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현-
dc.contributor.author강지희-
dc.creator강지희-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0:27Z-
dc.date.available2019-02-18T16:30:27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44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445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475-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1960년대 강신재와 박경리의 소설에서 증여 방식을 젠더수행적 차원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환’이라는 가장 기초적인 경제적 차원에서 사회구성의 문제에 접근하고, 이 교환과정에서 사회구성원 간에 이루어지는 ‘결속’과 ‘해체’를 들여다봄으로써 1960년대의 정치성을 새롭게 사유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를 통해 문학장 속에서 대중성과 통속성의 맥락 안에서만 주로 이해되어 온 1960년대 여성 장편들을 적극적으로 재의미화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당대 헤게모니적 질서의 해체와 함께 새로운 정치성을 발굴해냈다. 1960년대 여성장편소설 안에서 증여방식이 젠더수행성과 결합하며 어떤 공동체적 이상을 만들어갔는지 읽어내는 작업은 당대 현실에서나 소설적 재현에서 잘 드러나지 않았던 여성들의 정치적 대응에 대해 주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들이 지니고 있던 공동체에 대한 이상은 자본-민족의 네이션으로 포섭되지 않는 정치적 가능성에 대한 꿈이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읽어내기 위해 본 연구는 6·25 전쟁, 4·19 혁명, 5·16 쿠데타 이후의 서사로 나누어 1960년대 문학장에서 미학적 · 정치적 가치 평가에서 모두 소외되어온 여성장편소설을 중심으로 1960년대 소설의 지도를 다시 그려보고자 했다. 6·25 전쟁 서사가 1960년대에 재구성되는 방식의 중핵에는 윤리적 증여가 있었다. 4·19 혁명에서 촉발된 저항적 의지의 산물은 6·25 전쟁을 개인적 비극으로 지각하는 것을 넘어서 이데올로기적 쟁투로서 인식하게 하고, 동시에 그 안에서 이상적 공동체를 발견하게 했다. 6·25 전쟁을 다시 재현하며 강신재와 박경리 소설 속 여성인물들은 압도적인 재난으로서의 전쟁을 수동적으로 수용하던 자세를 넘어 사랑을 발견하는 수행성의 주체로 변이한다. 이 표면을 이루고 있는 것은 남녀 간의 낭만적인 사랑이다. 그러나 남성인물들이 히스테리적 생존열망이나 멜랑콜리적 이데올로기 속에서 이 사랑을 불식시킨다면, 여성인물들은 섹슈얼리티를 이데올로기에 과잉 충실한 방향으로 소비하거나, 친족에 대한 공적인 애도 가능성을 물음으로써 근친애적 욕망을 기입시킨다. 이 윤리적 증여 양식은 이데올로기적 정치체와 민족 국가의 허상을 드러내며, 그 구성적 외부로 자리하는 무위의/잠재적 공동체를 상상하게 만든다. 4·19 혁명 서사는 여성작가들에게 4.19 혁명이 재현되는 방식이 사회를 해체하고 재생산하는 증여임을 드러낸다. 남성인물들에게 혁명은 영웅이 될 수 있는 기회로 작동한다. 그들은 국가라는 공동체를 위해 자신을 바침으로써 매개나 분열 없이 동일성 안에 통합되고자 한다. 그러나 그 애국성을 이루는 기반은 지극히 사적이고 충동적인 것이다. 반면, 혁명에서 배제될 수밖에 없는 위치에 놓여있었던 여성인물들의 죽음은 네이션에 통합될 수 없는 우울증적 성격을 강하게 띄며, 괴물적인 희생양으로서 자신을 재구성한다. 무엇보다 여성 작가들은 혁명의 장으로부터 소외되어 있던 민중들에 주목한다. 강신재는 4·19에 희생된 젊은이를 자식으로 둔 어머니들에 감정 이입을 유도하며 기억의 정치를 수행하고, 박경리는 계몽되지 않는 여성 주체를 4·19 세대가 껴안아야 할 정치적 공공재로 발견함으로써 야생성의 정치를 보여준다. 이를 통해 두 작가는 정치 이전의(pre-political) 영역에 있던, 공적 영역에서 배제된 인민들과 시골(자연)의 주변부적 위치성을 새롭게 사고한다. 이렇게 구성된 애도와 비(非)계몽의 공동체는 사회적 실재를 구성하고 재생산한다. 5.16 쿠데타 이후의 서사는 선물이라는 불가능한 증여를 바탕에 두고 이루어진다. 5·16 쿠데타 이후 자리 잡은 정치체제의 폭력적 통치성은 이에 적응한 개인들의 체제순응적 태도와 나란히 놓여 있었다. 남성인물들은 근대적 개발주의 앞에서 미에 대한 극단적 추구와 함께 병리적 통치성을 발휘하거나, 속물로서의 생존을 도모한다. 반면, 여성인물은 사회적 규범에 충실한 증여를 죽음에 이를 때까지 과잉 수행하며 마조히즘적으로 저항하고, 예술을 세속화시키며 도시 바깥에서 사회사업에 대한 결심에 이른다. 5·16 쿠데타 이후 서사에서 박탈의 수행성은 기존 예술의 미학적 자율성을 재편한다. 그리고 도시에서 벌어지는 자본의 투쟁 역학과 한국의 근대화에 맞춰진 여성담론으로부터 벗어나는 감각과 헤테로토피아적 공동체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1960년대 여성장편소설 안의 증여와 젠더수행성이 발현되는 양상을 통해서 정치성의 젠더적 전환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1960년대 교양소설 담론이 이분법적인 성별 구도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 대해 문제제기하고, 기존 남성서사의 자기실현적 교양과는 변별되는 윤리를 제시하며 아포리아를 돌파하고자 했다. 또한, 6·25를 경험한 다양한 기성세대와 여성을 포괄하는 다양한 문학적 주체들을 드러냄으로써 4·19세대가 구성해놓은 문학적 주체의 외양을 확장했다. 이 과정에서 1960년대 여성서사가 도시와 시골의 이분법적 대립구조를 넘어서, 유기체적인 자연의식을 지니고 있었음을 드러낼 수 있었다. 이는 여성과 자연을 함께 묶어 타자화시키고 계몽의 대상으로 바라봐 온 한국문학의 근대성을 탈구축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는 예술의 자율성이라는 원리에 입각해서 ‘미적 근대성론’을 구성해온 남성적 신화에 대한 문제제기와도 연관된다. 예술의 자율성이 관망의 생존술로 작동했던 맥락을 드러내고 해체하고자 하는 작업은 1960년대 이래 고착된 문학의 미적 규율을 재성찰 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강신재와 박경리의 1960년대 장편소설이 공적인 영역과 사적인 영역을 가로지르는 증여를 통해 시장논리를 넘어선 사회연대의 토대를 포착하고 있다는 사실은 남성작가들의 단편 중심으로 연구되어왔던 1960년대 소설에 대한 해석의 층위를 다양화한 것이다. 