items and reporting mechanism served to manage students’ body information under the governor. Also, the ratio of Korean examinee was very low in practice, and private school students and Korean female students were excluded from the examination, which revealed the discriminatory intent of the system. The Government-General planned an easy colonial rule by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colonial school health system that showed off modernity. From 1937, the military characteristic of the school physical examination system was strengthened. With the shift to the wartime mobilization system, the school health policy aimed at fostering healthy preliminary workforce. Private school students and Korean female students were considered as preliminary workforce and included in the examination. Various medical knowledge in the examination was utilized to promote the mobilization of the war workforce. As the physical examination played an increasing role in secondary school entrance exam, this system also included the relevant matters. With the revision in 1945, it revealed its objective to train students other than to provide health care. The school doctor, the subject of the examination, was given some responsibility for the mobilization of students under the wartime mobilization system. As student volunteer system(學徒志願兵制) and conscription system took effect, the examination object was expanded to university students. The school physical examination system was linked with the conscript examination and physical examination conducted under the Joseon Physical Strength Ordinance(朝鮮體力令). The proportion of physical examination scores increased in secondary school entrance exam, which served as a practical determina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