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형용-
dc.contributor.author장하연-
dc.creator장하연-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0:28Z-
dc.date.available2019-02-18T16:30:28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35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351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48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중 분류사 가운데 인간을 세는 기능을 갖추는 인간성 분류사를 중심으로 양 언어에서 이러한 분류사들이 형태적,통사적,화용적인 측면으로 보여주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한국어 인간성 분류사가 중국어에 비해서 어떤 특징이 있는지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둔다. I 장에서는 본고에서의 연구 목적 및 연구의 필요성을 밝히고 한국어 분류사와 중국어 분류사, 한·중 분류사의 대조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통사·의미적 및 화용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기술하였고 가운데 인간성에 관련된 선행 연구들도 언급하였다. II 장에서는 한·중 인간성 분류사의 개념을 각각 제시하고, 몇 가지의 기준을 설치하여 본고에서 연구 대상으로 다루는 인간성 분류사들을 제시하고 그들을 연구 대상으로 다루게 되는 자격에 대하여 논술하였다. III 장에서는 크게 형태적과 통사적 측면으로 나누어 한·중 인간성 분류사를 연구하였다. 형태적 부분에서는 한·중 분류사의 품사 설정 문제에 대하여 깊게 탐구하고 한·중 인간성 분류사의 단어 형성 참여에 대하여 살펴보고 한국어 인간성 분류사가 중국어 인간성 분류사에 비해서의 주로 특징을 밝혔다. 통사적 부분에서는 한·중 인간성 분류사들이 분류사 구성에서 수사 및 핵어 명사와의 결합 제약에 대하여 기술하고 한·중 인간성 분류사들 자체가 가지는 통사·의미적 자질을 제시하였다. IV 장에서는 크게 공손성 및 격식성 두 가지의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공손성의 부분에서는 주로 한국어 인간성 분류사들이 구체적인 상황에서 보여주는 해당 분류사 자체가 가지는 자질 외에 공손성 표현의 변화를 살펴보고 중국어 인간성 분류사와의 공통점과 차이점도 분석하였다. 격식성의 부분에서도 비슷하게 한국어 인간성 분류사의 쓰임은 지키는 격식성 규칙을 살펴보고 중국어에서 보여주는 다른 특징을 대조하여 분석하였다. V 장에서는 본고에서 살펴본 바들을 총정리하고 결론을 내렸다. 본고의 연구 내용을 통하여 앞으로의 한·중 대조 연구에서 연구할 가치가 있는 점들도 언급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the contrastive study of the human classifiers, which have the function of people-counting between modern Korean and modern Chinese. This study is mainly divided into the morphological aspect, syntactical aspect and pragmatical aspect three parts to search the characteristics in both languages in order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classifiers in Korean. Chapter I points out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this research and describes the prior studies of classifiers of both Korean and Chinese in syntactico-semantical and pragmatical aspects including those studies in which the human classifier was mentioned. And on this basis, deficiencies that had not been discussed in prior studies but are very valuable to be studied are presented. Chapter II expounds the concept of human classifiers of Korean and Chinese and on this basis presenting specifical objects of the study according to a few set standards. In chapter III, discussions are roughly divided into morphological and syntactical two parts. The morphological part discussed about the word class of classifiers in Korean and Chinese whether the classifier in Korean could be divided into a separate word class like Chinese. Besides, The morphological part also shows that many different characteristics exist in the word formation of human classifiers between Korean and Chinese. On the other hand, in the syntactical part, the discussions of combining restriction of human classifiers are being divided into numerals and the head nouns which take an important position in numeral-classifier phrases in both languages. for Chinese, there is some other usages in human classifiers showing the effect of metaphor. However, a few syntactico-semantical characteristics are also shown in the end of this chapter to summarize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human classifiers of Korean in comparison with Chinese. Chapter IV is a part that studies in the pragmatical aspect of the human classifiers between Korean and Chinese as it can be divided into the relative status, and the formality part. The relative status is a part to analyze how human classifiers of Korean showing the different uses of respect in different situations relatives to human classifiers of Chinese, especially the homographs between Korean and Chinese, which are being called ‘Hanja-eo’ in Korean. Similarly, the formality part also shows different characteristics between Korean and Chinese depending on different formalities such as speech, the conversation in the workplace or the conversation between close friends. Finally, in Chapter V, conclusive summarizes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represented aiming to show the limits of this study, as well as presents the thesis that is valuable to be discussed in follow-up studies of contrastive studi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연구 검토 4 1. 한국어 분류사에 관한 연구 4 2. 중국어 분류사에 관한 연구 9 3. 한중 분류사의 대조에 관한 연구 12 C.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17 II. 인간성 분류사의 개념과 한중 인간성 분류사의 범위 19 A. 인간성 분류사의 개념 19 B. 한중 인간성 분류사의 판별기준 22 1. 한국어 인간성 분류사의 판별기준 22 2. 중국어 인간성 분류사의 판별기준 24 C. 한중 인간성 분류사의 범위 25 1. 한국어 인간성 분류사의 범위 25 2. 중국어 인간성 분류사의 범위 35 III. 한중 인간성 분류사의 형태통사적 대조 52 A. 한중 인간성 분류사의 형태적 특징 52 1. 한중 분류사의 품사 설정 문제 52 가. 한국어 분류사의 품사 설정 53 나. 중국어 분류사의 품사 설정 54 다. 한중 분류사의 설정에 대한 품사적 쟁점 61 2. 한중 인간성 분류사의 단어 형성 참여 63 가. 한국어 인간성 분류사의 단어 형성 참여 64 나. 중국어 인간성 분류사의 단어 형성 참여 69 3. 한중 인간성 분류사의 형태적 대조 75 B. 한중 인간성 분류사의 통사적 특징 77 1. 한중 인간성 분류사와 수사의 결합 제약 78 가. 한국어 인간성 분류사와 수사의 결합 제약 78 나. 중국어 인간성 분류사와 수사의 결합 제약 83 2. 한중 인간성 분류사와 핵어 명사의 결합 제약 92 가. 한국어 인간성 분류사와 핵어 명사의 결합 제약 93 나. 중국어 인간성 분류사와 핵어 명사의 결합 제약 101 3. 한중 인간성 분류사의 통사적 대조 123 IV. 한중 인간성 분류사의 화용적 대조 127 A. 한중 인간성 분류사와 공손성 127 1. 한국어 인간성 분류사와 공손성 127 2. 중국어 인간성 분류사와 공손성 131 B. 한중 인간성 분류사와 격식성 136 1. 한국어 인간성 분류사와 격식성 138 2. 중국어 인간성 분류사와 격식성 142 V. 결론 155 참고문헌 161 부록 중국어의 품사 분류 체계 171 ABSTRACT 1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597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00-
dc.title한·중 인간성 분류사의 대조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ntrastive Study on Human Classifiers between Korean and Chinese-
dc.creator.othernameZHANG SHENGNAN-
dc.format.pagevii, 1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