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심소희-
dc.contributor.authorBAO, MENGMENG-
dc.creatorBAO, MENGMENG-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0:28Z-
dc.date.available2019-02-18T16:30:28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39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398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485-
dc.description.abstract한국과 중국의 관계는 날로 긴밀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양국 국민의 교류도 갈수록 빈번해 지고 있다. 언어적인 측면에서도 한국어와 중국어에 관련한 심도 있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몽고족 언어와 같은 중국의 소수민족이 사용하는 언어와의 대조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자는 중국 소수민족 언어인 몽골어와 중국어를 동시에 모어(母語)로 가진 몽고족으로서 본인의 모국어 환경과 그 제반 지식을 바탕으로 문자, 어음, 어법, 어휘 방면에서 몽골어와 한국어의 대조 분석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특히 중국어 어휘를 중심으로 하여 몽골어와 중국어 아휘의 관계, 그리고 한국어와 중국어 어휘의 관계를 분석하여 이들이 가진 독특한 연관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고는 제1장, 제2장, 제3장, 제4장 그리고 결론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배경과 그 필요성, 그리고 연구방법 및 기존의 관련 연구 현황에 관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2장은 대조언어학의 일반이론에 관한 내용이다. 주로 대조언어학의 정의, 기원과 이론에 대하여 소개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논문에 적용된 대조언어학의 이론을 서술하고 본 연구의 합리성을 증명할 것이다. 그리고 대조언어학 이론의 관점에서 본 논문은 어떻게 이러한 이론을 이용하여 연구할 것인지 구체적으로 서술할 것이다. 제3장은 주로 전통 몽골어의 발전 과정과 언어 방면에서의 연구 가치를 서술할 것이다. 전통 몽골어의 개념과 정의, 그리고 전통 몽골어의 언어학적인 위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전통 몽골어의 발전 과정을 분류 및 정리한다. 그 내용은 주로 전통 몽골어의 문자 및 어음 그리고 어법과 어휘 방면의 발전 상황 등으로 분류한다. 제4장에서는 전통몽골어와 한국어 그리고 중국어 어휘를 중심으로 한 어휘 대조 분석을 진행한다. 몽고족 한자어와 한국 한자어의 특징을 살펴보고 양 언어 안에 녹아있는 한자어를 대조 분석할 것이다. 특히 몽고족 한자어와 한국 한자어의 특징, 두 언어 중 한자어의 선정기준과 대조분석 방법 그리고 그 결과에 대하여 논의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국 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통몽골어와 한국어 그리고 중국어 간의 역사적 연관관계 이외에도 언어적인 부분의 연관관계를 파악하게 되기를 바란다. 또한 양국의 소통과 발전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리고 향후 중국어와 중국 소수민족의 언어와 한국어 간의 더욱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원한다.;中 文 摘 要 中国内蒙古使用语言和韩语在语言学角度上的对比分析 —— 以词汇对比分析为主 梨花女子大学 中语中文学科 包蒙蒙 现今,中韩两国关系日益密切,中韩两国人民的交流也日益频繁和深入。从语言层面上看,人们对汉语和韩语的研究已经非常全面和深入,但是对像以蒙古语这样的小语种为对象的研究却很少。所以,作为母语是蒙古语的蒙古族人,我想通过自身的母语环境和所学知识,浅显地从语音、文字、语法和词汇方面将蒙古语和韩语进行对比分析和研究,特别是把汉语、韩语和传统蒙古语联系起来,研究传统蒙古语中的汉字词和韩语中的汉字词,不仅要了解它们的发展过程和现状,发现它们各自的独特性和相互之间的关联性,更要了解汉字词在传统蒙古语和韩语中的发展过程,以及汉字词对这两种语言的影响。 本文由第一章、第二章、第三章、第四章和结论部分组成。 第一章,主要就研究背景和必要性、研究内容和研究方法,以及对相关的研究成果进行了简单的说明。 第二章,首先对对比语言通用理论进行了阐述。主要对对比语言学的定义、起源和基础理论进行了说明。其次在整理后,将适用与本文的对比语言学理论罗列出来,证明本文研究的合理性。最后在对比语言学理论的指导下,具体阐述了本文将如何利用理论进行研究。 第三章,主要阐述了传统蒙古语的发展历程和在语言学方面的研究价值。具体说明了传统蒙古语的概念、定义、发展过程,以及传统蒙古语在语言学上的地位。同时,对传统蒙古语发展过程进行了梳理与整理,主要说明了传统蒙古语中文字、语音、语法和词汇方面的发展状况。 第四章,主要阐述了传统蒙古语汉字词和韩语汉字词在词汇方面的对比分析。首先先介绍说明了蒙语汉字词和韩语汉字词各自的特征,以及对二者对比分析汉字词选定的标准及对比分析中使用到的方法,最后举例说明二者中与汉语词汇同形同义和同形异义的词汇。 通过以上研究,可以进一步确定传统蒙古语和韩语之间不论是历史上还是现在,都存在着一定的联系,对比分析这两种语言的多方面的特点及关联性,相信可以减少偏误的产生,也可以加深彼此的沟通与了解。同时,对比分析传统蒙古语和韩语中的汉字词,又扩大和加深了这三种语言之间的联系,为以后进一步的研究提供基础。-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배경 1 B. 선행연구 3 C. 연구대상 및 의의 5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 방법 9 A. 대조 분석 정의와 특징 9 B. 대조 분석 방법 14 Ⅲ. 중국 몽골어의 위상 및 발전현황 18 A. 중국 몽골어의 개념 및 정의 18 B. 중국 몽골어의 위상 19 C. 중국 몽골어의 발전현황 21 1. 문자체계 22 2. 어음체계 30 3. 어법체계 38 4. 어휘체계 42 Ⅳ. 중국 몽골어 한자어와 한국 한자어 대조분석 48 A. 몽골어 한자어와 한국 한자어 어휘상의 특징 48 1. 몽골어 한자어의 어휘 특징 48 2. 한국어 한자어의 어휘 특징 55 B. 몽골어 한자어와 한국 한자어의 대조 분석 대상 63 C. 몽골어 한자어와 한국 한자어의 대조 분석 방법 65 D. 몽골어 한자어와 한국 한자어의 대조 분석 결과 68 1. 몽골어 한자어와 중국어 어휘의 대조 분석 결과 68 2. 한국어 한자어와 중국어 어휘의 대조 분석 결과 77 Ⅴ. 결론 86 참고문헌 88 부록 92 中文摘要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616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00-
dc.title중국 몽골어와 한국어 어휘 대조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中国内蒙古使用语言和韩语在语言学角度上的对比分析 : 以词汇对比分析为主-
dc.creator.othername包蒙蒙-
dc.format.pagev, 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중어중문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