이를 통해 개인이 아닌 공동체의 윤리와 미학적 정치성을 드러내고, 혁명과 여성의 연결고리를 재구할 수 있었다.;This paper examines the way of reciprocity in the 1960’s novels by Kang Shin-jae and Park Kyong-ni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performativity. In other words, this paper suggests a way of understanding the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1960s by approaching the organization of society from the most basic economical perspective “exchange”. It looks into the “unity” and “dissolution” that took place between society members in the exchange process. This effort lays the groundwork towards actively providing new meanings to novels by female writers in the 1960s, novels that have been understood mainly in the context of popularity. It discovers new political characteristics by deconstructing the hegemonic order of the time. Communal ideals discovered in 1960’s novels by female writers when reciprocity combined together with gender performativity helps to focus the political responses of women that were not well described in the novels nor in the reality of the time. Such ideals for community were the dreams of political possibilities that did not serve capital-nation. To read these ideas in a specific context, this paper divides the period of literary narratives into three momentous political events—after the Korean War, the April 19 Revolution and the May 16 Military Coups. This is an attempt to create a new map of novels in the 1960s, novels that centered around female writers that have been marginalized in their aesthetic and political value. Ethical reciprocity is the center of the way in which the narrative of the Korean War was re-organized in 1960s. The legacy of the resistant will triggered by the April 19 Revolutions caused Koreans to recognize the Korean war as an ideological fight beyond personal tragedy, discovering an idealistic community within. Representing the war, the women in Kang and Park’s novels become subjects of performativity, from passive recipients of the war who just go under the overwhelming disaster. On the surface of it is romantic love between a man and a woman. Here female characters consume sexuality in an overly loyal way to ideology, or question the possibility of public condolence for their kin, while male characters dispel love in a hysterical desire for survival or melancholic ideology. This ethical way of reciprocity reveals the illusion of the political system and a nation-state based on ideology, and gives a clue for an inactive/potential community outside ideology. The narrative of the April 19 Revolution shows that for female writers the way of representing the revolution is a reciprocity that deconstructs and reproduces society. A revolution gives men an opportunity to become a hero. They try to be integrated into oneness without being spilt by sacrificing themselves to their community—their nation. The basis of the patriotism is, however, personal and impulsive. On the contrary, the death of women who had to be excluded from the revolution and could not be integrated into nation shows a strong depression and represents the women as a monster-like sacrifice. Above all the female writers focus on people marginalized during the revolution. Kang performs a politics of memory by inducing empathy for the mothers whose sons and daughters were sacrificed for the revolution, and Park shows a politics of wildness by discovering female subjects who are not yet enlightened as political public goods that the April 19 generation has to embrace. In these ways the two women newly think about the peripheral positionality of those people and the countryside (Nature) who were placed in the pre-political area being marginalized from the public area. Condolences and the community of non-enlightenment that were made by the writers works organize and reproduce societal existence. The narrative after the May 16 Coups was based on the impossible reciprocity—gift. The violent rule by the political