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0 Download: 0

Re-gendering Virtue

Title
Re-gendering Virtue
Other Titles
다시 젠더화 된 미덕 : 『설득』에서 나타나는 애국적인 가정 영역
Authors
이은혜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주리
Abstract
This thesis examines Jane Austen’s portrayal of the “home” in Persuasion (1817) to investigate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domestic sphere and the nation. Austen unfolds the novel’s domestic plot within a tightly constructed historical chronological framework to depict not only how the nation’s public history determines the heroine’s private and domestic life, but also how the nation’s historical fate depends on the individuals residing in the domestic sphere. Through her revisionist presentation of domesticity in relation to the nation, Austen expands the woman’s role as the central figure of the domestic sphere that includes both home and nation. The domestic sphere is thus reconfigured into a “patriotic domestic sphere,” where characters acquire a collective national consciousness and patriotic virtue within the intimate sphere of domesticity and family. Chapter one traces how the advent of capitalism and the separation of the public and the private realigned masculine civic virtue with the feminine. It further seeks to show how re-gendered virtue contribute to female patriotism during a time of continuous war. Chapter two shows how Austen satirises anachronistic models of virtue in the figures of a defunct aristocracy whilst simultaneously mocking the more modern corruption of self-interested individuals. Chapter three explores the virtuous figures of Navy men and the moral heroine to depict a new national and patriotic virtue that supersedes the prejudice of class and rank as well as the self-interestedness of the newly moneyed class. The new morality responsible for the revival of the nation’s true virtue is suggested through Austen’s reconfigured model of home that promotes the moral authority of women. The feminine private sphere grants women the moral imperative to domesticate the nation and the public virtue of civic virtú, enabling them to venture beyond the confinement of home. Chapter four discusses how Austen acknowledges the limitations imposed by separate spheres and the psychological damages inflicted on women within the confinement of the domestic sphere. Nevertheless, she also explains possibilities of an expanded domestic sphere and the life of a woman who is not confined to the home through the figure of Mrs. Croft, a woman who fearlessly travels around the world with her Navy husband. This depiction of an expanded mobility and sphere of influence suggests how the ideal of home would form the core for an expansionist colonial policy in the future of the British empire in the form of “home” colonies. ;본 논문은 『설득』(Persuasion,1817)에서 제인 오스틴 (Jane Austen)이 묘사하는 “가정 (home)”을 들여다봄으로써 가정의 영역과 국가 사이의 변증법적 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오스틴은 작품에서 역사적이며 연대기적인 틀을 통해 가정소설을 전개한다. 이러한 작품의 틀은 국가의 공적 역사가 주인공의 사적이고 가정적인 삶을 규정하고 있음을 묘사하며, 또한 국가의 역사적 운명이 가정의 영역 내의 인물들에 의해 좌우됨을 효과적으로 드러낸다. 작가는 가정성(domesticity)을 국가와 연관된 것으로 새롭게 제시하는 동시에 여성을 가정의 영역 중심에 위치한 중요 인물로 묘사하여 가정의 영역을 집과 국가의 상징으로 재해석한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작품 내에서 가정의 영역은 “애국적인 가정의 영역 (the patriotic domestic sphere)”으로 재구성되며, 등장인물들은 가정이라는 사적인 영역에서 국가 의식과 애국심을 획득한다. 제 1장에서는 자본주의의 발현과 공적·사적 영역의 분리가 남성적 시민의 덕목을 여성적인 미덕과 통합되는 과정을 추적한다. 또한 연속적인 전시 기간에 다시-젠더화된(re-gendered) 미덕이 여성의 애국심에 기여하는 양상을 탐구한다. 제 2장에서는 오스틴이 영향력을 잃은 부패한 귀족 인물을 통해 시대착오적 미덕의 양상을 풍자하는 방식과, 자기중심적인 개인이 드러내는 근대적 타락을 비판하는 방식을 분석한다. 제 3장에서는 해군 남성들의 고결한 모습과 도덕적인 여주인공을 함께 고찰함으로써, 기존의 계급과 지위에 대한 편견과 신흥 자본 계층의 자기중심적 이윤 추구를 능가하는 새로운 국가적·애국적 미덕을 심층적으로 살펴본다. 국가의 진정한 미덕의 회복과 긴밀한 연관이 있는 이 새로운 도덕성은 여성의 도덕적 권위를 고취하는 재구성된 가정의 모델을 통해 제시된다. 여성이 주관하는 사적 영역은 그녀에게 도덕적 권위를 부여하는데, 그 권위는 여성이 국가와 공적 미덕을 “가정적 인 것(domesticate)”으로 만들 수 있게 함으로써 그녀가 집이라는 제한된 공간 밖으로 발걸음을 내딛는 것을 가능케 한다. 결론인 제 4장에서는 작가가 강직한 분리 영역과 가정의 영역에 있는 여성들의 국한된 삶을 작품에 묘사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또한 작가가 여성의 제한된 삶에 대해 인식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것을 통해 확장된 가정 영역과 집에 한정되지 않은 새로운 여성상을 전 세계를 유영하는 크로프트 부인(Mrs. Croft)을 통해 묘사하고 있음을 피력한다. 이러한 여성의 이동성 확장과 영향력 행사 가능 영역의 확대에 관한 묘사를 통해 가정 내의 이념이 대영제국의 식민 정책에 있어서 핵심으로 기능한다는 점을 주장한다. 궁극적으로 오스틴이 작품 내에서 가정의 영역과 국가를 긴밀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재해석 함으로써, 여성의 사적 영역의 긍정적인 영향력을 피력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