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백지연-
dc.contributor.author문소연-
dc.creator문소연-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0:21Z-
dc.date.available2019-02-18T16:30:21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35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355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440-
dc.description.abstractDue to globalization, more and more workers are crossing the national borders for international assignments. Especially, workers who are chosen to live and work outside of their home country for at least a year could be defined as an expatriate (Frith, 1981). When a company assigns an expatriate to overseas branches, a cost for the company doubles to triples comparing to the equivalent position at the home country branch (Harvard Business Review, 1999). Therefore, a great deal of studies has been conducted to identify the antecedents of expatriate failure to prevent such a failure (Bhaskar-Shrinivas, Shaffer, & Luk, 2005; Black and Gregersen, 1991b; Fukuda and Chu, 1994; Harzing, 1995; Hung-Wen, 2007). From these studies, many cited the inability of family adjusting to the host country as one of the main reasons of expatriate failure (Bhaskar-Shrinivas, Shaffer, & Luk, 2005; Black and Gregersen, 1991b; Mercer Human Resource Consulting, 2017). Nonetheless, surprisingly little empirical research has been devoted to studies on the whole family adjustment (Haslberger and Brewster, 2008). Moreover, although traditional literatures indicated cultural novelty as a hindering factor to expatriate adjustment, there is an emerging wave in recent studies in which cross-cultural training is identified to be not useful to expatriate adjustment (Bhaskar-Shrinivas, Harrison, Shaffer, & Luk, 2005; Black and Gregersen, 1991a; Bozionelos, 2009; Harrison and Michailova, 2012; Torbiorn, 1982). These studies accounted that expatriates did not necessarily interact with host country nationals that neither cultural distance nor the cross-cultural training influenced their adjustment (Bozionelos, 2009; Harrison and Michailova, 2012). Therefore, it is questionable if cultural distance between the home and host country is influential to expatriate family adjustment as well.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expatriate family adjustment by exploring the process of adjustment. Moreover, it intended to explore the perceived cultural distance between home and host country and examine how the perceived cultural distance affected the family adjustment. However, this study focused on Korean expatriate family adjustment in Thailand. In order to fulfill the purposes of the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are formed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do expatriate family members prepare the expatriation in the home country? Research Question 2. What are the factors that hinder expatriate family adjustment in the host country? Research Question 3. What are the factors that assist expatriate family adjustment in the host country? Research Question 4. How does expatriate family perceive the cultural distance between Korea and Thailand? Research Question 5. How does the perceived cultural distance between Korea and Thailand affect expatriate family adjustment? An in-depth qualitative approach was employed in this study where 9 Korean expatriate spouses currently residing in Thailand were recruited. The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 that while some organizational supports were provided to expatriates on the preparation stage, expatriate spouses and children were mostly not provided with any support from the home company; spouses usually searched information by themselves using Internet or personal relationships to make the general living in the new country. Expatriate children tended to prepare their transition to international school by learning English, while some children were not able to prepare the expatriation owing to lack of time. Results of the adjustment in host country demonstrate that expatriate adjustment is mostly focused on work adjustment. While previous studies highlighted all three dimensions of expatriate adjustment,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factors hindering expatriate adjustment were mostly related to work adjustment. However, expatriate spouse adjustment was rather related to the general adjustment of the family. Moreover, expatriate spouse adjustment was mostly influenced by Korean community in Thailand, international school parents’ community, or Korean church in Thailand. Meanwhile, expatriate children adjustment was mostly related to their adjustment in international schools; English proficiency, coursework in the school, friendship in international school, or care from international schools were influential factors in their adjustment. Moreover, expatriate family perceived cultural similarity in factors such as Buddhist culture, capitalism, collectivistic characteristics, respecting manner, and aspects of life. On the other hand, they perceived cultural distance in factors in personality traits, concept of reincarnation being more influential in Thai, gap between rich and poor, and gap in infrastructure advancement. Nevertheless, it was identified that cultural distance was insignificant to expatriate family adjustment. That is, expatriate spouses and children rarely had an opportunity to interact with Thai nationals. Instead, Korean community in Thai, international school community, parents’ community in international school, or Korean church community was much more determinately influencing expatriate family adjust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tributed to illustrate the adjustment of each family members. This study also provides preliminary evidence of some possible antecedents of expatriate family adjustment as follows: English proficiency (rather than the host country language proficiency), home country nationals’ society within the host country, and adjustment in international