system after the coups is paralleled with the conformist attitude of the individuals who got used to the rule. Facing modern development and ideology, male characters display morbid rule with an extreme pursuit of beauty, or seek survival as a vulgarian. In contrary, female characters resist in a masochistic way, over-conducting reciprocity loyal to social rules until death, secularize art, and finally lead to a decision for social work outside the city. Performativity of dispossession in narrative after the coups reorganizes the aesthetic autonomy of the existing art. They also organize a heteropian community and a sense that does not conform to the discourse of women serving the modernization of Korea or to the dynamics of capitalist struggles taking place within cities. This paper tries a gendered shift of politicality through the way of reciprocity and gender performativity in the novels by female writers in the 1960s. This discussion raises a problem that the discourse in the refinement novels in the 1960s has the sexual dichotomy, and tries to overcome the aporia by suggesting a new ethics. This research also expands the kind of characters, which the April 19 generation made, by revealing various literary subjects including women and many older generations. In this process this research could also discover the female narrative in the 1960s that holds an awareness of organic Nature beyond the dichotomy of city and countryside. This is deconstruction of modernity in Korean literature that has bound women and Nature and otherized them, seeing them as an object to enlighten. This is also connected to the rise of problems about the masculine myth, one that has built “theories of aesthetic modernism” based on autonomy of art. The work to expose and destruct the context where the autonomy of art functioned as a way for survival of waiting and seeing. It is meaningful because it lets us rethink aesthetic rules that have become conventions since the 1960s. In their novels during the 1960s female writers Kang Shin-jae and Park Kyong-ni capture social solidarity, going beyond market logics through reciprocities across the personal area and the public area. This fact diversifies the depth of interpretation of novels from the 1960s, which were studied centering around short stories by male writers. Through the work Kang and Park could reveal the ethics and aesthetic politicality of community—not a personal one—and find a link between a revolution and wom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목적 및 연구사 검토 1 B. 연구방법 및 연구대상 14 II. 6.25 전쟁 서사의 윤리적 증여와 모순적 수행성 21 A. 교착된 사랑과 무위의 공동체 : 강신재 임진강의 민들레 21 1. 히스테리적 생존 열망과 유예되는 네이션 21 2. 과시적 증여와 심미적 윤리 26 B. 의지적 사랑과 잠재적 공동체 : 박경리 시장과 전장 31 1. 전장의 남성혐오와 멜랑콜리적 이데올로기 31 2. 시장의 상호성과 순수증여의 윤리 37 III. 4.19 혁명 서사의 사회 재생산 증여와 희생의 수행성 44 A. 부패한 권력과 애도의 공동체 : 강신재 오늘과 내일 45 1. 죽음으로의 도피와 환영적 애국심 45 2. 저주받은 희생양과 기억의 정치 49 B. 오염된 전통질서와 비(非)계몽의 공동체 : 박경리 노을진 들녘 55 1. 근친상간의 죄의식과 충동적 애국심 55 2. 근친애의 수긍과 야생성의 정치 60 IV. 5.16 쿠데타 이후 서사의 불가능한 증여와 박탈의 수행성 65 A. 근대적 개발주의와 감각의 공동체 : 강신재 숲에는 그대 향기 66 1. 추의 미학과 병리적 통치성 66 2. 죽음의 증여와 마조히즘적 저항 70 B. 도시의 속물주의와 헤테로토피아적 공동체 : 박경리 녹지대 73 1. 속물의 미학과 무력한 생존술 73 2. 예술의 세속화와 명랑한 증여 79 V. 1960년대 여성소설의 증여와 젠더 수행성 85 VI. 결론 96 참고문헌 101 ABSTRACT 10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429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00-
dc.title1960년대 여성장편소설의 증여와 젠더 수행성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강신재와 박경리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reciprocity and gender performativity in the novels of female writers during the 1960s : Discussion pivoting upon the work of writers Kang Shin-jae and Park Kyong-ni-
dc.creator.othernameKang, Jihee-
dc.format.pagev, 111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