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창원-
dc.contributor.authorTECHAVIROJ, PIRAYA-
dc.creatorTECHAVIROJ, PIRAYA-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0:28Z-
dc.date.available2019-02-18T16:30:28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34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340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48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 30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자음 동화, 즉 비음화와 유음화 발음 습득 양상을 살피려고 실시하였다. 태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자음 동화를 어느 정도 지각하고 있는지 밝히고, 학습 수준 별로 자음 동화를 어떻게 산출하는지, 그리고 태국인 학습자는 한국어 자음 동화를 학습하는 데 있어서 발음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의 목적을 삼았다. I 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제시하고, 과거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한국어에 대한 음운론적인 연구와 음운론적인 한국어 습득에 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해 보았다. 그리고 연구 문제와 연구 방법을 제출하였다. II 장에서는 III장과 IV장에서 전개될 실험 방법과 실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 한국어 자음 동화, 즉 비음화와 유음화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여 소개하였다. 또한 태국어에 관련된 한국어 음운 현상을 서술하였다. 그리고 선행 연구를 통해서 태국어에서 이러한 음운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주장하였다. III 장에서는 먼저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자음 동화 습득 양상을 밝히기 위해서 실험 도구로써 비음화와 유음화의 유형에 따른 30개의 실험 문항을 구성하여 마련하였다. 본 실험은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태국인 학습자를 한국어 능력시험에 따라 초급 10명 중급 10명 고급 10명 총 30명을 구분하여 그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IV장에서는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자음 동화 발음 지각을 알아보기 위해 청취 실험을 이용하여 어느 정도 지각하고 있는지를 밝히고, 그 실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다음 산출 실험은 태국인 학습자 30명에게 실험 단어를 발음하게 한 뒤, 한국인 모어 화자가 그것을 평가하여 학습자들이 한국어 자음 동화 발음을 어느 정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다음으로 태국인 학습자들이 음성 습득에 대해 지각과 산출하는 데 있어서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발음 지각과 발음 산출 실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발음 습득 양상에 대한 분석을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V장은 본 연구의 결론 및 제안점을 제출하였다. 본 연구는 태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자음 동화 즉 비음화와 유음화에 주목하여 태국인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라 한국어 자음 동화 발음 지각과 발음 산출 습득 양상을 실험을 통해 분석하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향후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음운 현상 발음 교육의 기초 자료로 충분히 이용 가능 할 것으로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know how Thai learners can acquire a Korean consonant assimilation sound such as Nasalized and Lateralized, is according to one of the Korean Phonology. This does not appear in Thai Phonology. Chapter 1 presents objective research and reviews the literature relating to foreign learners of Korean Phonology, and Thai learners with Korean Phonology. The research question, methodology and the scope of the study were also discussed. Chapter 2 forms the basis of the introduction on Korean consonant assimilation (Nasalized and Lateralized) as the basic knowledge for analysing the research results in the next chapter: an explanation about Thai Phonology. This cannot occur in both contexts, Nasalized and Lateralized, as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e manner with which Thai learners pronounce Korean words phonologically Chapter 3 is an explanation about the experiment conducted on thirty native Thai speaker who are learning Korean at different levels (10 beginners, 10 at intermediate level, and 10 advanced learners) Thirty Korean words of Nasalized and Lateralized sound were chosen as experimental tools, and given to the Thai learners. From this, two types of experiments were performed viz. Perception test, and Production test. Chapter 4, In the Perception test, the thirty Korean words selected were recorded by native Korean speakers and replayed for Thai learners. At that point, those Thai learners had to select the correct answer in the test paper based on what they heard. Most respondents chose the closest answer to what they heard, and the results have been analysed according to this. In the Production test, the respondents pronounced the words given and native Korean speakers evaluated their pronunciation of those thirty Korean words, proceeded to analysed the results. Pronunci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kills for language learners. Therefore, the hypothesis is that a relationship exists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It is the purpose of chapter 3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Perception and Production in the acquisition of Korean consonant assimilation sounds, and analyse it accordingly. Chapter 5 is a summary and suggestion. In closing, it was determined that for Thai learners, there must be an exact correlation among what was spoken and written. The reason being that in Thai phonology, this correlation is present in what people say, hear and write. However, for Korean phonology, at times this correlation is absent depending on the phonology which proceeds the consonant. As such, the pronunciation of the latter either changes or becomes silent, and this is confusing for Thai learners. It is the aim of this research to provide a basis of understanding how to appropriately teach native Thai speakers the proper pronunciation of these consonant assimilation, so that they can acquire native Korean consonant pronunciation skil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B. 선행 연구 4 C. 연구 문제 및 연구 내용 9 Ⅱ. 자음 동화 11 A. 한국어 비음화 11 B. 한국어 유음화 15 Ⅲ. 연구 절차 및 연구 방법 19 A. 실험 절차 19 B. 실험 대상자 20 C. 실험 도구 21 D. 실험 방법 24 1. 지각 실험 방법 24 2. 산출 실험 방법 26 Ⅳ. 연구 결과 27 A.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자음 동화 발음 지각 결과 27 1. 비음화 발음 지각 결과 29 2. 유음화 발음 지각 결과 39 B.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자음 동화 발음 산출 결과 46 1. 비음화 발음 산출 결과 48 2. 유음화 발음 산출 결과 58 C.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자음 동화 발음 지각과 발음 산출의 관계성 64 1. 초급 학습자 66 2. 중급 학습자 67 3. 고급 학습자 68 D.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자음 동화 발음 실험 결과 요약 69 1. 태국인 학습자는 숙달도에 따라 자음 동화 발음 지각 69 2. 태국인 학습자는 숙달도에 따라 자음 동화 발음 산출 71 3. 태국인 학습자는 자음 동화 발음 지각과 발음 산출의 관계성 74 V. 결론 76 참고문헌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927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00-
dc.title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자음 동화 발음 습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비음화와 유음화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cquisition of Korean Consonant Assimilation Sounds by Thai Learners : Focused on Nasalized and Lateralized-
dc.format.pageviii, 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