school. Furthermore, the results provide convincing evidence that cultural distance between home and host country may be insignificant to expatriate family adjustment. Practicall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ill provide insight to Multinational Corporations (MNC) planning to assign their workers to overseas branches. Through this study, MNCs could more thoroughly comprehend the process of expatriate family adjustment. The better understanding would lead to more helpful support, which is expected to ultimately deter expatriate failure. Despite the implications,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Firstly, the research is limited in that the results cannot be generalized. Since the population of interest in this research was specific and the sample size of the study was small, the findings are not generalizable to other settings since. Secondly, the research is limited in thoroughly exploring the adjustment process of expatriates as the process was explored by their spouses.;활발한 세계화의 진행으로 인해 많은 근로자들이 국제적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국경을 넘나들고 있다. 이렇게 해외 지사에서 1년 이상 근무하도록 파견된 사람을 주재원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Harvard Business Review에 의하면 주재원을 해외 지사로 파견할 때 회사에서는 본사의 같은 직급 직원에 비해 2배에서 3배의 비용을 지불하게 된다. 따라서 파견 실패를 방지하기 위해 주재원 적응의 선행요인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많은 연구들이 주재원의 파견 실패의 가장 주요한 요인으로 가족의 부적응을 꼽았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주재원 가족 적응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더불어 기존의 전통적 연구에서는 문화적 생소성이 주재원 적응을 저해하는 선행변수로 규명되어 왔으나 근래의 연구에서는 주재원 적응에 이문화 적응훈련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문화 적응훈련의 유효성이 낮은 이유로 주재원의 현지인과의 상호작용이 적으므로 이문화 적응이 필요하지 않았음이 지적되었다. 따라서 문화적 생소성이 주재원 가족 적응에도 유의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주재원 가족의 적응 과정 및 본국과 파견국 간의 지각된 문화적 거리가 주재원 가족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는 것에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태국에 거주하는 한국 주재원 가족만을 연구 대상으로 제한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주재원 가족은 본국에서 파견을 어떻게 준비하는가? 둘째로, 파견국에서 주재원 가족의 적응을 저해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로, 파견국에서 주재원 가족의 적응을 촉진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넷째로, 주재원 가족은 한국과 태국 간의 문화적 거리를 어떻게 지각하는가? 다섯째로, 한국과 태국 간의 지각된 문화적 거리가 주재원 가족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 방법을 채택하여 현재 태국에 거주하는 9명의 주재원 배우자를 섭외하여 1:1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주재원에게는 파견 준비 과정에서 회사의 조직적 지원이 일부 이루어지나, 주재원 배우자 및 자녀에게는 지원이 매우 부족하였다. 특히 주재원 배우자의 경우 파견국에서의 전반적 가족 적응을 위한 준비를 담당함에도 불구하고 조직의 지원 없이 인터넷을 통한 조사 및 개인적인 친분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재원 자녀의 경우 주로 나이가 어린 미성년자이며 준비 기간이 짧아 대체적으로 주재원 배우자를 통해 실질적인 준비를 하게 되며, 국제학교에서의 적응을 위해 영어 학습을 주로 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파견국에서의 적응의 경우 파견자들은 주로 업무 요인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주재원 배우자는 파견국에서의 전반적인 생활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주재원 자녀의 적응은 곧 국제학교에서의 적응으로 직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로, 주재원 가족은 한국과 태국 간의 문화적 유사성 및 상이성은 다음과 같은 요인에 의해 지각되었다. 문화적 유사성 요인으로는 불교 문화권, 자본주의, 집단주의, 예의범절 중시, 생활 양상의 유사성이 도출되었으며, 문화적 생소성 요인으로는 국민성, 윤회사상의 강도, 빈부격차의 정도, 인프라의 발전 정도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문화적 거리는 대체적으로 주재원 가족 적응에 미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주재원 가족이 태국인과 매우 제한된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이었으며, 주재원 가족은 태국의 문화보다도 태국 내 한인사회, 국제학교, 국제학교 학부모 사회 등에서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연구는 주재원 또는 주재원 배우자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은 반면 본 연구는 주재원, 주재원 배우자, 주재원 자녀의 적응을 총체적으로 탐색하였다. 둘째, 연구 결과 주재원 가족 적응의 새로운 선행변수 도출을 위한 기초 자료가 도출되었다. 이에는 영어 능숙도, 파견국 내 본국 교민사회에의 적응, 그리고 국제학교에의 적응이 포함된다. 셋째로, 파견국과 본국 간의 문화적 거리가 주재원 가족 적응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전통적 연구와 상반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은 다국적 기업이 주재원 가족 적응을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하게 되어 보다 유익한 조직적 지원을 계획하는 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데 있다. 주재원 가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에서 기획된 조직의 지원은 주재원 가족 적응을 촉진하여 궁극적으로는 주재원의 적응 실패를 줄이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다만, 본 연구는 특정 국가에 파견된 특정 국민만을 연구 대상으로 한정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의 수가 적어 일반화를 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주재원 배우자만이 연구에 참여하여 특히 주재원에 관한 항목에 보다 깊이 있는 데이터 수집이 어려웠다는 한계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Introduction 1 A. Needs for the Study 1 B. Purpose of the Study 3 C. Definition of Key Terms 4 II. Literature Review 5 A. Expatriate 5 1. Definition of Expatriate 5 2. Current State of Korean Expatriate 6 B. Adjustment 7 1. Cross-Cultural Adjustment 7 2. Expatriate Adjustment 8 3. Antecedents of Expatriate Adjustment 10 C. Cultural Distance between Korea-Thailand 18 1. Cultural Distance 18 2. Cultural Distance between Korea-Thailand 20 III. Research Methodology 22 A. Research Type 22 B. Research Participants 23 C. Data Collection 23 D. Data Analysis 25 E. Reliability and Validity 25 IV. Results 27 A. Demographic Statistics 27 B. Preparation of Expatriation Family 27 C. Hindering Factors of Expatriate Family Adjustment 32 D. Assisting Factors of Expatriate Family Adjustment 39 E. Perceived Cultural Distance 46 F. Influence of Cultural Distance to Expatriate Family Adjustment 48 V. Conclusion 50 A. Summary and Interpretation 50 B.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52 Bibliography 53 Appendix 1. Interview Questionnaire (Korean) 61 Appendix 2. Interview Code Book 63 국문 초록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06667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An Exploratory Study on Korean Expatriate Family Adjustment in Thailand-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주재원 가족 적응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태국에 파견된 한국 주재원 가족을 중심으로-
dc.creator.othernameSoyeon Moon-
dc.format.pagevii,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제사무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